• Title/Summary/Keyword: 동물프랑크톤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opepod Produc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섬진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구조와 요각류 생산력 연구)

  • Youn, Seok-Hyun;Oh, Ghang-Sok;Chung, Mi-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4
    • /
    • pp.369-379
    • /
    • 2010
  •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opepod production in Seomjin River estuary were investigated at 10 stations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from May 2009 to February 2010. Total zooplankton taxa were identified to be 31 in the study area and seasonal average abundance of zooplankton was $4,151\;ind.{\cdot}m^{-3}$ during the study period. Zooplankton community was mainly composed of coastal species in dry season. However, brackish species dominated in upper or middle part of this estuary in flood seas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wth rates of Acartia spp. and Paracalanus parvus s.l. measured from field experiments were regulated by the variations of H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The annual copepod production estimated by dominant copepod species was $3.49\;g\;C{\cdot}m^{-2}yr^{-1}$, and the relatively high production value could be explained by the high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and the mass occurrence of coastal and brackish species with relation to various salinity gradients in Seomjin River estuary.

"Globalization of Omega-3 Perilla Oil" as a new green growth plant (신녹색 성장식물 "오메가-3 들깨기름 세계화")

  • Chung, Hoon-Bae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5-5
    • /
    • 2012
  • 들깨는 아직 식물학적으로 분류는 되어 잇지 않으나 일반 식물분류학상 꿀풀과(진형과(唇形科); Labiat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동부 아시아지역이 원산지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등의 저위도 지역에서 광지역성 작물로 생육온도가 $10{\sim}15^{\circ}C$ 사이에서는 광합성 속도가 거의 변화가 없고 $20^{\circ}C$에서 최대에 이르며 $25^{\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들깨의 생육 적온은 $20^{\circ}C$ 전후로 벼, 옥수수 등 다른 여름작물에 비해 낮으며, 온도에 대한 반응은 매우 둔감한 반면, 광량에는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름작물이다. 우리나라의 농서에는 이조시대인 1429년 정초(鄭招)의 농사직설(農事直說)에서 들깨를 유마(油麻), 수임자(水荏子)로 기록한 이래 여러 문헌에 임(荏), 임자(荏子), 수임(水荏), 수소마(水蘇麻), 유마(油麻), 지마(脂麻) 등으로 불리워져 왔다. 예로부터 들깨는 쓰임새도 다양하여 식용기름, 등화용 이외에도 잎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를 가축들이 싫어하여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밭 둘레에 심거나 기상재해로 소득 작물 재배가 어려울 때 대파작물(代播作物)로 이용되어 왔다. 세계적으로 한국인만 식용으로 즐겨 사용하는 들깨가 근래에는 경제성장으로 국민 소비형태가 다양화되는 추세로 들깨를 종실뿐 아니라 신선 잎채소로 이용하는 양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들깨기름에 들어있는 ${\alpha}$-리놀렌산이 오메가-3 지방산으로서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과 학습능력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들깨를 이용한 오메가3 계란, 오메가3 두유 등 다양하게 건강식품으로 응용되고 최근 동물성 어류에서 추출하던 오메가-3 해양 오염. 프랑크톤의 먹이사슬 등의 환경문제로 들깨기름의 식물성 오메가-3로 대체하는 영향이 세계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여 우리 한국 들깨의 우수성을 세계인들에게 널리 알리는데 노력하여야 하고 국내에서 농촌에 들깨 심기을 보다 확대하여 소득작물로 육성하여야 한다고 본다. 들깨는 식물 유지류 작물중 오메가-3가 가장 많은 60%이상의 함유량으로 기능성 건강 보조식품의 원료 및 사료로 이용되는 등 새로운 소득 작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