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전성 고분자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42초

도전성 고분자 전기재료

  • 윤문수
    • 전기의세계
    • /
    • 제37권3호
    • /
    • pp.4-9
    • /
    • 1988
  • 본 란에서는 이 도전성 고분자의 연구배경과 기본적 성질, 제법 및 몇가지 응용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가장 실용화에 접근해 있는 이차전지 응용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 PDF

도전성고분자막의 합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rion of conducting polymer films)

  • 구할본;사공건;박정학;정영언;박원우;김상현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4권2호
    • /
    • pp.105-113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도전성 고분자인 포리파라훼니렌, 포리파라훼니렐비닐렌 및 포리치오휀을 화학적 및 전기화학적 합성에 의해 필림으로 합성하였으며 각종 도판트가 이들 고분자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들 고분자는 이상적인 도우핑의 조건에서 미량의 도우프영역에서도 도전율은 분자 구조에 의해서 $10^{-4}$~$10^{2}$[S/cm]까지 현저히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광학적 성직도 변화하여 가전자대와 전도대 사이에 새로운 준위가 형성이 되어 스핀 밀도의 증가와 선폭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 PDF

도전성 고분자의 기능성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al application of conducting polymer)

  • 김종욱;김현철;정인성;김현관;구할본;김태성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7권6호
    • /
    • pp.520-526
    • /
    • 1994
  • A rectifying heterojunction consisting of polyparaphenylene(PPP) and polypyrrole(PPY) films was prepared by the electrochemical method. The photoresponse in the heterojunction of PPY and PPP is similar to the absorption spectrum of undoped PPP. This fact suggests that photoresponse depends strongly upon polyparaphenylene of semiconductor. The fill-factor was calculated from the photo current-voltage curve to be 0.19, which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polyacetylene-polythiophene heterojunctions.

  • PDF

전도성 카본블랙이 충전된 도전성 고분자 복합재료(I): 카본블랙이 전기전도성에 미치는 영향 (Conductive Carbon Block filled Composite(I): The Effect of Carbon Block on the Conductivity)

  • 김진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5호
    • /
    • pp.355-362
    • /
    • 1998
  • 전도성 충전제인 카본블랙이 미치는 영향을 올바로 이해하므로서 전도성 카본블랙을 충전하여 도전성 고분자 복합재료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고분자 수지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PC(Polycabonate), PC/ABS 를 사용하여 전도성 카본블랙 3종류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섬유사슬모양의 전도성 카본블랙을 충전한 PC는 상당히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소형화된 glucose 센서 제작 및 전기 화학적 특성 분석 (Development of miniaturized glucose sensor based on glucose oxidase immobilized on polypyrrole-ferricyanide films on platinum electrodes)

  • 윤동화;양정훈;진준형;민남기;홍석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248-250
    • /
    • 2002
  • 본 논문은 당뇨병의 지표물질인 glucose의 농도를 극미량의 시료를 사용하여 정량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효소 고정화 전극을 제작하였다. 전극은 실리콘 웨이퍼상에 마이크로 크기의 전극을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고, 전기 화학적 방법으로 마이크로 전극에 전도성 고분자 Polypyrrole(PPy) 및 glucose oxidase(GOx)를 고정화한 고감도의 전기화학 전극을 개발하였다. 도전성 고분자의 전기 화학적 중합은 순환 전압 전류법으로 하였으며, 용액의 액성에 따른 효소의 표면 전하를 이용하여, 도전성 고분자를 코팅한 전극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고 GOx를 도우핑 하였다. 제작된 전극은 시간대 전류법으로 glucose의 농도에 따른 감도 측정결과 마이크로 리터의 시료에 $5{\mu}A$/decade를 얻었다. 전극의 표면분석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X)를 이용하였다.

  • PDF

폴리피롤/공중합폴리에스테르 전도성 복합필름의 전기전도성에 미치는 고분자 구조의 효과

  • 이성모;김길래;백두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1-125
    • /
    • 1998
  • 1977년 polyacetylene(PA)이 할로겐 도핑에 의해 금속에 필적하는 도전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발견된 이래 전도성 고분자는 전기 전도도 및 전자 상태를 자유롭게 제어 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2차 전지 및 연료 전지, 가스분리막, 우주 항공용 경량 도전재료, 대전방지제등의 넓은 응용분야를 가지며 현재에도 기초 연구 및 응용 연구의 양면에서 활기를 띠고 있다.(중략)

  • PDF

몰드변압기 침수조건에 따른 절연재의 연면방전 특성 (Surface Discharge Behavior of Insulation with Submerged Conditions of Mold Transformers)

  • 정진수;정종욱;임용배;한운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2112-211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전기적인 도전율이 다른 도전성수용액에 침적된 고분자 표면의 연면방전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험용 고분자로는 몰드변압기의 주재로 사용되는 필라충진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서로 다른 도전성 수용액을 분사한 후 전압을 인가하여 접지선전류, 방전개시전압 및 연면방전전압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두 전극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방전개시전압이 상승하였으며, 도전성수용액의 도전율이 높을수록 방전개시전압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파형분석결과 극간거리와 도전성수용액의 도전율에 상관없이 특정 주파수영역에서 고주파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연면방전이 발생하였을 때 특정주파수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olyaniline중합방법에 따른 전도성 Nylon 직물의 특성

  • 홍경화;오경화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57-60
    • /
    • 1998
  • 전도성 고분자들은 그 도전성과 제전성에 주목을 받아 다양한 공액계에 유래하는 많은 기능이 발견되면서 가공성과 안정성이 개선된 새로운 폴리머가 출현되어 다양한 용도 전개가 실현되고 있다. 특히 전도성을 지닌 의류소재 개발을 위한 다양한 고분자들 중 최근 합성이 쉽고 가격이 싸며 우수한 전도도와 물성을 부여하는 Polyaniline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 이에 관한 활발한 응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