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독서지도자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ing Activities and the Reading Camp Program (독서캠프 프로그램을 통한 독서활동 전개에 관한 연구 - 독서지도자와 집단지도 대상자와의 상호 독서활동을 중심으로 -)

  • 김승환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2 no.2
    • /
    • pp.239-267
    • /
    • 2001
  • The reading camp program for mutual reading activities between reader`s advisers and readers which has been played four times in 2000 shows the reaction to reading activities among them as follows. $\circled1$ All of reader`s advisers and readers took an active part in the reading camp program and reader's advisers were more active. $\circled2$ All of participants of the reading camp was satisfied by all of the reading program and especially leaders were affected by daily life of reader`s advisers. $\circled3$ All of participants had an opportunity of reflections on his reading activities and leader`s advisers established their sense of life and sense of values in more affirmative. The reading camp program helped participant to enhance his reading life very much and yet reader`s advisers acquired something more than readers did especially.

  • PDF

A Study of the Training Program of Reading Education Professionals (독서교육 지도자의 자질과 양성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Byun, Woo-Yeoul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9 no.3
    • /
    • pp.187-212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lities for the reading education professionals and to suggest a training program of reading education professionals through comparing our educational programs for training of reading education professionals with those of U.S and Japan. The training program of reading education professionals in U.S is composed of Pedagogy and English language subjects and it emphasizes on literacy instruction. However, in Japan they make much account of the academic system of reading education and emphasize on various reading activities and the neighboring knowledge related with reading education. In our country, the program is composed with Korean language subjects concentrated on reading and comprehension. The training program of reading education professionals should consider three factors of reading such as readers, reading materials and reading professionals. It should include theory and philosophy and emphasize on educational experience and practice. It also should cover the neighboring knowledge related with reading education.

  • PDF

A Study on the Components of Web-Based Reading Education System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의 구성요소 설정에 관한 연구)

  • Byun, Woo-Yeoul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1 no.1
    • /
    • pp.295-318
    • /
    • 2010
  • Recently a reading edu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manage the accumulated reading activities and past records of individuals under the web environment using computers. And the reading education system, where we can have comprehensive reading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and been applied to schools. The reading records in the reading education system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reading activities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extension of thinking ability, and the cultivation of insight and character of the readers. The system will provide basic data for reading education for the teachers. The reading education system will accumulate the reading records of individuals. This system is not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Also the system can support the reading education of children and students effectively. The menu of the reading education system is composed of a test of reading level, reading materials, activities after reading, reading certification, reading record management and instruction of teachers.

  • PDF

The Role of Applied Nutritionist (영양과 지역사회 개발 - 2. 영양지도원(營養指導員)의 역할(役割) -)

  • Chun, Sung-Kyu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9 no.4
    • /
    • pp.4-8
    • /
    • 1976
  • 영양지도원(營養指導員)은 자신(自身)이 알고 있는 기술(技術)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傳達)하여 그 사람으로 하여금 지도원(指導員)이 원하는 방향(方向)으로 행동(行動)을 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다른 사람을 지도(指導)하려면은 우선 지도원 자신(指導員自身)의 우수한 자질(資質)"이 필요(必要) 하며 이를 위(爲)하여 기술자(技術者)로서의 연마(硏磨)와 겸(兼)하여 인간(人間)의 지도자(指導者)로서의 수양(修養)을 쌓아야 한다. 그리하여 영양개선(營養改善) 의 선도적(先導的) 점화자(點火者)로 "뒤에서 계속 미는" 지원자(支援者)로서의 역할(役割)을 수행(遂行)하여야 한다. (1) 현직능별(現職能別) 영양지도원(營養指導員)의 범위(範圍)를 보건소(保健所)의 보건지도원(保健指導員), 농촌지도소(農村指導所)의 생활지도요원(生活指導要員), 군면(郡面)의 행정지도요원(行政指導要員), 농협(農協)의 부여지도요원(婦女指導要員), 의료계(醫療界)의 의사(醫師), 간호원(看護員), 조산원(助産員), 학교(學校) 교육기관(敎育機關)의 교사(敎師), 영양사(營養士), 영리회사(營利會社)의 사원(社員) 등을 들 수 있다. (2) 지도대상(指導對象)과 그 장소(場所)는 공장(工場), 학교(學校), 훈련장(訓練場), 병원(病院), 복지시설(福祉施設)과 공동취사(共同炊事) 재해시등(災害時等)의 집단급식장(集團給食場)과 이를 이용(利用)하는 對象者(대상자) 도시(都市) 농촌(農村)의 일반가정(一般家庭)의 주민(住民), 그리고 교실(敎室)에서 학교교과목(學校敎科目)을 통(通)한 학생(學生)의 학습(學習) 새마을운동(運動) 공보시설(公報施設)을 통(通)하여 대중(大衆)에게 "지도(指導)를 지도원(指導員)이" 전개(展開)할 수 있다. (3) 지도방법(指導方法)은 일반적(一般的) 학교교육과정(學校敎育過程)의 교육방법(敎育方法)을 적용(適用)하되 교외교육(校外敎育)이라는 점(點)을 잊어서는 안된다. 현실적(現實的)으로 이론(理論)과 경험(經驗)을 병행활용(倂行活用)하며 영양학(營養學)의 연구결과(硏究結果)가 반드시 또 는 곧 가정생활(家庭生活) 개인생활(個人生活)에 적응(適應)되는 것이 아니며, 행동화(行動化)되지 않는 지식(知識)과 기술(技術)은 무용(無用)하게 되므로 "다고 말 할 수 있다. 따라서 영양개선(營養改善)을 지도(指導)하는 지도원(指導員)은 받아들이는 가정(家庭)이나 개인(個人)의 입장(立場)에서 여러 가지 여건을 파악 최대공약수(最大公約數)의 가능치(可能値)를 알아내서 지도(指導)해야 된다. (4) 영양지도(營養指導)는 기술(技術)이 ,포함(包含)되어 있기 때문에 기술(技術)의 전달과정(傳達過程)을 분석(分析)해야 되고 (5) 지도원(指導員) 자신의 무장(武裝)을 위(爲)하여 자신(自身)의 기술지도(技術指導) 방법(方法), 인간지도자(人間指導者)로서의 능력향상(能力向上)을 독서(讀書), 교육(敎育), 훈련(訓練) 을 통(通)하여 배워 기술자(技術者)로서 인간지도자(人間指導者)로서 전달자(傳達者)로 서의 교양(敎養)을 가져야 한다. (6) 지도원(指導員)의 활동성과(活動成果)는 지도원(指導員) 자신의 열의(熱意)와 받아들이는 사람의 열의(熱意)에 의(依)하여 좌우(左右)된다. 즉(卽) 지도원(指導員)의 열의(熱意)${\times}$피지도자(被指導者)의 열의(熱意)=지도성과(指導成果) $[L{\times}P=f(L{\cdot}P)]$로 나타난다. 결론적(結論的)으로 지도원(指導員)은 영양개선(營養改善)의 전문적(專門的) 각 요소(各要素)를 깊이 알고 이것을 다시 종합(綜合)하고 체계화(體系化)할 줄 알며 직능별(職能別) 각 지도원(各指導員)과의 상호(相互) 협조(協助)로 서로 보완(補完)하고 새마을 운동(運動)과 그 직장(職場) 또는 환경(環境)여건에 결부(結付)되고 현실적(現實的)으로 행동화(行動化)할 수 있는 단계적(的) 장단기계획(長短期計劃)과 평가방법(評價方法)을 숙지(熟知)하여 또 지도방법(指導方法)에 필요(必要)한 교재(敎材)를 충실(充實)히 준비하여 자신(自身)의 실력(實力)을 충분(充分)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자기 열의(熱意)를 다하고" 영양개선(營養改善)의 선도적(先導的) 점화자(點火者)로서 "계속 뒤에서 미는" 지원자(支援者)로서 사명(使命)을 다할 때 그 역할(役割)을 다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