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굴분포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제주도의 화산동굴 문화재

  • 홍시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2.07a
    • /
    • pp.15-28
    • /
    • 1992
  • 제주도는 세계에서 이름난 화산동굴의 보고라고 불리운다. 그 동굴의 길이 뿐만 아니라 규모 그리고 동굴속에 간직하고 있는 갖가지 동굴의 지형지물등 하나하나가 모두 세계적인 것들이 많이 집중 분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상 제주도에 있는 화산동굴에는 세계 제 1의 것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이 있다. 그 길이에 있어서 세계 최대인 빌레못 동굴을 비롯하여 제 4위인 만장굴, 11위인 수산굴과 17위인 소천굴 등이 있고, 이밖에 길이가 1000m 이상 되는 것으로는 와흘굴, 한들굴 등이 있다.(중략)

  • PDF

제주도의 화산동굴 문화재

  • 홍시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3.07a
    • /
    • pp.61-75
    • /
    • 1993
  • 제주도는 세계에서 이름난 화산동굴의 보고라고 불리운다. 그 동굴의 길이 뿐만 아니라 규모, 그리고 동굴속에 간직하고 있는 갖가지 동굴의 지형지물등 하나하나가 모두 세계적인 것들이 많이 집중 분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상 제주도에 있는 화산동굴에는 세계 제 1의 것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이 있다. 그 길이에 있어서 세계 최대인 빌레못 동굴을 비롯하여 제 4위인 만장굴. 11위인 수산굴과 17위인 소천굴 등이 있고, 이밖에 길이가 1000m 이상 되는 것으로는 화흘굴, 한들굴 등이 있다.(중략)

  • PDF

A Study of Formation Development and Correlation with Environment Limestone Cave (석회동굴의 형성발전과 환경과의 상관성연구)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3
    • /
    • pp.9-14
    • /
    • 1998
  • 우리 남한지역에는 약 1,000여 개의 석회동굴이 있다. 이들 석회동굴들은 그 모두가 한반도 육지부에 있다. 물론 북한지역에 있는 석회동굴도 무려 1,000여 개가 추정된다고 하니까 남북한 모두 합친다면 2,000여 개의 석회동굴이 분포되고 있는 셈이다. 본 연구는 이들 석회동굴들의 형성과 발달이 어떠한 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이 자연 또는 인간의 개발이용에 의하여 어떻게 환경이 변하고 있으며 나아가서는 이들 동굴들이 환경보전을 어떻게 하여야 하겠느냐에 대한 소견을 피력하고자 하는 바이다.(중략)

  • PDF

양당리굴내 생성물의 분포 및 특성

  • 오종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9-30
    • /
    • 2002
  • 카르스트 지형과 관련된 동굴생성물(Speleothems)의 발달과정은 [그림 1]에서 요약되어 있듯이 일정한 규칙의 발달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는 동굴수문학적 (Speleo-hydology)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Ford, 1989). 동굴생성물은 주로 기반암으로부터 침식되는 용해물질에 의하여 다양한 생성물을 제공하거나 외부 하천의 유입에 따른 외래산 퇴적물질 등이 상호 교차되어 집적되어있다. (중략)

  • PDF

A Study of Volcanic Cave and Cave Topography in Cheju Island (제주도의 화산동굴과 동굴지형지물 소고)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1
    • /
    • pp.9-14
    • /
    • 1997
  • 제주도는 동아시아 한반도의 서남해상에 위치하는 화산섬이다. Aspite 화산형을 이루는 한라산체를 주체로 하는 동서로 길다란 타원형의 화산섬이다. 이 제주도에는 대소 370개소에 달하는 분석구(기생화산)이 전지역에 산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소 80개소에 달하는 화산동굴이 분포되고 있어 세계화산학자들의 학술연구대상지가 되고 있는 섬이다.(중략)

  • PDF

제주도의 화산동굴과 동굴지형지물 소고

  • 홍시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54-59
    • /
    • 1997
  • 제주도는 동아시아 한반도의 서남해상에 위치하는 화산섬이다. Aspite화산형을 이루는 한라산체를 주체로 하는 동서로 길다란 타원형의 화산섬이다. 이 제주도에는 대소 370개소에 달하는 분석구(기생화산)이 전지역에 산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소 80개소에 달하는 화산동굴이 분포되고 있어 세계화산학자들의 학술연구대상지가 되고 있는 섬이다.(중략)

  • PDF

한국의 지질과 자연동굴

  • 홍시환;유재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17
    • /
    • pp.23-26
    • /
    • 1988
  • 석회동굴은 Karst지형 지역에서 지하 형성물로 나타나는 공동지역으로, 이 공동화된 공간에 2차적으로 석순, 석주, 종유석등이 침전되어 생긴 동굴이다. 이런 Karst 지형은 석회암지층에서 용식작용으로 생겨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의 서흥, 신막, 수안, 곡산 물질지역과 평안남도의 덕천, 성천, 강동지방, 그리고 강원도의 삼척, 영월, 평창, 정선, 명주지방, 충청북도의 단양, 제천, 괴산지역 그밖에 경상북도의 울진 지역에도 분포한다.(중략)

  • PDF

The Analysis on the Contents of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 with Cave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동굴' 컨텐츠 내용 분석)

  • Kim, Won-Ji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2
    • /
    • pp.53-57
    • /
    • 2006
  • 고등학교 한국지리 8종 교과서에 수록된 동굴명과 학습 컨텐츠 유형별로 동굴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8종 교과서에 수록된 자연동굴의 경우 석회동굴에 대한 사례가 많으며 용암동굴과 해식동굴에 대한 소개는 상대적으로 미약하다. 둘째, 동굴에 대한 학습 컨텐츠의 경우 사진자료의 이용빈도가 매우 높은 편이며 그 외 모식도와 지형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셋째, 교과서 본문에 수록된 동굴명과 학습컨텐츠에 제시된 동굴의 경우 고수동굴에 대한 내용이 매우 높은 편이며 지역적으로도 충북 단양군을 사례로 한 경우가 많다. 특히, 북한에 분포하고 있는 동룡굴에 대한 소개가 특이할 만하다. 향후 천연자원으로서 자연동굴에 대한 주요 관광수요층인 고등학생들의 자연동굴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간접체험을 위한 학습컨텐츠의 개발이 기대된다. 이러한 학습컨텐츠의 개발과 교육현장에서 적용은 학생들로 하여금 지속 가능한 자연동굴의 보존관리와 환경 친화적인 관광개발 및 관광객의 관람태도가 왜 필요한가에 대한 당위성을 충분히 이해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