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심 환경

Search Result 1,32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해외 도심 재생 현장 탐방 시리즈-부젼 환경과 교육을 발판으로 성공한 도심 재생

  • 박지민
    • 주택과사람들
    • /
    • s.220
    • /
    • pp.82-85
    • /
    • 2008
  • 미국 도심 재생의 특징은 공공 분야의 개입은 최소한으로 하고 사회.사업 단체 등 민간 분야의 적극적인 참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또한 점차 낙후된 도시들을 주변환경과 교육을 활용해 다시금 활성화 시켰다. 미국의 도심 재생 현장을 살펴보자.

  • PDF

The Effects of Urban Stream Improving the Thermal Environment on Urban (도심하천이 도시 열 환경 완화에 미치는 영향)

  • Park, Jin-Ki;Park, Jong-Hwa;Na, Sang-Il;Beak, Sh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60-760
    • /
    • 2012
  • 도심 지역은 인구집중, 토지 피복의 변화 및 교통량 증가 등의 인공열 배출원의 다양화 등의 요인에 의해 주변지역보다도 기온이 높은 도시 열섬(Urban Heat Island) 현상에 의해 독특한 도시기후의 특색을 보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시 열 환경에 대한 연구는 도시 열섬의 강도나 현상을 파악하는데 집중되어 왔다. 최근 들어 도시 열섬 현상 완화 또는 개선을 위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내에 존재하는 수면이나 녹지를 이용한 기후개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천은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공간이면서 생물의 다양성이 풍부한 생태계의 보고로 인간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어 온 공간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하천은 지역의 다양성과 특수성에 따라 가지고 있는 기능이 다양하다. 그 중 하천의 환경 기능은 많은 열용량을 축적시켜 수면의 온도상승을 적게 하여 하천의 온도는 물론 주변지역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흐르는 물은 대류와 혼합과정을 거치며 열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축열체가 된다. 또한 하천의 물 등은 광의 투과성이 높기 때문에 표면에서는 반사되지 않고 수체 내에 열을 저장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도심하천은 도심지에서 높게 형성된 온도를 낮추는 냉각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도심하천이 도시 열완경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9년 9월 6일 Landsat 7 E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LST (Land Surface Temperature)를 추출하고, SEBAL (Surface Energy Balance Algori- thms for Land) 모델을 이용하여 지표면 열수지 성분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도심하천 주변의 온도가 도심지에 비해 $2{\sim}3^{\circ}C$ 정도 낮게 형성되었으며, 잠열은 주변 도심지에 비해 하천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하천 둔치나 하천 주변의 콘크리트, 아스팔트 및 나대지 등의 토지피복은 지표면 온도가 높게 형성되어 도심의 heat spot으로 작용하여 열 환경을 악화시키나 도심하천은 cool spot 작용을 하여 도심의 열을 완화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구시 대기환경구조 특성에 관한 고찰

  • Park, Jong-Gil;Park, Mun-Gi;Gwon, Gi-Chan;Kim, Seok-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21-125
    • /
    • 2007
  • 대구시는 여름철을 제외하고 서북서풍내지 서풍으로 서풍계열의 바람이 우세하여 지리적으로 서쪽에 위치한 공장지대와 신흥 부도심의 영향이 도심지 내부에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그런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도심내의 녹지공원 조성과 같은 오아시스 효과로 자연형 대기 순환 구조를 구축하지 않을 경우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로 인한 심각한 피해가 초래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도시를 위한 준비를 소홀히 해서는 않된다고 사료된다. 아울러 대구광역시의 연평균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는 $PM_{10}$, $NO_2$ 제외하고 환경기준을 초과한 것은 없으며, 주로 자동차와 주변 공장에 의한 오염원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M_{10}$의 경우 대구시에 산재한 환경측정만 대부분의 지점에서 환경기준을 초과하고 있으므로 디젤 자동차 및 비산먼지 저감 등 미세분진에 대한 저감 대책을 신속히 마련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대구시의 $O_3$$PM_{10}$의 고농도 현상은 고기압이 장시간 우리나라를 지배하면서 대기가 안정되고 바람이 약하여 국지풍의 발달이 용이할 경우 도심지내에 고농도 오염을 야기하고 있으며 지형적으로 도심의 오염물이 다른 지역으로 수송되거나 확산이 용이하지 않는 지형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도심을 흐르는 신천을 바람통로 이용하고 도심에 녹지공간 형성 및 도심지의 불투수성 지표면을 잔디 이식을 통한 자연형 도로로 바꾸어 줌으로서 도심내의 열 축적 현상을 줄이고 증발산을 도울 수 있는 cold island 역할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사업은 풍속이 약하고 건조한 독일을 포함한 유럽의 내륙지방에서 활발하며 최근에는 해안에 있는 대도시에 저온의 해풍 또는 강바람을 도심에 유입시켜 도시열섬을 완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Ichinose, 1999, 2000; 김해동 외, 2002).

  • PDF

Development of Urban Smart Farm (도심형 스마트 농장 개발)

  • Kim, Gwan-Hyung;Kim, Young-Bu;Choi, Hyun-Deok;Shin, D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676-677
    • /
    • 2016
  • 본 논문은 에너지 자립 도심형 스마트 농장을 개발하여 도시형 농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존 건물의 여유 공간인 옥상에 비닐하우스를 설치하여 도심형 스마트 농장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한다. 도심형 스마트 농장 관제용 HMI 플랫폼 개발하여 도심형 스마트 농장의 내외부 환경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각종 센서(강우, 온/습도, CO2 등) 정보를 계측하여 비닐하우스 내부 환경을 관리할 수 있는 HMI 플랫폼을 개발 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도심형 스마트 농장 모바일 원격감시 시스템 개발하여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 농장의 관제용 HMI 플랫폼을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 원격 감시시스템 개발하여 도심형 스마트 농장의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stimate of urban contributions to elevated ozone levels in downwind area of Seoul for local wind days (서울지역 국지풍일의 도심배출에 의한 풍하측 오존증가량 추정)

  • 오인보;김유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57-158
    • /
    • 2002
  • 도시/국지규모에서의 풍하측 오존농도 상승은 도심 및 인근지역 배출원 환경과 함께 국지풍(local wind)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즉 도심배출에 의한 오존의 광화학 생성과 국지풍에 따른 단거리수송 및 국지적 축적 효과가 결부되어 풍하측 고농도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기존 여러 연구에서 도심의 경우 지속적인 NOx 배출의 영향으로 오존농도가 상승하지 못하는 반면 (NOx titration), 상대적으로 배출원이 적은 풍하측지역은 오존 및 전구물질의 수송과 축적을 통해 고농도가 나타남을 밝히고 있다. (중략)

  • PDF

도심 자율주행서비스 테스트를 통한 자율주행 기술개발 현황 및 5G연계 미디어의 역할

  • Choe, Jeong-Dan;Min, Gyeong-Uk;Han, Seung-Jun;Seong, Gyeong-Bok;Lee, Dong-Jin;Choe, Du-Seop;Jo, Yong-U;Gang, Jeong-Gyu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4 no.1
    • /
    • pp.63-72
    • /
    • 2019
  • 고령인구의 증대 및 출생 인구의 감소로 과소지와 대중교통 취약지역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교통약자의 독립적 이동이 더욱 불편해지고, 물류의 수송이 어려워 진다. 한편, 도심은 차량의 포화상태로 대기환경의 질이 나빠지고 도심도로는 주차장으로 변질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에게 안전의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과 이동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방안으로 친환경자동차와 자율주행기술의 접목이 연구개발 중이다. 자율주행기술은 자율주행차와 도로 인프라에 ICT가 융 복합되어 이동과 수송분야의 새로운 산업과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다. 본 고에서는 교통약자의 이동과 물류의 수송을 지원하는 자율주행기술의 개발 동향을 살펴본다. 특히 광화문, K-City 등의 도심 자율주행서비스 테스트 경험을 통해 해결해야 하는 복잡한 도심 주행 환경의 인지와 교차로 및 합류로, 비정형 도로환경에서의 주행협상기술의 필요성을 소개한다. 도심의 주행 환경은 고속도로와 같은 자동차 전용도로와 달리, 신호등과 교차로, 2륜 이동체 및 버스 등이 다양하게 혼재된 것으로 인지 및 판단 기능의 고도화가 적극적으로 요구된다. 그리고, 다양한 자율주행서비스 시장을 확산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동하는 공간과 시간을 메꿔 줄 미디어 콘텐츠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Analysis of Content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mong the Downtown Residents, the Aged: Taking Cheonan City for example (도심거주 고령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 천안시를 사례로)

  • Im, Jun-H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3
    • /
    • pp.114-12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seniors living in Cheonan City downtown as to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lso,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which factors should be improved first to make downtown a favorable residential area. To that end, 'social indicators of Chungnam'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method using ANOVA (analysis of variance) and a cluster analysis. It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6.9% of the elderly residents expressed their wish to move from their downtown residence. Thus,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do not want to move. Second,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residents in their downtown residence scored 6.09. The score is higher than those of other regions. Thus, it is highly possible to develop downtown into a senior-friendly area. Third, as for satisfaction in downtown residence, it was higher among the following groups: men; those with high school or higher level of education; those earning at least a million won a month; family of one generation. Fourth, satisfaction in the following factors was relatively low: culture and education; interaction with neighbors and trust in them; car accidents. Thus, those factors should be improved for downtown residents. Above all, community-faced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to increase exchanges with neighbors and trust in them. To attract women dissatisfied with downtown residence. it is imperative to increase daily safety by reducing car accidents and crime.

Influence Factors on User Satisfaction of Commercial Areas in Downtown -focused on commercial areas near Cheonan railway station and central bus terminal- (도심 상업지역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소 분석 -천안역과 종합버스터미널 주변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 Jeong, Jae-Jin;Kim, Sung-G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0
    • /
    • pp.5274-5280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neral satisfaction of the commercial areas near Cheonan central bus terminal and the rail-station and to extract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city center which give effect to the user satisfaction of commercial area. As the result of the analyses,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city center make a difference between the commercial areas of Cheonan central bus terminal and of the station in the aspects of user satisfaction.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commercial areas is appeared highest in 'comfort of walking environments' and 'convenience of commerce business transaction' which wer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city center. For reactivation of the commercial area near Cheonan rail-station are needed improvement of walking environments and relocation of facilities as complex mall and bank etc.

Comparative Study of Fish Community in the Urban and Nature Stream by Habitat Type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의 서식처 유형별 어류군집 비교)

  • Kim, Seong-Won;Lee, Jin-Hui;Jang, Chang-Ryeol;Choe, J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 /
    • 2011.04a
    • /
    • pp.98-103
    • /
    • 2011
  • 도심하천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7과 17종 315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자연하천에서 채집된 어류는 6과 21종 1,033 개체가 조사되었다. 도심하천에서 출현한 한국 고유종은 치리(Hemiculter eigenmanni)와 얼룩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2종(11.8%)이었으며, 생태계교란야생동물에 속하는 종인 배스(Micropterus salmoides)가 폐쇄형 하도습지에서 출현하였다. 자연하천에서 출현한 한국고유종은 쉬리 (C. splendidus), 배가사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등 총 13종(61.9%)으로 고유종의 빈도가 높았고, 멸종위기 II급에 속하는 종인 묵납자루(A. signifer)와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a) 등 2종(9.5%)이 조사되었다. 두 하천의 군집분석을 비교한 결과 도심하천이 자연하천에 비해 우점도와 균등도 지수가 높게 나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이 같은 유형의 서식처이지만 도심하천의 경우 양안 수변대와 제방구축, 하천정비, 고수부지의 시멘트화 등의 원인과 오염원의 유입, 풍부한유기물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