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 고속도로

Search Result 17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and Manage Urban Freeways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관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발)

  • 김태형;장명순;이광훈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1
    • /
    • pp.165-186
    • /
    • 1998
  • 선진 외국의 대도시에서는 도시고속도로의 원할한 교통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통류 관리기법을 도입.시행하고 있으며, 운영전략의 개발과 교통류 관리기법의 평가를 위한 다양한 모델을 개발.적용하고 있다. 서울시 도시고속도로의 경우에는 외국 도시고속도로의 교통류와 상이한 특성이 많아 기존에 개발된 모델의 적용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현재가지 실제교통류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어 적용되는 모델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서울시 도시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교통류 관리기법을 선정하고, 각 기법별로 교통류 소통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국내 실정에 맞는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예측 모델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고속도로를 대상을 교통류의 현상을 잘 표현하며,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관리를 위한 기법의 개발 및 평가가 가능한 시뮬레이션 모델(KUFRE:Korean Urban Freeway Simulation Model)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 PDF

An Analysis of Traffic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Sections of Urban Expressway -in the case of SHIN-CHUN DaeRo in Tae-gu- (도시고속도로 기본구간의 교통특성분석 -대구신천대로를 대상으로-)

  • 김갑수;신판식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99-112
    • /
    • 1998
  • 국가경제의 기반시설인 지역간 고속도로와는 달리 도시고속도로는 도시내 교통을 담당하는 교통시설로서 대부분의 도시에서 건설중이거나 운용 중에 있다. 연속류 도로라는 시설측면을 지역간 고속도로와 비슷하나 이용주체, 차량구성비, 정시성, 제한속도 등 그 성격에는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이유에서 현재 도시고속도로의 계획이나 운영에 대한 지침이 지역간 고속도로의 계획 및 운영에 대한 지침과 동일시 되고 있다는 점은 불합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고속도로의 계획과 운영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현재 운영중인 대구신천대로를 대상으로 교통류특성 등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교통류 모형분석에서 기존의 Greenshield 모형이 설명력 90%이상을 나타냈다. . 승용차환산계수 분석에서 중형차량이 1.16, 대형차량이 1.47로 분석되었다. . 용량분석에서 최대관측교통량은 4,684pcphpl, 차두시간분석은 2,432pcphpl, 교통류 모형에서는 2,422pcphpl로 분석되어, 대구신천대로의 서비스용량은 2,300pcphpl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며, 차로폭, 측방여유폭에 따른 보정으로 이상적 조건에서의 용량은 약 2,400pcphpl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도시고속도로가 지역간 고속도로의 기본교통용량 2,200pcphpl보다 약 200대 정도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ident Severity of Highway Traffic Accidents (고속도로 교통사고의 사고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 Yoon, Byoung-Jo;Lee, Sun-min;WUT YEE LW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57-258
    • /
    • 2023
  •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1년의 고속도로 교통사고 위치 좌표를 콘존 데이터와 결합한 후 파이캐럿을 활용하여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최적 모델을 선정하고 채택된 Random Forest 기법으로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전국 고속도로 교통사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대하여 분석하고 사고 심각도 개선을 위한 대안 방안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ow to Charge Equitably on Free-of-Charge Urban Freeways (형평성을 고려한 무료도시고속도로의 유료화 방안)

  • 황기연;김정필;엄진기;조용학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3
    • /
    • pp.33-43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형평성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무료인 도시고속도로의 유료화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크게 2개 분야로 구성된다. 우선 형평성을 고려한 유료화 전략을 수립하는 부분과, 다음으로 사례연구를 통해 다양한 유료화 시행방안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부분이다 사례연구는 경부고속도로의 서울시 구간을 대상으로 외국 주요도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Fare Lane, HOT Lane, ERP 시스템, 도로유지/관리비를 위한 통행료 부과 등 4가지의 무료인 도시고속도로 유료화 방안들에 대하여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무료인 도시고속도로에 적합한 유료화 방안은 1) 유지관리비용 징수방식 보다는 혼잡통행료 방식이며, 2) 대중교통을 제외한 차량을 대상으로 징수하되, 3) 징수방식은 고속도로의 특성에 따라 개방식과 폐쇄식으로 하고, 4) 요금수준은 도로용량을 최대화하는 수준에서 결정해야 하며, 5) 징수차로는 전차로 유료화 방식 또는 HOT 차로 유료화 방식으로 하되 고속도로의 램프진출입로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6) 징수시스템은 전자자동징수시스템을 채택하고, 마지막으로 7) 수입금은 대중교통개선에 쓰이도록 하거나 징수대상 도로나 구간을 이용하는 자들이 직접적으로 배분에 참여하여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는 실행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 적용시에는 대상도로의 선정, 분석방법, 분석의 범위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며 또한 유료도로법 등의 관계 법규에 대한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rovement Programs for Traffic Safety Devices on Urban Freeway (도시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 개선방안)

  • 이대원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32-341
    • /
    • 1998
  • 본 연구는 지역간 고속도로에 비해 통행수요가 높고, 진·출입램프 간격이 짧으며, 구간의 용량변화가 심하고, 기하설계 기준이 낮은 도시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의 설치·운영상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를 통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시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 문헌조사는 국내외 관련 기준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현황 조사는 서울지역의 도시고속도로중 올림필대로를 중심으로 시설물의 종류, 설치방법, 시인성등을 조사하였다. 문헌과 현황조사 결과에 의하면 현행 시설물 중에는 설치 기준의 누락 또는 새로이 개발된 시설물 기준 등이 미흡하며, 시설물의 설치 및 운영이 현행 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또한 경제성을 고려한 시설상호간 중복 및 모순을 배제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의 유지관리체계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연구를 통한 신개발 시설물의 설치 기준 설정, 현행 기준의 명확한 적용으로 시인성 및 통일성 확보, 시설물의 중복성 배제와 기능성 확립, 유지관리체계 마련, 그리고 도시고속도로 특성에 맞는 시설물 설치 기준서 및 실무지침서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Urban Freeway Traffic Simulation Model (URFSIM-1 :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 강정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1
    • /
    • pp.85-103
    • /
    • 1997
  • 국내 도시교통에서 도시고속도로가 차지하는 비중은 급증하고 있으나 이의 효율적 인 운영은 아직 초보수준인 실정이다. 도시고속도로의 운영전략이나 기하구조 설계대안을 개발·분석·평가하는데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나 외국에서 개발된 모형 을 국내에 적용하는 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현실에 적합 한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속 교통류 모 형의 개발, 모수추정 방법의 제시, 컴퓨터 코딩, 모형평가의 세부작업이 수행되었다. URFSIM-1은 각 구간에서 통행목적지별 차량 수를 추적할 수 있는 통행수요모형 기능에 구 간내 이동을 동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거시적 교통류 모형을 결합한 것을 기본 교통류 모형 으로 채택하고 있다. 비선형 최소 자승법에 의해 교통류 모형 모수와 O-D 모수를 추정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유고상황을 가상한 정성분석과 미국 도시고속도로에서 수집 한 현장자료를 이용한 모형의 평가를 시행하였다.

  • PDF

Density Predictive Model within the On-Ramp Merge Influence Areas of Urban Freeway - Based on the Beonyoungro in the Metropolitan City of Busan - (도시고속도로의 유입연결로 합류영향권내 밀도추정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번영로를 대상으로 -)

  • Kim, Tae Gon;Pyo, Jong Jin;Kwon, Mi Hyun;Jo, In Ko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D
    • /
    • pp.287-293
    • /
    • 2008
  • Density is used as the measure of effectiveness within the ramp junction influence area suggested in the KHCM 2005 in the LOS analysis of the ramp junction, and also density predictive models suggested in the KHCM 2005 is constructed based on the expressway with the speed limit of 100km/h or 110km/h in Korea. So, the density predictive models suggested in the KHCM 2005 are needed to verify if the models could be applied to the urban freeway with the speed limit of 80km/h or less, because the speed limits on most of the urban freeways in Korea are 80km/h or less.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d verify the appropriate density predictive model within the on-ramp merge influence area of the urban freeway by comparing with the USHCM 2000 and KHCM 2005 models.

A Study on Freeway Traffic Simulation Model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모의실험 모형에 관한 연구)

  • 강정규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6.12a
    • /
    • pp.17-40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 연속교통류 모형에 바탕을 둔 도시고속도로로 시뮬레이션모형의 개발이 시도되었다. 이 모형은 simple continuum model에 통행수요모형 기능을 강화시킨 것으로서 기존 연속교통류 시뮬레이션모형의 단점을 개선하였다. 제안된 시뮬레이션모형은 정산과정을 거쳐 미국 도시고속도로에서 수집한 현장자료에 의해 평가되었다. 특히 링크의 목적지별 차량대수 추정, 실시간 O-D추정의 문제가 확장칼만필터의 형태로 접근되었으며, 개발된 시뮬레이션모형을 ATMS전략에 활용하는 방안이 개발·평가되었다. 이들 전 과정을 통합한 모수적응적 모형(Parameter Adaptive Model)에 의해 교통량을 실시간으로 예측(Real time traffic prediction)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현장자료에 의해서 평가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Acciden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Urban Freeway (도시고속도로의 교통사고특성분석)

  • 김깁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98-407
    • /
    • 1998
  • 본 연구는 도시고속도로의 교통사고감소를 이한 정성적인 척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고속도로에서 발생하고 있는 교통사고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교통사고 발생요인과 운전자 원인과 교통사고형태와의 영향정도를 수량화이론 II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정성적인 자료는 1994년부터 1995년까지의 대구시 신천대로의 교통사고자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경찰청의 교통사고보고서를 기초로 하였다. 분석결과, 70%이상의 교통사고가 운전자의 안전거리미확보와 안전운전의무위반에 의한 추돌사고였으며, 외적기준인 운전자 원인과 교통사고형태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사고직전의 피해자 진로, 사고발생차선, 시간대, 차종 등의 영향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y on Traffic Noise in Residential Area Near Urban Expressways (주거지역 인접 도시고속도로 교통소음 분석)

  • Kim, Jong-Hyuk;Kim, Hong-Gil;Kim, Jung-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0 no.2
    • /
    • pp.79-89
    • /
    • 2012
  • Noise pollution on the residential areas adjacent to urban expressway is a very severe situation.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number of residential areas near urban expressway, and the quality of life in such areas is being degraded due to increased traffic volume and speed. In this study, several factors such as traffic volume, speed, and distance from noise source, etc. that affect the noise level were investigated for the residential areas near urban expressway. A correlation and regression model was buil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traffic factors and noise. The study result found that traffic volume had a closer relationship with noise than speed had. Therefore, to decrease road traffic noise, it is more imperative to control traffic volume than traffic sp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