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화

Search Result 1,57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Change of Runoff Characteristics due to the Urbanization (도시화 정도에 따른 유역의 유출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Moon, Young-Il;Yoon, Sun-Kwon;Kim, Jong-Suk;Ahn,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30-734
    • /
    • 2006
  • 최근 이상기후와 국지적인 집중호우로 인해 인구와 재산이 밀집해 있는 도시지역에서의 홍수피해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1970년대 이후 무분별한 도시화는 불투수 면적의 증가와 홍수 도달시간의 단축을 초래하여 도시하천에의 과중한 홍수부담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가 점차적으로 진행 중인 우이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조건과 불투수 면적변화에 따른 유출량의 변화특성을 알아보고 분석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국내에 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도시유출 모형인 SWMM(Runoff-EXTRAN블록)을 이용하여 우이천 유역에 대해 모의 및 분석하였다. 첨두유출량의 변화는 (첨두유량/기준첨두유량)${\times}100(%)$로 나타내었으며, 강우 조건으로는 강우지속시간, 강우분포, 강우규모 등을 채택하였다. 또한, 도시화 정도에 따른 유출특성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우이천 상류지역 개발에 따른 각 지점별 유출특성과 중.하류 지역의 점차적인 개발에 따른 각 지점별 유출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유역 상류지역과 중.하류지역의 점차적인 개발에 따른 각 지점별 첨두유출량과 첨두도달시간의 변화 특성을 규명하여 유출모형의 적용성 향상 및 도시유역의 효과적인 치수대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f the Urbanization Effect on the Precipitation Pattern in Urban Areas (도시화가 도시지역 강수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Oh, Tae-Suk;Ahn, Jae-Hyun;Moon, Young-Il;Kim, Jong-S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10 s.159
    • /
    • pp.885-894
    • /
    • 2005
  • Since the 1970s, rapid Industrialization has brought urbanization nationwide. In this paper, thirty one years data(1973-2003) ate used to evaluate variability of major cities. Before assessing the context between urbanization and variability of rainfall, the rural areas are selected to compare with urban ones. Thus, average, trends, variations, and nonparametric frequency analysis methods were employed for evaluating variation of annual precipitation, seasonal precipitation, 1 hour annual maximum design rainfall and 24 hour annual maximum design rainfall for both urban and rural areas. The result have shown that summer precipitation relatively increased In urban areas compared to that in rural areas.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 for Stream flow Depletion according to Urbanization in Midium and Small River (중규모하천의 도시화에 따른 건천화 평가기법 개발)

  • Jun, Sang-Mi;Park, Jae-Hyeon;Park, Chang-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56-156
    • /
    • 2012
  • 최근 우리나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규모 하천 또는 도시하천은 하천수 및 하천변 지하수 이용의 증가와 토지이용변화 등으로 인해 하천의 건천화가 점증하고 있어 하천의 생태와 건전한 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소규모 하천 또는 도시하천의 도시화율에 따른 정량화된 건천화의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하천 관리지표로 활용하며, 건천화 원인을 분석하여 실용적인 건천화 해소대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건천화 원인조사 및 원인별 영향 평가에 대하여 국내외 연구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도시화율에 따른 건천화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연구지역에 적용하여 도시화율에 따른 정량적인 건천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은 남천, 갑천, 경안천, 왕숙천으로 총 4개 유역으로 최근 도시화에 따라 불투수율 증가, 지하수 사용량 증가 등으로 건천화가 진행중인 하천이다. 각 유역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건천화 평가기법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건천화 등급 1~5심도로 평가되었으며, SWMM_GE 프로그램으로 분석된 유출량과 다변량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불투수율과 지하수사용량에 따른 기저유출 관계식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향후 대상유역의 하천유지유량 확보 등 유역의 물건전화 정책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lanning Models for Detention Ponds with Consideration of the Urbanization Effects (도시화 영향을 고려한 유수지 계획모형)

  • 이종태;윤세의;이재준;윤용남
    • Water for future
    • /
    • v.24 no.4
    • /
    • pp.73-84
    • /
    • 1991
  • A number of planning models that are used for preliminary design of detention ponds in urban area were compared with consideration of urbanization effects. The characteristics of hydrological parameters $\alpha$, $\gamma$ which are used in planning models wee analyzed. And a new planning model for detention ponds was suggested. The required storage volumes of the Sinjung I, Myunmock, and Hannam detention pond were calculated by the planning models with the catchment data. The applicability of planning models to estimate the required storage volume of detention pond was investigated. Mori and Rational model have the trend of overstimation of storage volumes of detention ponds, on the other hand Abt & Grigg and Kadoya model show the trend of understimated values, and the rest of the planning models show the reasonable volumes.

  • PDF

Analyzing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vegetation growing season length using Google Earth Engine (Google Earth Engine 기반 도시화에 따른 식생 생장기간 변화)

  • Sohn, Soyoung;Kim, Jihyun;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8-198
    • /
    • 2022
  • 최근 도시화에 따른 토지 피복 변화와 열섬현상 등의 원인으로 상승하는 도시의 기온이 식물 계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 내 열섬현상으로 인한 기온 상승과 도시 지역 내 식생 생장기간 변화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식물계절 모니터링에 사용한 개량식생지수(Enhanced Vegetation Index, EVI)는 Google Earth Engine (GEE)에서 제공하는 30 m 해상도의 2000-2021년 NASA-USGS Landsat 위성(TM5, ETM+7, OLI8)의 지표면 반사율(surface reflectance, SR) 자료에서 도출하여 생장기간 산정에 사용하였다. 또한 PRISM (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을 각 기상관측지점의 일별 지상 기온 자료에 적용하여 30 m 해상도로 생성한 격자형 지표면 온도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 지역 내 도시화 정도(magnitude)를 도심으로부터의 거리와 환경부 토지피복도 및 인구 밀도를 종합하여 특정하였고, 최종적으로 기후변화 및 도시화 정도와 생장기간 변화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비선형 로지스틱 회귀를 사용하여 EVI 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수도권 지역에서 전반적으로 식물계절 개엽일(Start of Season)은 앞당겨지며 낙엽일(End of Season, EOS)은 늦춰져 생장기간(Length of Growing Season, LOS)이 길어짐을 발견하였다.

  • PDF

의사결정트리 기법을 이용한 인천시 도시성장 예측 모델링

  • 김정엽;이성규;박수홍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67-272
    • /
    • 2003
  • 일반적으로 도시화(urbanization)란 도시지역으로 인구가 집중되어 결과적으로 국가 전체인구 중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율이 증가되는 과정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시화는 환경문제를 비롯하여 실업, 질병 둥의 여러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따라서, 도시화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을 위해 도시가 어떻게 성장해 왔는가를 분석하고, 도시성장을 예측하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은 도시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강영옥ㆍ박수홍, 2000). (중략)

  • PDF

고해상도 첩보위성을 이용한 수도권 확장 분석

  • 손홍규;유복모;김기홍;김기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63-172
    • /
    • 2001
  • 지난 수십년간 대한민국은 고도의 경제성장을 하였다 수도 서울은 인구 증가, 농지의 감소, 도로 및 사회기반시설물의 건설, 하천정비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빠르게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이렇게 많은 변화가 일어난 서울 지역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기 위한 시도는 여러 차례 있었으며 대표적인 예로 LANDSAT 영상을 이용한 도시화 분석이 환경부(2001, 8, 7)를 통해 발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 미국의 고해상도 첩보위성 프로잭트인 CORONA 영상을 이용하여 지금으로부터 30여년 전의 서울의 모습을 재현할 수 있었으며 1990년대의 SPOT 영상과 비교하여 도시화가 얼마나 가속화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 PDF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Urbanization on the Watershed Streamflow (유량에 미치는 도시화 영향 평가)

  • Jung, Younghun;Moon, Jongpil;Lee, Seung Oh;Park, Youn Sh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6 no.1
    • /
    • pp.51-59
    • /
    • 2014
  • 도시화는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인해 수문학적 변화를 초래하며 또한 지하수량의 감소와 지표유출의 증가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유량을 기본으로 한 토지이용 변화 현상에 대한 영향을 정량적이고 공간적으로 다른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산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ARCSWAT의 SWAT2005 버전을 이용하여 갑천 유역을 일유량으로 모의 하였다. 모형의 검보정 후, 1997년부터 2001년 일유량으로 모의된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고, 모의된 유량은 Mann-Whiteny method로 테스트 하였다. 도시 면적이 28 % 차이가 있는 경우 SWAT의 유량 모의 결과는 5 % 유의수준에서 도시화의 영향이 모의된 유량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시화의 공간적 변화는 5 % 유의수준에서 유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f the Change of Rainfal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기후변화와 도시화에 의한 강수특성 변화연구)

  • Ryu, Seong-Su;Jun, Hwan-Don;Ryu, Gwan-Hyeoung;Oh, Jin-A;Kim, Jo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74-778
    • /
    • 2008
  • 최근 국내외적으로 기후변화와 도시화와 관련하여 기후특성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연구에 의해 기후변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강우특성이 변화한다고 하였으며, 강우특성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유출의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도시유역의 수공구조물의 안전성과 CSO 처리 시설 등의 용량산정 등에 있어서 필히 검토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서울 기상청에 구축되어 있는 장기간의 시강우자료(1961년-2006년 4-10월)를 이용하여 전기간 자료(Data 1)와 특성변화가 진행되었다고 판단되는 1990년 이후의 강우자료(Data 2)를 이용하여 각 100년치의 모의 강우를 발생시켜 원자료의 차이에 따른 강우의 변화 정도에 대해 비교하여 보았다. 비교결과 연평균 123.7mm 더 크게 산정되었으며, 강우발생범위는 Data 1은 411.5-2564.9mm, Data 2는 382.0-2754.7mm의 범위를 보였다.

  • PDF

대구 성서지역에서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대기오염 확산 분석

  • Seong, Mi-Ae;Kim, Hae-Dong;Lee, Su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9-181
    • /
    • 2007
  • 도시화가 발달하면서 변화한 토지이용에 따른 대기오염확산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도시화가 되기 이전의 1963년과 도시화가 발달한 2002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두 해의 여름 중에 가장 쾌청한 하루를 대상으로 기상조건들을 분석하여 대기오염확산의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1963년과 2002년의 확산의 범위는 비슷했다. 농도값에 있어서는 1963년의 평균농도 값이 2002년 평균농도 값보다 1.2배 정도 더 컸으며, 최대농도는 2002년의 최대 농도 값이 1963년의 최대농도 값보다 $1.1{\sim}1.5$배 정도 더 크게 산출되었다. 이는 수평 확산에 있어서는 1963년과 2002년 사이에 큰 차이가 없으나, 도시화의 발달에 따른 토지이용변화로 인해 도시 내 대기 상태가 변화하여 연직확산의 차이가 생긴 이유 때문인 것으로 유추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