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독립강우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annual maximum series and annual independent rainfall series (연최대치 계열과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비교 연구)

  • Yoo, Chul-Sang;Park, Cheol-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81-28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과 연최대치 계열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경우의 IETD 및 절단값을 적용하여 독립 호우사상을 결정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어 연최대치 계열과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1961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지점의 시강우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IETD의 증가에 따라서 독립 호우사상의 발생빈도 및 평균 강우강도는 감소하고, 평균 지속기간은 증가하였다. 절단값의 증가에 따라 독립 호우사상의 발생빈도 및 평균 지속기간은 감소하고, 평균 강우강도는 증가하였다. 호우사상의 평균 강우강도는 강우 지속기간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속기간이 짧은 호우사상의 최대 강우강도는 지속기간이 긴 호우사상의 최대 강우강도보다 매우 작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속 기간이 짧은 경우, 연 최대치 계열과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차이는 매우 크며, 강우 지속기간이 길게 적용한 경우에는, 두 계열의 차이는 매우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gression Analysis of Radar and Rain Gauge Rainfall Under the Assumption of Log-Normal Distribution (대수정규분포를 가정한 경우의 레이더 강우와 우량계 강우의 회귀분석)

  • Yoo, Chulsang;Park, Cheolsoon;Yoon, Jungsoo;Ha, Eunh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74-174
    • /
    • 2011
  • 강우의 공간적 변동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우량계 관측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레이더를 이용한 강우관측이 주목받고 있다. 레이더는 실시간으로 넓은 지역의 강우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강우 예측에 있어 매우 큰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레이더를 통해 관측된 강우는 실제값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및 우량계 강우자료가 대수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는 경우의 편의보정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수정규분포를 따르는 자료에 대한 평균값, 중앙값 및 최빈값에 대한 회귀선을 유도하여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에 발생한 태풍 매미로 인해 발생한 강우 사상이 대상 호우사상으로 적용되었으며, 이에 대한 강우자료는 관악산 레이더 강우 자료와 레이더의 관측 반경 내 존재하는 국토해양부 산하 127개 우량계 시강우 자료이다. 그 결과, 독립변수로 사용된 강우자료에 따라 그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로 레이더 강우를 사용한 경우에는 G/R 보정된 레이더 강우의 과소추정 문제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우량계 강우를 독립변수로 한 회귀선에서는 레이더 강우의 보정결과가 어떻게 나타날지는 뚜렷하지 않다. 따라서 위와 같은 회귀선을 통해 보정한 레이더 강우의 검토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는 독립변수로 레이더 강우를 사용한 경우에서 나타나는 레이더 강우의 과소추정 문제가 어느 정도 극복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G/R 보정계수에 대한 검토 및 이에 대한 비교가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Annual Maximum Rainfall Series and Annual Maximum Independent Rainfall Event Series (연최대치 계열과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비교)

  • Yoo, Chul-Sang;Park, Cheol-S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5
    • /
    • pp.431-444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annual maximum series and annual maximum independent rainfall event series with relatively short and long rainfall durations. Annual maximum independent rainfall events were selected by applying various IETDs and thresholds to the hourly rainfall data in Seoul for the duration from 1961 to 2010. Annual maximum independent rainfall event series decided were t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nnual maximum series. Summarizing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IETD and threshold was not beyond the expected level. For example, as the IETD increases, the frequencies of independent rainfall events decreased similarly in their rate for both with short and long durations. However, as the threshold increases, the frequency of those with rather long durations decreased much higher. Second, The mean rainfall intensity of the independent rainfall events was found to remain constant regardless of their dur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annual maximum rainfall intensity could be found in a rainfall event with longer durations. Last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nual maximum rainfall series and the annual maximum independent rainfall event series with rather short rainfall durations was found significantly large, which decreases with longer duration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onventional data analysis method, especially for small basins with short concentration time, could lead an unrealistic design rainfall with little possibility of occurrence.

A Study on Inter-event Time with the Time-resolution (시간단위 변화를 고려한 각 지점별 적정 무강우시간 연구)

  • Song, Hyun-Keun;Joo, Kyungwon;Jung, Jinseok;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7-167
    • /
    • 2016
  • 일반적으로 빈도해석은 강우의 연 최대 강우자료들을 통해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한다. 하지만 강우자료들은 관측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라 지점 별 강우특성을 고려한 확률강우량 산정은 쉽지 않다. 각 지점 별 강우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연속적인 시계열로 기록되어 있는 강우자료를 독립 강우사상으로 분리하여 강우사상간의 시간, 즉, 무강우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연속강우자료를 독립 강우사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강우사상 간의 기준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강우사상을 분리하기 위한 기준으로 무강우시간(Inter-Event Time, IET)을 사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는 무강우시간을 10시간부터 12시간까지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산하 강우관측소의 우기(4월~10월)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 단위를 각각 1분, 5분 그리고 1시간으로 분리하였다. 강우분리방법은 자기상관계수와 포아송분포(Poisson distribution)를 고려한 지수분포(exponential distribution)의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무강우시간 결정 방법(Inter-Event Time Definition, IETD)을 적용하였다. 각 지점별로 추출된 1분, 5분 그리고 1시간의 무강우시간을 비교 및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각 지점의 시간단위 특성에 의한 적절한 무강우시간 및 강우사상시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emporal characteristics in independent rainstorm events in Seoul: focusing on changes in unit time and secondary peak constant (서울특별시 내 독립 호우사상의 시간분포 특성 분석: 분 단위와 차첨두 상수의 조건 변화를 중심으로)

  • Cha, Hoyoung;Lee, Jinwook;Jun, Changhyun;Byun, Jongyun;Baik, Jongj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1
    • /
    • pp.785-799
    • /
    • 2023
  • In this study, we proposed a new concept termed the Secondary Peak Constant (SPC) and discerned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rainstorm events based on unit time and SPC about 24 observation stations in Seoul. Utilizing rainfall observations from 2000 to 2022, independent rainstorm events discreted from rainfall data per unit time.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se events were derived according to unit time,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peak rainfall were identified through the SPC. Finally,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rainstorm events were examined distinctively when analyzed by unit time and SPC. Independent rainstorm events with smaller unit time showed significantly larger total rainfall, rainfall duration, and rainfall intensity.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largest peak rainfall (1st Peak) within independent rainstorm events followed a sequence of Q4>Q2>Q3>Q1. Additionally, the 2nd Peak rainfall predominantly occurred the location where the 1st Peak appeared. The proportion of independent rainstorm events with multiple peak rainfalls exceeded 50.0% when the SPC was 0.7 or lower. The average number of peak rainfalls within independent rainstorm events ranged from 1.5 to 3.4. This study identified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rainstorm events based on unit time. Then, the peak rainfall of temporal characteristics was quantified by SPC on this study. Hence, it is evident that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rainstorm events for specific area can be anlayzed and quantified based on unit time and SPC.

A Spatial-Tempor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the Han River Basin (한강유역 강우의 시. 공간적 특성)

  • 이동률;정상만
    • Water for future
    • /
    • v.25 no.4
    • /
    • pp.75-85
    • /
    • 1992
  • Continuous recorded hourly rainfalls during the wet season in the Han River basin are separated into single storm events between storms. For the storm events, storm numbers, total rainfall, duration, and intensity are analyzed, and the basin is divided into three areas, which have a similar rainfall characteristics. The criterion of separation of independent storms, which is proposed by Restrepo and Eagleson, is examined and its criterion is compared with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ingle storm events separated with wime between storms.

  • PDF

Estimation of Interevent Time for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독립호우 결정)

  • Lee, Eui Hoon;Yoo, Do Geun;Kim, Joong 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5
    • /
    • pp.3159-3168
    • /
    • 2014
  • Interevent Time Definition(IETD) is essential in CSOs(Combined Sewer Overflows) tank design for the treat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However, existent rainfall analysis can not calculate total amou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deviding continuous rainfall events, therre are several IETD calculating methods. In this research, After calculate IETD by existents methods, problem of results is identified as existents method. To supplement these problems, new method using exponential decay function is suggested. The confidence range of ${\lambda}$ is estimated.

Study for Construction of Annual Maximum Storm Event Series from Chukwooki Rainfall Records (측우기자료의 연최대 호우사상 구축에 관한 연구)

  • Yoo, Chul-Sang;Park, Mi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74-278
    • /
    • 2008
  • 현대 강우관측 자료를 빈도분석할 때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는 관측기간이 짧기 때문에 고빈도 확률강우량 추정이나 장기간의 경향성 예측시 신뢰성 부족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대 강우자료의 문제점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측우기 관측기록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의 결정을 위해서는 연최대치 계열의 작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측우기 강우자료는 강우시작시점과 종료시점 그리고 그 사이의 강우량으로 구성된 펄스 형태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빈도해석을 하려면 전통적인 빈도해석 방법과는 다르게 독립호우사상을 적절하게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독립호우사상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무강우지속기간 10시간을 기준으로 측우기 관측기록과 현대 관측기록으로부터 이를 추출한 후 총강우량과 강우강도 두 가지를 대상으로 이변량 지수분포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각 호우사상의 재현기간을 산정하고, 연도별로 최대 재현기간을 가지는 호우사상을 연최대 호우사상으로 결정하였다. 이변량 지수분포의 매개변수 산정시 전기간에 대해 매개변수를 산정하는 경우보다 연도별로 매개변수를 산정하는 경우가 강우발생의 변동양상 및 수문학적인 극한호우의 정의를 반영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검토되었고 또한 그로 인해 얻어진 연최대 호우사상이 이변량 극치분포를 보다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매개변수 추정결과를 우기해와 건기해로 나누어 살펴보면 우기해에는 강우강도가 재현기간 산정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크고, 건기해에는 총강우량과 관련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최대 호우사상의 변동성을 살펴보면 현대자료에서 강우지속기간은 점점 증가하고 강우강도는 감소하며 이에 따른 호우사상의 총강우량은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측우기 자료에서는 이러한 변화양상이 반복순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된 별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측우기 자료를 이용한 빈도해석의 선행작업으로서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의 결정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이렇게 얻어진 연최대 호우사상은 현대자료와 어우러져 보다 신뢰성 높은 설계호우사상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for Estimating of Design Flood Using the Univariate and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단변량 및 이변량 빈도해석을 이용한 설계홍수량 산정 결과의 비교분석)

  • Jun, Chang-Hyun;Park, Cheol-Soon;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6-1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독립 호우사상을 이용하여 이변량 빈도해석 및 유출해석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산정된 설계홍수량을 기존 단변량 빈도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추가로 빈도해석 결과를 유출모형에 적용하기 위한 강우의 시간분포 모형으로 교호블록 방법 및 Huff 방법을 이용하여 그 특성이 비교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빈도해석 결과로부터 산정된 설계홍수량을 비교하기 위해 Clark 모형을 유출모형으로 이용하였으며, 유효우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SCS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유역 크기가 다른 세 유역(중랑천, 청계천, 우이천)에 적용한 결과로부터 비교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에 대한 이변량 빈도해석 결과, 지속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단변량 빈도해석 결과와의 차이가 매우 크나 지속기간이 길어짊에 따라서 그 차이가 현저히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속기간이 짧은 경우, 단변량 빈도해석 결과가 이변량 빈도해석 결과보다 더욱 크게 나타났으나 특정 지속기간 이상부터는 그 결과가 역전되어 나타났다. 둘째, 강우 시간분포 모형으로 교호블록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가 Huff 방법을 적용한 경우보다 더욱 큰 첨두유출량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호블록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강우 지속기간의 증가에 따라서 첨두 유출량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우 지속기간이 대략 24시간 정도 되었을 때 그 값이 거의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랑천 유역에 대해 Huff 방법을 적용하여 유출해석을 수행한 결과에서는 이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가 단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보다 더욱 큰 홍수량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청계천 및 우이천 유역의 경우에는 이변량 설계 강우를 적용한 경우보다 단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의 홍수량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호블록 방법을 적용하여 유출해석을 수행한 경우, 본 연구에서 고려한 모든 유역에 대해 이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가 단변량 설계강우를 적용한 경우보다 더 큰 홍수량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istribution of average intervent times between adjacent rainfall events for overflow risk-based design of storm-water infiltration basin (월류위험도 기반 침투형저류지 설계를 위한 평균무강우지속시간도 작성)

  • Kim, Dae Geun;Park, Sun 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2 no.2
    • /
    • pp.195-203
    • /
    • 2008
  • This study collected the latest 30-year (1976~2005) continuous rainfall data hourly recorded at 61 meterological observatories in Korea. The continuous rainfall data was divided into individual rainfall events. In addition, distribution charts of average intervent times between adjacent rainfall events were created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to the overflow risk-based design of storm-water infiltration basin. This study shows that the one-parameter exponential distribution is suitable for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average intervent times for the domestic rainfall data. Distribution charts of the average intervent times were created for 4 hour and 6 hour of storm separation time, respectively. The inland Gyeongsangbuk-do and Western coastal area had relatively longer average intervent times, whereas Southern coastal area and Jeju-do had relatively shorter average intervent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