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체율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28초

축산물등급소식

  • 축산물등급판정소
    • KAPE누리
    • /
    • 6호
    • /
    • pp.1-8
    • /
    • 1996
  • 소도 체 등급판정결과(96년10월) - 돼지도 체 등급판정결과(96년 10월) - 출하체중대별 도체율 조사 - 제16회 전국한우경진대회 고급육품평회 최우수도체 성적

  • PDF

돼지의 등지방두께와 도체중이 육질등급에 미치는 영향추정 (Effect of Backfat Thickness and Carcass Weight On Carcass Quality Grade in Commercial Pigs)

  • 조환;김병우;선두원;박재찬;박철현;이정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53-60
    • /
    • 2010
  • 본 연구는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제공한 2007년 7월 1일부터 2009년 4월 30일까지의 도체등급판정자료 20,450,773두의 등지방두께, 도체중 및 육질등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등지방두께와 도체중에 대한 환경효과를 추정하였고, 성별, 등지방두께별, 도체중별 등급출현율을 추정하였다. 조사된 형질의 평균치는 도체중과 등지방두께가 각각 $85.97{\pm}0.002kg$, $20.76{\pm}0.001mm$로 나타났다. 성의 효과에서는 거세돼지의 도체중과 등지방두께가 각각 $86.25{\pm}0.003kg$$22.55{\pm}0.002mm$로 나타나, 다른 암퇘지나 수퇘지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도축 년도의 효과에서는 년도가 경과함에 따라 도체중과 등지방두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도축 계절의 효과에서는 도체중의 경우 겨울에 $87.00{\pm}0.007kg$으로 유의적으로 무겁게 나타났고, 등지방두께의 경우 가을에 $19.32{\pm}0.004mm$로 유의적으로 두껍게 나타났다. 성에 대한 육질등급 출현율의 경우 온도체와 냉도체 모두 거세돼지의 상위등급 출현율이 암퇘지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도체중에 대한 육질등급 출현율의 경우, 온도체와 냉도체 모두 84~88 kg 그룹에서 상위등급 출현율이 다른 그룹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등지방 두께에 대한 육질등급 출현율의 경우 온도체와 냉도체 모두 22~24 mm 그룹에서 상위등급 출현율이 다른 그룹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한우(암,수,거세) 및 유우 거세우의 산육 특성비교

  • 박범영;조수현;김진형;이선호;차재무;김동훈;윤영탁;이종문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279-282
    • /
    • 2004
  • 현재 국내 부분육 상장으로 판매되는 한우와 유우 거세우 558두의 도체 및 산육 특성을 비교한 결과 평균 도체중은 유우 거세우가 396kg으로 가장 높았고, 한우 암소가 326kg으로 가장 낮았다. 거래정육중에서는 유우 거세우와 한우 수소가 각각 253kg, 232kg으로 가장 높았고, 한우 암소가 199kg으로 가장 낮았다. 반면 체지방 생산량에서는 거세우가 94kg으로 가장 높았고, 한우 수소가 65kg으로 가장 낮았다. 350${\sim}$400kg 미만의 도체중범위에 있는 조사축의 도체 특성을 비교한 결과 거래정육율은 한우 수소가 67.8%로 가장 높았고, 유우 거세우 64.5%, 한우거세우 61.3%, 한우 암소 59.2%순으로 나타났다(p<0.05). 한우 거세우와 유우 거세우간의 거래정육율 차이는 한우 거세우가 유우 거세우에 비하여 3.2%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뼈 생산율에 있어서는 유우 거세우가 15.4%로 가장 높고, 한우 암소가11.1%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5). 유우 거세우와 한우 수소간의 뼈율 차이는 2.13%, 유우 거세우와 한우 거세우간의 뼈율 차이는 3.45% 차이가 있었다. 체지방율에 있어서는 한우 수소와 유우 거세우가 각각 17.6%, 18.5%로 가장 낮았고, 한우 거세우 24.8%, 한우 암소 27.1% 순이었다(p<0.05).

  • PDF

지식 $365^+$: 평가원 리포트1 - 돼지 작업방법(박피.탕박)별 두수와 경락가격 추이

  • 김효선
    • KAPE누리
    • /
    • 통권190호
    • /
    • pp.6-9
    • /
    • 2012
  • $\blacktriangleright$ 돼지도체 등급판정두수 중 박피도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매년 감소하여 '12년 4월말 기준 3.9%임. - 박피 작업장수 및 도매시장 상장두수 감소 $\blacktriangleright$ 돼지도체 등급판정두수 중 상장두수는 매년 감소하여 '12년 4월 현재 9.1%임. - 돼지도체 유통물량 중 9.1%가 전체 돼지도체 거래가격이 결정되는 구조 $\blacktriangleright$ 도매시장 상장두수 중 박피는 '00년 70.0%(2,136천 두)에서 '10년 40.4% (652천 두)로 29.6%P(1,484)가 감소하였으며, '12년 4월 현재 29.8%임. - 탕박 상장두수는 1,200천두 이상까지 증가한 적도 있지만 '10년까지 900천두 이상 수준을 유지하였음 $\blacktriangleright$ 도매시장 상장물량과 일반작업장 물량의 등급별 출현율 비교시 일반작업장물량의 상위등급 출현율이 높음. $\blacktriangleright$ 돼지도체 kg당 경락가격이 3,000원대 이상이 형성된 '04년 이후 박피 탕박간 경락가격 차이는 269~341원/kg로 분석되었음. $\blacktriangleright$ 박피 작업두수(비율) 및 상장 경매물량 감소에 따른 박피 상장 경매물량 변화에 따라 가격 민감성이 커짐. - 탕박은 박피보다 상장물량이 2배 이상이고 상장물량 변화에 따른 가격 민감성이 작아 박피와 탕박의 경락가격의 변동(상승 하락)폭의 차이가 발생하여 박피와 탕박간의 가격 역전현상이 발생.

  • PDF

양돈장 관리시스템이 출하돈의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farm Management System on the Carcass Quality of Market Pigs)

  • 김두환;서종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50
    • /
    • 2009
  • 본 연구결과는 출하돈의 도체품질 향상과 품질인증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년 동안 53개 농장에서 출하된 248,787두에 대한 도체평가 결과를 모돈수에 의한 경영규모, 육성비육돈 단계의 사육밀도, 수송시간, 출하시점, 비육돈 후기사료 급여비율 및 비육돈사 형태에 따라 도체등급과 PSE 발생율, 도체 근간지방 점수, 근내지방 점수, 피하지방 점수 및 육탄력성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양돈장 경영규모는 도체등급에 영향을 미치며, 경영규모가 커질수록 좋은 등급을 나타내었으나, PSE 출현율은 경영규모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도체 근간지방 점수, 근내지방 점수, 피하지방 점수 및 육탄력성 점수는 양돈장 경영규모에 따라 일정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육성비육돈사 사육밀도는 도체등급에 영향을 미치며, 중간 밀도에서 좋은 등급을 나타내었으나, PSE 발생율은 낮은 밀도에서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도체 근간지방 점수와 근내지방 점수 및 육탄력성 점수는 중간 밀도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피하지방 점수는 사육밀도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출하돈의 수송시간에 의한 도체등급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PSE 발생율 역시 수송시간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수송시간은 도체 육질점수에 영향을 미치며, 1시간을 초과한 수송이 근간지방 점수와 근내지방 점수, 피하지방 점수 및 육탄력성 점수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출하시점은 출하후 계류를 통한 도축전 휴식과 관련되는데, 출하시점은 도체등급과 PSE 발생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체 근간지방 점수, 근내지방 점수 및 육탄력성 점수는 오전 10시 이전 출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피하지방 점수는 차이가 없었다. 5. 비육돈 후기사료 급여비율 차이에 의한 도체등급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PSE 발생율은 후기사료 21% 이상 급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체 근간지방 점수와 근내지방 점수는 후기사료를 21% 이상 급여한 경우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피하지방 점수는 후기사료를 20% 이내 급여가 우수하였으나, 육탄력성 점수는 비육후기사료 급여비율에 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6. 비육돈사 형태에 따른 도체등급의 차이는 무창돈사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PSE 발생율 또한 무창돈사가 높았다. 도체 근간지방 점수와 근내지방 점수는 비육돈사 형태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피하지방 점수와 육탄력성 점수는 개방돈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양돈장 관리시스템 및 도축전 취급이 출하돈의 도체등급과 육질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양돈장 관리시스템과 관련된 각종 환경요인과 관리요인 및 도축전 취급과 관련된 인자들에 대한 세심한 관리를 통하여 스트레스 최소화와 동물복지 향상으로 도체품질 개선과 소비자를 위한 품질인증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침지냉각 조건에 따른 닭 도체의 수분 흡수 및 감량 비교 (Comparison of Water Retention and Loss of Chicken Carcasses by Different Water Chilling Condition)

  • 이재청;김병기;전진안;임찬혁;김효선;이경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59-164
    • /
    • 2014
  • 본 실험은 닭고기 가공 공장별로 침지냉각에 따른 닭 도체의 수분 흡수율 및 감소율 그리고 신선도를 측정 비교하여 품질의 균일화 제고를 위하여 실시하였다. A도계장과 B도계장 닭고기 가공 공장에서 1회 각 40수씩 3회에 걸쳐 총 240수에 대하여 수분 흡수율 및 신선도를 측정하였으며, 수분 흡수율 실험이 완료된 도체에 대하여 개체 포장, 운송하여 실험실 냉장고($4{\pm}1^{\circ}C$)에 입고 후, 저장일별 수분 감소율 및 신선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수분 흡수율은 A도계장 4.8%, B도계장 4.2%로서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B도계장 실험 도체의 신선도가 냉각 전후 모두, A도계장 실험 도체보다 신선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저장일별 수분 감소율은 A도계장 실험 도체와 B도계장 실험 도체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일별 신선도는 A도계장 실험 도체가 B도계장 실험 도체에 비해 낮게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수분 흡수율은 chiller의 길이나 침지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수분 감소율은 침지 시간, 수온 및 심부 온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