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심형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32초

도심형 스마트 농장 개발 (Development of Urban Smart Farm)

  • 김관형;김영부;최현덕;신동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76-677
    • /
    • 2016
  • 본 논문은 에너지 자립 도심형 스마트 농장을 개발하여 도시형 농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존 건물의 여유 공간인 옥상에 비닐하우스를 설치하여 도심형 스마트 농장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한다. 도심형 스마트 농장 관제용 HMI 플랫폼 개발하여 도심형 스마트 농장의 내외부 환경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각종 센서(강우, 온/습도, CO2 등) 정보를 계측하여 비닐하우스 내부 환경을 관리할 수 있는 HMI 플랫폼을 개발 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도심형 스마트 농장 모바일 원격감시 시스템 개발하여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 농장의 관제용 HMI 플랫폼을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 원격 감시시스템 개발하여 도심형 스마트 농장의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체감형 모션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도심형 테마파크 개발 방안 연구 (Developing the urban theme park using sensory motion simulator)

  • 김태현;채일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51-152
    • /
    • 2012
  • 도심 공간내의 테마파크가 새로운 여가공간으로 부각되고 있다. 기존의 놀이기구나 라이드 어트랙션 등으로는 더 이상 특별한 즐거움을 줄 수 없기 때문에 가상현실과 인터렉션 기술을 접목한 도심형 테마파크가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국내 도심형 테마파크를 개발하기 위해서 독창적인 체감형 모션 시뮬레이션의 트랜드를 파악하고,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미가 있다.

  • PDF

건전한 테마파크의 육성

  • 이강로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0권
    • /
    • pp.83-89
    • /
    • 1999
  • 1. 테마파크의 의미 2. 도심형 테마파크 3. 실내형 테마파크 4. 도심형 실내 테마파크의 사례 5. 수익성 제고의 필용성 6. 정부의 지원

  • PDF

교통안전을 고려한 도심형 중앙분리대 설치기준 마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Standards of a median strip in City considering Traffic Safety)

  • 김종민;김장욱;노관섭;김경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35-43
    • /
    • 2012
  • 정부는 교통사고 사상자를 절반으로 줄이기 위하여 생활권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한 안전대책을 선정하여 추진 중에 있다. 주요 추진내용을 살펴보면 중앙선 침범 및 무단횡단 예방을 위해 도심형 중앙분리대 설치기준 마련이 포함되어 있어 기준마련을 위한 연구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 및 중앙선 침범 교통사고 분석, 도심형 중앙분리대에 대한 형식 및 성능기준, 최소 횡단구성 연구를 통한 설치 기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시부 차량 불법유턴, 보행자 무단횡단 사고를 줄이고자 시선유도봉을 개조한 도심형 중앙분리대는 차량용 방호울타리의 강한 방호기능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차량과의 충돌 후 파손되어 부재이탈이 발생하게 되면 2차 사고 등을 유발하게 되어 교통안전에 부(-)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주행안전성 측면을 고려해 볼 때 도심형 중앙분리대를 설치할 경우 중앙분리대 폭 1.0m 이상을 확보해야만 시설물 파손이나 차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 부득이 도로 폭이 좁아 용지확보가 곤란한 경우 0.5m 이상 노면표시만 설치한 경우에 한해 도심형 중앙분리대의 설치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중앙선 위에 시선유도봉이나 도심형 중앙분리대를 설치하는 것은 운전자 실수에 의한 중앙선 침범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시설물 파손의 가능성이 높아 중앙선 위에는 표지병 이외의 시설물 설치를 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임 기반 도심형 디지털 테마파크의 활성화를 위한 요소 분석 (Factor Analysis for Activating Game Based Digital Urban Theme Park)

  • 라건주;성정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9-30
    • /
    • 2015
  • 기술의 발전과 가상현실의 세계에서 즐기는 디지털 여가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런 디지털 여가 활동의 하나로 도심형 디지털 테마파크가 부상하고 있다. 그에 따라 국내에서 다양한 디지털 테마파크가 제작되었지만, 성공적인 흥행을 이루지 못하며 후발 주자를 이끌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런 현상을 인간의 욕구를 단계에 따라 만족시켜 무아의 경지인 절경경험을 이뤄낸다는 매슬로의 욕구이론과 조셉캠벨의 영웅의 여정단계를 바탕으로 테마파크의 공간 및 게임 요소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게임기반 테마파크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모형은 향후 다양한 도심형 디지털 테마파크 발전의 초석이 될 것이다.

도심형 테마파크 계획에서 가상현실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ression of Virtual Reality Space in Planning Urban Theme Park)

  • 최성은;윤재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5-129
    • /
    • 2002
  • Economic growth and complex urbanization due to modern rapid industrialization prompt us necessarily to require rests and civic entertainments. Various leisure activities appear to be the type of theme park which has compound natures, and now these are being developed to leisure cultures with new conception. Here, this study presents a desirable direction of new entertainment through virtual reality in the theme park type of the 21st century's alternative entertaining space that citizens are easily accessible, maximizes experiences and meets the entertainment instinct.

  • PDF

회수율을 이용한 무인통신구 건설용 도심형 디샌더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stimation of a desander for constructing nonman-size cable tunnel in downtown using proposed returning rate)

  • 김정근;백송훈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92-196
    • /
    • 2005
  • 도시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초고속 네트워크서비스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KT는 경제적이고 안정된 구조의 직경 1,000mm 이하의 무인통신구를 건설하고 있다. 도심지에서 무인통신구 공사 허가시 점용면적은 민감한 문제가 되며 교통혼잡 발생으로 민원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복잡한 도심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크기와 무인통신구 건설을 위한 처리용량을 갖춘 도심형 디샌더의 개발과 그 동안 정성적으로 평가하고 조절하던 디샌더의 처리용량을 나타내는 성능계수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해 공사 설계 단계에서부터 이수처리량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동적패널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중소형 오피스 빌딩 임대료 결정 요인 연구: CBD(도심권)와 GBD(강남권)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Rent Determinants of Small and Medium-Sized Office Buildings in Seoul Using a Dynamic Panel Model: Focusing on CBD and GBD Comparison)

  • 김나라;유진석;김종진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4호
    • /
    • pp.47-62
    • /
    • 2023
  • 본 연구는 오피스의 소비재 및 투자재 특성을 고려하여 거시경제변수와 미시특성변수를 포함한 모형을 구성하고, 유효 임대료 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주요 업무지구인 도심권과 강남권 중소형 오피스 빌딩 임대료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투자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시계열자료와 횡단면자료를 함께 포함하여 분석이 가능하며, 추정량 편의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진 동적패널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모형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심권·강남권 중소형 오피스 빌딩 임대료 영향 요인 분석결과 변수와 계수값 부호 측면에서 도심권 분석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도심권과 강남권 중소형 오피스 빌딩의 임대료는 건물 및 입지특성과 함께 거시경제환경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공간 소비재와 투자재의 특성을 모두 가지는 시장으로 해석된다. 위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투자적 측면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첫째, 도심권에 위치한 입지는 양호하지만 노후화된 중소형 오피스 빌딩의 재건축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소형 오피스 빌딩의 가치는 지속적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 투자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도심권의 경우 주차여건이 가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도심권 중소형 오피스 빌딩 투자시 대상 빌딩의 주차환경과 개선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남권 중소형 오피스 시장은 거시경제환경의 변화에 보다 민감한 시장으로 향후 이자율과 경제성장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화정책 등의 변화를 주요한 투자기준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LAWA를 이용한 도심지역 자연형 하천의 생태성 분석 (Estimation of Ecology of Urban Areas Natural Rivers that use LAWA)

  • 김주환;최계운;구본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098-21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자연형 하천의 복원이 이루어진지 5년 이상이 된 도시지역의 하천을 LAWA(Laenderarbeits-gemeinschaft Wasser = 연방물관리연구공동체)(2000)를 이용하여 하천의 물리적 구조를 평가하였다. 물리적 구조 평가에서는 하천의 종적특성 및 종단면, 횡단면, 하상구조, 하안구조 및 하천변의 토지 이용성 등 6개항의 25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하천의 자연성과 하천의 인공성 정도를 가늠하였다. 그 결과 기 조성된 국내의 하천의 생태성이 크게 개선되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볼 때에 과거의 자연형 하천 조성방법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책을 찾아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도심하천의 경우 이, 치수의 기능 위주로 정비가 되어 있었기 때문에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 후에도 주변의 좋지 않은 구조물들에 의해서 물리적 등급이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하천 스스로 생태성, 자연성을 회복할 수 없는 구간에 대한 하천설계에서는 물리적 구조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방안이 시도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