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물문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First Report of Pseudocladochonus hicksoni Versluys from Korea(Cnidaria , Anthozoa, Telestacea) (한국미기록종 의소지산호(Pseudocladochonus hicksoni)의 보고 (자포동물 문, 산호충 강, 소지목))

  • 송준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8 no.1
    • /
    • pp.133-140
    • /
    • 1992
  • The telestaceans were collected from Mip'o, Oryukto, CHngmu, Hongdo and Hodo in the Korea Strait, and Sgwip'o in the Cheju Island area from 1970 to 1986 . Pseudocladochonus hicksoni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is new to the Korean fauna.

  • PDF

New Record of Two Ascophoran Species (Bryozoa, Cheilostomata) from Manjaedo Island, Korea (만재도의 한국미기록 유낭류(태형동문문, 순구목) 2종)

  • Seo, Ji-E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16 no.2
    • /
    • pp.213-218
    • /
    • 2000
  • Some bryozoans were collected from the subtidal zone of Manjaedo Island on 23 Aug. 1988. Two species of them, Crepidacantha poissoni (Audouin, 1826) and Hippothoa distans MacGillivray, 1869 turned out to be new to the Korean fauna. The family Crepidacanthidae is new to Korea.

  • PDF

The effect of Novel gravitational fields on early Amphibian Morphogenesis (중력장의 변화가 양서류 초기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은정;정해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4
    • /
    • pp.518-525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horizontal clinostat과 원심분리 방법의 이용으로 각각 저중력 상태($\mu$G)와 고중력 상태(3G)를 유도하여, 중력장의 변화가 양서류 수정란의 초기 형태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북방산개구리(Rano dybows비름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중력장의 변화는 첫번째 수평 분열인 제3분열면의 위치에 영향을 미쳤다. 즉 저중력 상태에서는 분열면이 적도면 근처에서, 또 고중력 상태에서는 분열면이 동물극 근처에서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포배기로 이어져 할강의 위치와 동물극 정단 세포층 수에 영향을 미쳤다. 즉 저중력에 노출된 포배는 정상배(1G)에 비해 할강이 중앙에 위치했으며 동물극 정단의 세포층 수가 증가하는 반면 고중력에 노출된 포배는 할강이 보다 동물극 폭에 위치했으며 동물극 정단의 세포층 수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낭배기에 도달하면 동물극 정단 세포층 수의 차이는 정상 상태로 조절되었다. 한편 중력장의 변화는 낭배기에 이르는 발생 속도와 원구상순부의 위치를 변경시켰다. 낭배기 이후의 발생 단계에서 중력에 의한 변화로는 tail fin circulation(stage 22)시기의 머리크기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무미 양서류의 초기 형태 형성은 중력장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Design of pet abnormal behavior detection through sensor data augmentation based on GAN (GAN 기반 센서 데이터 증강을 통한 반려동물 이상행동 탐지 설계)

  • Kim, Hyungju;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05a
    • /
    • pp.665-666
    • /
    • 2022
  • 반려동물의 이상행동 탐지를 위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의 문제로 인해 데이터 증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 변형과 GAN 기반의 데이터 증강을 통해 반려동물의 정상행동과 이상행동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통계적 변형은 회전, 순열, 조합 등을 이용하며, GAN을 통해 원본 데이터에 노이즈가 포함된 유사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증강된 모든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와 함께 학습 데이터로 사용한다. 최종적으로, LSTM의 단점을 보완한 Convolutional LSTM 모델을 통해 반려동물의 정상행동 인식의 범주를 넓혀 보다 정확한 이상행동을 인식하고자 한다.

A Design of Pet Healthcare System through Sleep Pattern Monitoring (수면 패턴 모니터링을 통한 반려동물 헬스케어 시스템 설계)

  • Minseo Kim;Hyuksoon Choi;Nammee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650-651
    • /
    • 2023
  •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수면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6축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면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된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크게 데이터 수집, 행동 분류, 수면 패턴 모니터링으로 구성된다. 6축 센서 데이터와 ResNet-LSTM을 통해 반려동물의 행동(두 발로 서다, 네 발로 서다, 걷다, 킁킁대다, 뒷다리만 앉다, 엎드리다, 모든 발이 앉다, 놀다, 빠르게 걷다)을 분류하고, 분류된 행동을 활용하여 수면패턴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수면 이상을 확인하고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간접적으로 평가하여 적절한 처치 및 관리하고자 한다.

Implementation of Pe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Deep Learning-based Breed and Emotion Recognition SNS (딥러닝 기반 품종 및 감정인식 SNS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구현)

  • Inhwan Jung;Kitae Hwang;Jae-Moon Le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3 no.3
    • /
    • pp.45-50
    • /
    • 2023
  • As the ownership of pets has steadily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need for an effective pet management system has grown. In this study, we propose a pet management system with a deep learning-based emotion recognition SNS. The system detects emotions through pet facial expressions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shares them with a user community through SNS. Through SNS, pet owners can connect with other users, share their experiences, and receive support and advice for pet management. Additionally, the system provides comprehensive pet management, including tracking pet health and vaccination and reservation reminders. Furthermore, we added a function to manage and share pet walking records so that pet owners can share their walking experiences with other user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utilizing AI technology to improve pet management systems and enhance the well-being of pets and their owners.

Acari Attracted to Carrion of Chicken and Cattle (닭과 소의 사체에 유인되는 진드기류)

  • Lim, Chae-Suck;Lee, Won-Koo
    • The Korean Journal of Soil Zoology
    • /
    • v.10 no.1_2
    • /
    • pp.16-21
    • /
    • 2005
  • This study includes the taxonomy and occurrence of ticks and mites from Jinju, Kyogsangnamdo province, Korea. Materials examined were attraccted to carrions of chicken and cattle flesh from September 2002 to December 2003. As a result, the following seven species were identified. Suborder Ixodida Family Ixodidae 1. Haemaphysalis longicorttis Neumann, 1901 Suborder Mesostigmata Family Machrochelidae 2. Macrocheles muscaedomesticae (Scopoli, 1772) 3. Holostaspella ornata (Berlese, 1904) Family Ascidae 4. Protogamasellus micus (Athias-Henriot, 1961) 5. Lasioseius sugawarai Ehara, 1964 6. Proctolaelaps sp. Suboder Prostigamta Family Erythraeidae 7. Abrolophus sp. Of these, M. muscaedomesticae and Protogamasellus micus are dominant species. Holostaspella ornate(Berlese, 1904) and Protogamasellus mica(Athias-Henriot, 1961) are new to Korean fauna.

  • PDF

Analysis of Food Resources of 45 Fish Species in Freshwater Ecosystems of South Korea (Based on Literature Data Analysis) (국내 담수어류 45종의 먹이원 분석(문헌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Ji, Chang Woo;Lee, Dae-Seong;Lee, Da-Yeong;Kwak, Ihn-Sil;Park, Young-Se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3 no.4
    • /
    • pp.311-323
    • /
    • 2020
  • We analyzed food sources of 45 fish species in 28 genera of 12 families based on literature data in freshwater ecosystems of South Korea. The food sources of 45 fish species included in a total of 26 phyla, 42 classes, 94 orders, 189 families and 294 genera. Among them, animal food sources were 16 phyla, 24 classes, 54 orders, 126 families and 212 genera, whereas plant food sources were relatively small with 10 phyla, 18 classes, 42 orders, 63 families and 82 genera. The animal food sources were classified into Arthropod, Insecta, Diptera and Chironomidae according to taxa. Meanwhile, Bacillariophyta, Bacillariophyceae, Cymbellales and Cymbellaceae were the most abundant among the plant sources. Self-Organized Map (SOM) an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ood sources were classified into taxonomic groups and the feeding types of fish : 45 fish specie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characterizing 1) fishvores, 2) invertebratevores, planktivores including 3) zooplankton and 4) phytoplankton, and 5) omnivores. The network analysis presented link association between fishes and food sources. Macroinvertebrate including diptera and ephemeroptera were revealed as hub food sources based on network analysis. This literature study would expect that the application model with the food source of fish could be utilized for the evaluation of the food network or chain in freshwater ecosystems.

The effect of variations to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after river environment improvement in the Osan Stream (오산천 하천환경정비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

  • Kim, Jea-Su;Kwon, Yong-Duk;Kim, Seong-Hwan;Kim, Kook-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77-981
    • /
    • 2006
  • 본 연구는 오산천 하천환경정비로 인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 6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5개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6목 38과 81종이었으며, 년도별로는 2002년에는 총 55종이 출현하였으나, 2004년에는 36종으로 종수가 급감하였다. ESB에 따른 군집의 생태점수는 2003년도에 45.4에서 2004년도에는 21.7로 낮아졌다가 2005년도에는 31.2로 높아졌다. 이는 하천환경정비공사로 일시적인 교란을 일으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종조성의 변화로는 상류부의 경우 환경정비공사 완료 후 생태계안정화와 추이대가 복원되면서 1급수 지표종인 플라나리아(Dugesia japonica)와 옆새우(Gammarus sp.)가 출현하여 다양한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류의 경우는 군집의 종조성이 빈약하지만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면서 수서생물의 서식처가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하상의 물리적 구조와 이와 연관된 유기물 퇴적층과 토사 퇴적층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하도특성에 맞는 안정된 군집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체서식처를 하천환경정비계획 수립 시 고려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