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물권

Search Result 32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the Symbolism of the Combination of Animals One Another in East Asian Comedic Stories and Proverbs (동아시아 소화(笑話)·속담(俗談)속의 동물조합 상징성 비교)

  • Keum, Young-Jin
    • Cross-Cultural Studies
    • /
    • v.42
    • /
    • pp.205-240
    • /
    • 2016
  • The combination of animals has been developed in each of the cultural spheres as a method of metaphor and symbolism of the cultural code. However, its symbolism is not a fixed constant, but a variable and relative constant. This work focused on its features in comparison with East Asian cultural spheres comedic stories and proverbs. Consequently, several features were identified. First, the combinations of animals in similar comedic stories and proverbs among Korea, Japan and China show a difference in point of view. Korean focuses on the difference of the two animals, but Chinese and Japanese focus on the differences in value and level. Second, the method of anthropomorphization is relatively more developed in China and Japan than Korea. The combinations of animals of Chinese comedic stories and proverbs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anthropomorphization, are most focused on age and sex of the animal. The animal's age or sex remains mostly undetermined in Korean animal's proverbs, unlike Chinese proverbs. On the other hand, two animals in Japanese comedic stories and proverbs are usually of the male and female gender from. Third, the combinations of animals of Chinese and Japanese focus on the animal's body and its characteristics of action. Chinese and Japanese comb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animal's bodies and actions. This feature apparently caused the resultant combinations of the animal's body parts, for example, the Dragon. Understanding of the combinations of two animals is a good portal into the features of East Asian culture sphere.

People Inside - 허주형 회장(대한수의사회)

  • Jang, Seong-Yeong
    • KOREAN POULTRY JOURNAL
    • /
    • v.52 no.4
    • /
    • pp.104-107
    • /
    • 2020
  • 지난 1월 15일 제26대 대한수의사회 회장 선거에 허주형 회장이 당선되면서 3월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허주형 회장은 공약으로 수의사와 동물을 위한 동물진료권 확보, 수의사를 위한 권익 확보,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수의사상 정립 등을 내세운 바 있다. 앞으로 대한수의사회 활동에 대해 들어보았다.

  • PDF

Evaluation of impact on aquatic communities after the operation of floating photovoltagic systems in agricultural reservoirs (저수지 수상태양광 설치가 수생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평가)

  • Choi, Sunhwa;Lee, Seungheon;Heo, Namjoo;Joo, Jin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33-233
    • /
    • 2020
  • 최근 우리나라의 2030년 10GW의 농촌 태양광 보급목표 달성을 위해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저수지 및 댐 등의 공유 수면을 활용한 수상태양광 설치가 적극 검토되고 있다. 수상태양광 사업의 증가와 함께 수상태양광 설치 및 운영이 환경적 측면에서 논쟁이 대두되고 있으나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이 호소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 장기적인 조사나 과학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에 설치되어 있는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에 의한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상태양광이 운영되고 있는 2개소의 저수지를 대상으로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군집조사를 2개년(2017~2018년) 동안 실시하여 각각의 종풍부도 및 종다양도 지수를 분석하였다. 1차년도에는 수상태양광 패널 설치지역 및 패널로부터 200~250m로 이격거리를 유지하면서 총 6지점을 조사하였으며, 2차년도에는 수상태양광 패널 하부(영향권) 3지점과 패널로부터 약 250m 이격된 2지점(비영향권)을 대상으로 총 6회의 조사를 수행하였다. 식물성플랑크톤, 동물성플랑크톤, 저서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군집에 대한 종풍부도와 종다양성에 대한 분석결과, 종풍부도 및 종다양도는 발전시설 영향권 지역과 비영향권 지역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풍부도는 수상태양광 패널로부터 이격거리가 멀어질수록(열린수역으로 향할수록) 감소하는 수치를 보이다가 저수지 수변부에 가까워지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났다. 종다양도 역시 종풍부도 결과와 유사하게 수상태양광 패널 지역으로부터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열린수역으로 향할수록) 지수가 감소하다가 저수지 수변부에 가까울수록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식물성 플랑크톤과 저서생물 및 어류 군집의 종풍부도, 종다양도가 수상태양광의 영향권과 비영향권간에 큰 차이를 없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일부 분류군의 경우 열린 수면보다 수상태양광 설비에 의한 반 폐쇄수역에서 종풍부도와 종다양도가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설치된 수상태양광 패널이 전체 수면의 5% 미만에 해당하는 소규모 시설이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해서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넓은 수면적에 설치되어 있는 대규모 시설 및 20년 이상 장기간 운영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누적된 환경영향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reshwater Snails of Korea (한국산 담수 권패류)

  • J.B. Burch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3 no.1
    • /
    • pp.44-67
    • /
    • 1987
  • 담수 저서 생물군 중의 하나인 연체동물은 인간 생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들은 먹이사슬(food chain)과 깊이 연관되어 있고 하상 퇴적물의 찌꺼기를 섭취하는 청소자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안간의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어떤 종은 생태학적 지표종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어떤 종들은 지리적 특성과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대상이 될 뿐 아니라 과거의 수계 형성과정을 추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정적 측면으로는 한국 담수산 권패류의 몇몇 종류는 인체의 흡충류 기생충을 전달하는 그들의 역할 때문에 실제 문제시 되고 있다. 그들의 이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담수 연체동물에 대한 깊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바, 이는 부분적으로 한국에 서식하는 연체동물상을 동정함에 있어 쉽게 이용될 수 있는 적당한 분류체계가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첫째 목적은 한국산 담수 권패류를 속(genus)수준까지 동정할 수 있는 색인을 마련하고 그 분류기준을 세우는데 있으며, 둘째로는 한국산 담수 권패류에 대한 광범한 문헌을 수집하고 중요한 문헌의 순서에 따라 그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여 앞으로의 연구자득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