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화지수

Search Result 24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Device of Naturalized Plants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창원시 내동천의 귀화식물 분포특성과 관리방안)

  • You, Ju-Han;Park, Kyung-Hun;Yoon, Yo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4
    • /
    • pp.96-10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raw data on managing naturalized plants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s by researching the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naturalized plants were summarized as 45 taxa: 18 families, 38 genera, 43 species and 2 varieties. There were 3 taxa of invasive alien plants: Ru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d Sicyos angulaus. In an analysis of life forms, there were 2 taxa of megaphanerophytes, 1 taxa of nanophanerophytes, 3 taxa of chamaiphytes, 7 taxa of hemicryptophytes, 1 taxa of geophytes and 31 taxa of therophytes. The urbanized and naturalized indices were 16.6% and 25.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 analysis by vertical structures showed that naturalized plants included 30 taxa upstream, 42 taxa midstream and 32 taxa downstream. For the urbanized index, upstream was 11.1%, 15.5% in midstream and 11.8% in downstream. For the naturalized index, upstream was 21.7%, 33.3% in midstream and 37.2% in downstream. An analysis of crossing structures showed at taxa of 39 naturalized plants on bank. 30 taxa along the riverside and 7 in the water. For the urbanized index, banks were 14.4%, riverside 11.1% and waterside 2.6% while the naturalized index included 30.5% on the banks, 30.6% along the riverside and 20.0% in the water. As regards the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because Re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d Sicyos angulau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ecosystem, they need to be efficiently controlled.

Correlations between urbanization and rainfall characteristics (도시화와 강우특성 사이의 기초 상관관계)

  • Lee, Jinwook;Paik, Kyungrock;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36-536
    • /
    • 2015
  • 지난 반세기에 걸쳐 우리나라 대도시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증가했다. 강우 특성의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그 중 도시화의 영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시화는 여러 가지 기상특성의 변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문순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우리나라 도시는 한국전쟁 이후 급격히 성장했으므로, 도시화의 영향이 같은 시기 우리나라 도시에서 증가한 집중호우 빈도와 관련이 있을 개연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 진행과 강우특성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할 기초 증거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12개 지점, 37년간(1975~2011)의 일 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총 강우량, 연 최대 강우량, 연 중 강우일수, 10/30/50/80 mm 초과강우일수의 경향성을 파악하였고, 도시화의 진행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시가화면적비, 인구를 고려한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UI)를 구축하여 같은 방법으로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강우특성의 경향을 살펴본 결과, 대상 지역의 총 강우량과 큰 호우사상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강우 특성에는 큰 경향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UI의 변화와 강우특성 경향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UI는 50 mm 이상 강우일수, 80 mm 이상 강우일수, 총 강우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도시화가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 큰 호우 사상의 발생빈도가 크게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도시화의 진행에 따른 집중호우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자연 하천구간과 하천 복원구간에서의 식물상 고찰

  • 최철만;성정숙;문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252-254
    • /
    • 2004
  • 수영천의 식물상은 모두 38과 68속 8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는데 수영천 본류에서는 75분류군, 온천천에서는 42분류군으로 조사되어 온천천보다는 수영천 본류에서 많은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다. 수영천에서 조사된 식물 82종류중 국화과(Compositae) 식물이 10속 14종(17.1%)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다음으로 화본과(Gramineae) 식물이 5속 6종(7.3%), 마디풀과 (Pologonaceae) 식물이 2속 5종, 십자화과(Cruciferae) 식물이 5속 5종, 콩과(Leguminosae) 식물이 5속 5종으로 각 6.1%를 차지하으며 기타 41속 47종(57.3%)으로 조사되었는데 다른 하천변 식물의 출현양상과도 유사함을 보였다. 또한 조사된 식물 중 대부분은 수영천 본류의 하천변에서 성장하고 있었으며 온천천에서는 꽃창포(Iris ensatra)를 비롯한 7분류군이 식재되어 외관상 보기에 좋도록 조성되어져 있었고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을 비롯한 12분류군의 귀화식물이 대부분 온천천에서 자라고 있었다. 도시화의 척도로서 이용되는 도시화 지수(UI)는 수영천 본류에서 25.3%, 온천천에서 28.6%로 다른 하천변의 도시화 지수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 PDF

The Flora of Mt. Cheongwan (천관산의 식물상)

  • Kim, Dong-Cheol;Chung, Young-Ja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3
    • /
    • pp.253-266
    • /
    • 2011
  •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in Mt. Cheongwan was 323 taxa, which were consisted of 89 families, 221 genera, 270 species, 47 varieties, and 6 formas. Corylopsis coreana belonged in level II of extinction crisis wild plant were found. Six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of 6 families, 6 genera, 5 species, and 1 forma were distributed. And also, 40 taxa of floristic specially plants of which 29 in level I, 2 in level II, 6 in level III, 2 in level IV, and finally 1 in level V were recognized. The ratio of naturalized and urbanization index was 3.72 % and 4.14 %, respectively.

A Study of Management Conditions Investigation of Underground Stream in Busan and Restoration Possibility Assessment (부산시 복개하천 관리 실태조사 및 복원가능성 평가)

  • Shin, Hyun-Suk;Shon, Tae-Seok;Jang, Jong-Kyung;Shin, D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15-2018
    • /
    • 2008
  • 도시에서 하천의 모습은 시대와 함께 변화하여 왔다. 치수의 대상이 되어 제방이 높아 졌고 사람들의 생활에서 조금씩 떨어져 나왔다. 고 밀도화가 진행되는 도시지역에서 치수사업으로 하천정비를 하면서 하도의 직강화 및 콘크리트라이닝이 일반적이 되었고, 하천을 복개하여 주차장이나 도로로 이용하게 되어 도시 생태계를 단절하고 도시인들의 정서를 황폐하게 만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의 23개의 복개하천 중 주요 복개하천 20개소를 선정하여 복개하천의 관리 실태조사 및 복원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해당하천을 총괄지수, 제방지수, 생태지수, 하천지수로 나누어 평가함으로써 부산시내 하천평가 및 복원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순서로는 부산시 하천을 크게 4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각 하천에 대한 문헌조사, 현장조사 후 하천평가(도시하천의 하천평가기법 개발 및 적용, 2007 윤세의)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유역을 가진 하천 일수록 모든 지수들이 낮게 나와 하천총괄지수와 도시화의 진행정도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도심복개하천의 기초자료로서의 활용, 복개하천의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해 기초 자료로서의 활용에 목적이 있다.

  • PDF

Spreading and Distribution of Lactuca scariola, Invasive Alien Plant, by Habitat Types in Korea (침입외래식물 가시상추의 확산과 생육지 유형별 분포 특성)

  • Kim, Young-Ha;Kil, Ji-Hyon;Hwang, Sun-Min;Lee, Chang-Woo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2 no.2
    • /
    • pp.138-151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types of prickly lettuce, Lactuca scariola of Europe origin for supplying the basic data of management plan. It showed fairly nation-wide distribution although excessive growth was rather limited in the wild. Its habitat type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like open fields, roadsides, seashores and riversides. Species diversity examined by species rank-dominance curve tended to increase over riverside > seashores > open fields > roadsides. As a result of analyzing life form, therophytes were more than 50%, means that the habitats of L. scariola were disturbed by human activities etc. Urbanization Index was analyzed 9.1% in roadsides, 7.4% in seashores, 5.8% in open fields and riversides. It has high spread potential with a large number of wind-flying seed per plant. It was evaluated that prickly lettuce was mainly spread along the newly constructed road, expressway and invaded the original ecosystem in the cultivated land as weeds. But it has played a role as a pioneer species in open fields. It is recommended to remove where it has considerable impact on the native plant species of conservation valu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Biotope Types in the Jeonju Area (전주지역 비오톱 유형별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 Oh, Choong-Hyeon;Choi, Il-Ki;Lee, Eun-Heui;Lim, Dong-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1
    • /
    • pp.37-45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database for biotop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Jeonju region in North Cheolla Province. To accomplish this task, investigations were mad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patter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region. From May to June 2008, the flora and lists of naturalized plants we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ese data the ratio of naturalization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reas follows: a total of 113 families and 54 species were found in the flora. The naturalized plants among them amounted to 19 families and 54 species. The ratio of naturalization was most high in the biotope type of rural dried stream(36.4%). The biotype that showed the lowest ratio of naturalization was coniferous natural forest type, which had no naturalized plants in it. The average naturalization ration of the Jeonju region turned out to be 18.9%, which is similar to that of other mid-size cities in Korea.

Regional Frequency Analysis for Urban Area Using AWS Rainfall Data (AWS 강우자료를 이용한 도시유역의 지역빈도해석 적용성에 관한 연구)

  • Kim, Soo-Young;Nam, Woo-Sung;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9-213
    • /
    • 2007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기상이변과 기후변화에 의한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으로 인해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홍수량 및 첨두홍수량이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와 도시화 등을 고려한 확률수문량의 재산정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 지역빈도해석(regional frequency analysis)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도시유역에 대한 지역빈도해석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에 대한 지역빈도해석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주요 도시유역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해당 도시유역 내의 AWS(Automatic Weather System) 자료를 수집한다. 대상지역의 AWS 자료를 구축한 후, 각각의 자료에 대해 대표적인 지역빈도해석 기법 중의 하나인 홍수지수법(Index Flood Method)을 적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 지점빈도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도시유역에 대한 지역빈도해석의 적용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에 대한 홍수지수법의 적용결과를 살펴보면, 지점빈도해석에 의한 확률강우량보다 홍수지수법에 의해 산정된 확률강우량이 작게 추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Northern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Korea (전남 북부지역의 귀화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 Lim, Dong-Ok;Kim, Ha-Song;Park, Moon-S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3 no.6
    • /
    • pp.506-515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atus and UI(urbanization index) of the naturalized plants and exotic plants. For this purpose 7 cities and counties in the northern South Jeolla Province were selected an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4 sites, two sites from each city or county, during the period of March to November 2006. The exotic plants were identified as 111 taxa; 26 families, 79 genera, 105 species, and 6 varieties. As for urbanization index, Hampyeong County had the highest level of urbanization(21.95%) and Gokseong County the lowest level of urbanization(16.38%). Naturalized plants classified as family were as follows: Compositae was 36 kinds(32.43%) Graminae 17 kinds(15.31%) and Leguminosae 7 kinds(6.31%). Major communities of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21 communities including Robinia pseudoacacia-Amorpha fruticosa community, Erigeron annuus community, Erigeron canadensis community etc. Invasive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7 taxa: Paspalum disticum var. indutum, Paspalum distichum, Rumex acetocella, Solanum carolinense, Aster pilosus,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d Ambrosia trifida. The study shows that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exotic plants on a national scale is needed. It also recommend that a systematic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exotic plants in the northern South Jeolla Province is crucial to preserve and protect natural species.

Flora of Daepyungnup and Jilnalnup Wetlands in Haman-gun, Gyeongsangnam-do (경상남도 함안군 대평늪.질날늪의 식물상)

  • Kim, Su-Seung;Kim,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 /
    • 2008.04a
    • /
    • pp.74-76
    • /
    • 2008
  • 본 조사지역의 식물상은 대평늪에서 51과 98속 104종 11변종 1품종 총 116분류군, 질날늪에서 50과 97속 99종 16변종으로 총 115분류군을 각각 확인하였다. 또한 두 습지에서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 동식물II급인 가시연꽃과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인 자라풀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은 대평늪에서 16분류군, 질날늪에서는 15분류군을 기록하였고, 귀화율은 각각 13.8%, 13.0%, 도시화지수는 각각 5.9%, 5.5%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