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독성 오염 물질

Search Result 34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ransportation Modeling of Conservative Pollutant in a River with Weirs - The Nakdong River Case (수중보를 고려한 하천에서 보존성 오염물질의 이송특성 분석 - 낙동강을 중심으로)

  • Lee, Jungwoo;Bae, Sunim;Lee, Dong-Ryul;Seo, Do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12
    • /
    • pp.821-827
    • /
    • 2014
  • The 4major river project has caused changes in flow and water quality patterns in major rivers in Korea including the Nakdong River where several toxicant release accidents have had occurred. Three 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 was applied to evaluate the effect of geomorphological change of the river on the advection and dispersion patterns of a conservative toxic pollutant. A hypothetical scenario was developed using historical data by assuming a toxic release from an upstream location. If there is a toxic release at the Gumi Industrial Complex, the toxic material would be detected after 2.22 and 9.83 days at Chilgok and Gangjung weir, respectively, in the new river system. It was estimated that they took at least 12 times longer than those with the river conditions before the project. Effect of relocation of intake towers for Daegu Metro City to upstream of Gumi City was also evaluated using the developed modeling system. It was observed that hydraulic residence time would be increased due to decreased flow rate and thus due to lowered water level. However, peak concentration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about 2% lower in both places due to increased dispersion effect after the relocation.

Treatment of the dyestuff solution using photocatalyst membrane system (분리막ㆍ광촉매 시스템을 이용한 염료 수용액의 처리)

  • 곽민욱;민병렬;탁태문;정건용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4.05b
    • /
    • pp.184-187
    • /
    • 2004
  • 고급산화법 중 하나인 광촉매인 TiO$_2$를 이용한 시스템은 300~400nm 파장의 UV영역에서 비교적 적은 에너지로 유기 오염 물질을 $CO_2$$H_2O$로 산화시킨다[1]. 따라서 폐수용액 중 오염물질을 제거한 경우에도 슬러리로 인한 2차 오염의 문제가 없다. 최근에는 난분해성 물질이나 독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된 폐수처리 시설의 고도처리를 위하여 분리막을 도입하는 추세이다.(중략)

  • PDF

Thermoselect 열분해용융시설의 기술적 특성 및 오염물질 저감효과

  • 이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93-106
    • /
    • 2001
  • 폐기물처리에 있어 기존 스토카 방식으로는 다이옥신 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결과 발생된 소각잔재물의 처리가 곤란하다. 아울러 비산재 적정처리에 따른 운영비 부담이 증가와 매립시 잔재물중에 함유된 다이옥신등 유해물질의 미처리에 따른 매립지의 2차 오염을 유발시키고 있다. 인터넷등의 보급 확대에 따른 선진국의 환경규제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Clean 환경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고있으며 환경호르몬 등의 유해물질에 대한 주민 피해의식 및 환경에 대한 주민의 요구 수준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존, 성장 및 대사율에 미치는 Phenol과 TBTO의 만성독성

  • Jin, Pyung;Shin, Eun-Kyung;Kang, Ju-Chan;Lee, Jung-Sik;Lee, Jung-A;Kim, Kyung-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56-257
    • /
    • 2000
  • 해양의 생물자원 또는 수산생물에게 저해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표준실내 생물검정시험(Standard Laboratory Bioassay)을 들 수 있다.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USEPA(Una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와 같은 단속기관에서는 연안에 방출되는 오염물질에 대한 허용한계농도를 정하기 위하여 급성 독성 결과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ASTM과 OECD에서는 생육초기독성 시험을, USEPA에서는 생육초기 독성시험과 만성독성을 채택하고 있다. (중략)

  • PDF

Study of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Environmental Fundamental Facilities (환경기초시설에서 유해대기오염물질의 배출 특성 연구)

  • 동종인;강경희;이종길;최은선;정봉진;홍지형;석광설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265-266
    • /
    • 2003
  • 유해대기오염물질 (HAPs)은 그간 비기준 오염물질로 분류되어 관심이 소홀했었지만, 독성, 발암성, 생체 축적과 대기중 지속성, 확산 등의 특성으로 인해 대기 중에 오랜 기간 체류하면서 오존 또는 광화학 산화물 등 2차 오염물질을 생성하고 악취의 원인 물질로도 작용하며 미량으로 건강과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환경기준항목을 중심으로 한 규제대상 물질에 대하여 배출원 조사와 배출계수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 등에 주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한다면 유해대기오염물질(국내에서는 주로 특정대기유해물질로 규정되어 있음)에 의한 위해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된다. (중략)

  • PDF

Toxic Assessment on Effluents of Argo/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Jeonnam using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 (전남 농공단지 폐수처리장 방류수의 화학적/생물학적 독성평가)

  • Lee, Moon-Hee;Choi, Ik-Chang;Han, Sang-K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4 no.4
    • /
    • pp.267-27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ve property of organic pollutants in effluents of argo/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Jeonnam using simultaneous analysis method of 310 chemicals. The numerous organic pollutants were detected in four sampling sites and the major chemicals were pesticides, CH type chemicals such as polycyclic compounds, CHO type chemicals such as phthalates, and CHO(N) type chemical such as aromatic amines. Moreover, 17 kinds of endocrine disrupters which include diethylptbalate were detected in each sampling sites. TU (Toxic unit) indicated cytotoxicity of samples using XTT assay, it appeared highly at A point(27.2) and D point(24.4). Also, the results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nd TU did not correspond to the results of chemical and biological analysis.

  • PDF

Ecotoxicological Biomonitoring at Different Levels of Biological Organization and Its Application in Chironomus spp. (다단계 생체지표를 이용한 생태독성 모니터링과 Chironomus spp.에의 적용)

  • Choi Jinhee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0 no.1
    • /
    • pp.1-11
    • /
    • 2005
  • 환경오염의 조기 경보 시스템으로 생체지표를 이용한 생태독성 모니터링이 최근 널리 연구되고 있다. 환경내의 생물종에서 측정한 생체지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은 생태계 수준의 영향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생체지표와 개체군 수준에서의 반응과의 인과관계가 밝혀져야 한다. 오염물질에 대한 생체의 반응은 분자, 세포, 생화학, 생리적, 개체, 개체군, 군집 수준에서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각 단계별 반응은 반응 시간의 규모와 독성학적, 생태적 관련성에 따라 구분 지어 볼 수 있다. 각 개별 수준에서의 반응을 종합하면 오염물질에 노출된 생체의 전제적인 영향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체군에서 나타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다. 생체지표와 개체군 수준의 반응과의 인과관계 정립은 효율적인 환경오염 예방기능 수행에 필수적인 과정이며, 다단계 생체 지표는 각 단계별 반응의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 가장 적절한 접근 방법이다. 수서 무척추 생물인 Chironomus의 유충은 이러한 다단계 바이오마커 연구에 매우 적절한 생물학적 모델이다. 이 논문의 첫 번째 부분은 생체지표를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을, 두 번째 부분은 Chironomus의 유충에서 생체지표의 적용에 대해서 다룬다.

Delayed Mortality of Benthic Amphipods Monocorophium acherusicum Exposed to Various Pollutants in Seawater(Cd, Cu, Hg, TBT, Ammonia and Phenanthrene) (유해오염물질에 급성 노출된 단각류 Monocorophium acherusicum의 지연 사망률에 관한 연구)

  • Lee Jung-Suk;Lee Kyu-Tae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0 no.2 s.49
    • /
    • pp.133-141
    • /
    • 2005
  • 다양한 유해오염물질에 급성 노출된 단각류 Monocorphium acherusicum의 노출 기간 이후에 발생하는 지연 사망(latent mortality)이 반수치사농도(LC5O)산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생물을 카드뮴, 구리, 수은과 같은 중금속, tributyltin(TBT), 암모니아 그리고 방향성탄화수소인 phenanthrene에 각각 96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깨끗한 해수에 옮겨 다시 6일 동안 배양하면서 사망률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구리, TBT, 암모니아, phenanthrene과 같은 물질에 노출된 M. acherusicum의 사망률은 노출이 끝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지연 사망이 관찰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방법_으로 산출된 96-h LC50보다 지연 사망을 고려한 새로운 LC50이 크게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지연사망률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독성시험 결과는 지연 사망의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과소평가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지연 사망률에 대한 고려는 실제 현장 개체군에 대한 유해오염물질의 영향을 보다 정화하게 예측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질 및 대기 오염물질에 대한 건강 위해성 평가

  • 신동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1997.12a
    • /
    • pp.91-99
    • /
    • 1997
  • 과거에는 환경오염에 의한 피해의 유무, 즉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일차적인 관심 대상이었다. 그러나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정보를 요구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오염피해의 정도와 심각성을 평가하여 주민에게 알려 주어야 하며, 어느 정도의 오염수준을 우리사회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가의 판단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또한 복잡다기화 되어가고 있는 사회 현상속에서 이해관계와 불확실성으로 얽혀 있는 환경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제시될 수 있는 방법론이 위해성 평가(decision-making) 수단이나 연구의 한 분야로 지난 30여년 동안 비교적 빠르게 발전되어져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이미 위해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계속 발전중에 있으며, 특히 수계에서 검출 가능하고 잠재적인 위해성을 지니는 수질오염물질에 대한 전반적인 위해성을 평가하여 우리나라 수질관리정책에 유용한 기초자료들을 지시한 바 있다. 본문에서는 수질중 chloroform을 대상으로 확률분포를 이용한 위해성 평가 방법론과 대기중 benzene을 대상으로 노출 허용량(margine of exposure) 접근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