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정보모델

검색결과 579건 처리시간 0.034초

Satisfaction with Development Direction of Local Culture and Arts through the PCSI Model: Focused on Daegu Music City

  • Lee, Sea-Bom;Lee, Chi-Woo;Moon, Jae-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255-261
    • /
    • 2021
  • 우리나라에는 7개 분야에서 총 8 곳의 유네스코가 선정한 창의도시가 존재한다. 유네스코 창의도시는 문화예술 분야에서 국제수준의 경험이나 지식, 전문기술을 가진 창의도시간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유네스코 창의도시 대구를 중심으로 대구의 창의도시에 대한 전문가들의 만족도 조사를 PCSI 2.0모델을 기반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서비스 품질, 사회적책임, 불일치, 만족도와 성과로 변수를 구성하였으며, 서비스 품질은 상품 품질, 전달 품질, 환경품질 세 가지로 구분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 개의 품질과 사회적 책임 및 불일치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만족도는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3개 서비스 품질은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불일치를 통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총 10개의 가설 중 3개의 가설이 기각되었다.

단일 위성 영상 기반의 반자동 건물 모델링 시스템 (A Semi-Automatic Building Modeling System Using a Single Satellite Image)

  • 오선호;장경호;정순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6B권6호
    • /
    • pp.451-462
    • /
    • 2009
  • 최근 고해상도 위성 영상의 보급에 따라 이를 활용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Google\;Earth^{TM}$$Virtual\;Earth^{TM}$와 같은 전 지구 차원 의 3차원 가시화 서비스나 최근 일부 도시에 대하여 제공되고 있는 3차원 GIS 서비스는 지형과 지물에 대한 사실적인 기하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도시 개발 계획의 수립, 도로망의 개선, 엔터테인먼트 사업, 군사 시뮬레이션, 재난 및 재해 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활용을 위해서는 고해상도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지형 및 지물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 에서는 단일 위성 영상으로부터 건물의 3차원 모델을 추출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살펴본 뒤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모델 추출을 위한 시스템 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영상의 특징 정보와 건물, 위성, 태양의 기하 관계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사용자 조작으로 건물의 3차원 모델을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위성 영상으로부터 건물의 3차원 모델 추출을 수행하고 효과적으로 3차원 모델을 획득할 수 있음을 보인다.

전산 유체 역학 모델을 이용한 도시지역 흐름 및 열 환경 수치모의 검증 (The Verification of a Numerical Simulation of Urban area Flow and Thermal Environment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 김도형;김근회;변재영;김백조;김재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522-53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강남 선정릉지역에서 전산유체역학모델(CFD)을 사용하여 도시지역의 흐름 및 열 환경 모의를 검증하는 것이고, CFD 모델의 모의결과와 선정릉 지역의 관측 자료와 비교하는 것이다. CFD 모델은 국립기상과학원과 서울대가 공동으로 연구 개발된 모델이다. CFD_NIMR_SNU 모델은 기상청 현업 모델인 국지예보모델(LDAPS)의 바람성분과 온도성분을 초기 및 경계조건으로 적용되었고 수목효과와 지표 온도를 고려하여 2015년 8월 4일에서 6일까지 강남 선정릉 지역을 대상으로 수치실험을 진행하였다. 선정릉지역에서 수목효과 적용 전후의 풍속을 비교하였을 때 평균 제곱근 오차(RMSE)는 각각 1.06, $0.62m\;s^{-1}$로 나타났고 수목효과 적용으로 풍속 모의정확도가 향상되었다. 기온은 LDAPS 과소 모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CFD_NIMR_SNU 모델에 의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CFD_NIMR_SNU 모델을 이용하여 복잡한 도시지역의 흐름과 열 환경을 자세하고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며, 도시 환경 및 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스태킹 앙상블 모델을 이용한 시간별 지상 오존 공간내삽 정확도 향상 (Improved Estimation of Hourly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using Stacking Ensemble-based Spatial Interpolation)

  • 김예진;강은진;조동진;이시우;임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4-99
    • /
    • 2022
  • 지상 오존은 차량 및 산업 현장에서 배출된 질소화합물(Nitrogen oxides; NOx)과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광화학 반응을 통해 생성되어 식생 및 인체에 악영향을 끼친다. 국내에서는 실시간 오존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지만 관측소 기반으로, 미관측 지역의 공간 분포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태킹 앙상블 기법을 활용하여 매시간 남한 지역의 지상 오존 농도를 1.5km의 공간해상도로 공간내삽하였고, 5-fold 교차검증을 수행하였다. 스태킹 앙상블의 베이스 모델로는 코크리깅(Cokriging), 다중 선형 회귀(Multi-Linear Regression; MLR),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RF), 서포트 벡터 회귀(Support Vector Regression; SVR)를 사용하였다. 각 모델의 정확도 비교 평가 결과, 스태킹 앙상블 모델이 연구 기간 내 시간별 평균 R 및 RMSE이 0.76, 0.0065ppm으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스태킹 앙상블 모델의 지상 오존 농도 지도는 복잡한 지형 및 도시화 변수의 특징이 잘 드러나며 더 넓은 농도 범위를 보여주었다. 개발된 모델은 매시간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공간 지도를 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8시간 평균치 산출 및 시계열 분석에 있어서도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LBP 기법을 이용한 감귤식물류의 흑점병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of Blackspot in Citrus Plants Using LBP)

  • 이범수;유동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72-975
    • /
    • 2021
  • 최근 한국 여름 기후의 열대화 현상이 급속화 됨에 따라 잦은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방제 약품이 씻겨나가 방제가 제대로 안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는 식물과 작물들이 병해에 약해지는 계기를 만들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 중 실내 농사가 어려운 감귤에 중점을 잡고 감귤에서 주로 나타나는 흑점 영상 인식에 대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HSV 공간으로의 변환과 LBP 기법을 통해 간단하지만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했다. 자원과 계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델을 간략화 하였으며 추후 스마트팜의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Swin Transformer를 이용한 항공사진에서 다중클래스 차량 검출 (The Detection of Multi-class Vehicles using Swin Transformer)

  • 이기춘;정유석;이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2-114
    • /
    • 2021
  • 도시 상태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운송 수단 수, 교통 흐름등이 필수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Mask R-CNN을 이용하여 다양한 차량의 형태를 학습하고, 드론으로 촬영한 도시항공 영상에서 특정 유형의 차량 들을 검출하는 시스템을 오늘날 NLP 분야에서 널리 쓰이게 된 Transformer 모델을 컴퓨터 비전 문제에 도입하여 기존의 컨볼루션 신경망보다 높은 성능을 보여준 Swin Transformer 모델을 이용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보여주었던 검출 시스템 능력을 향상시켰다.

  • PDF

도시 플랫폼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플랫폼 연동 구현 사례 (Implementation of Interworking between the Smart City Platforms for Enhancing City Data Interoperability)

  • 김성윤;성낙명;박승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6-159
    • /
    • 2022
  • 최근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시티를 이룩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발생하고 있다.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시티를 위해서는 국내 108개 지자체에 보급된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활용을 통한 시너지를 발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 플랫폼 간 상호운용성을 향상하기 위해 도시 데이터 플랫폼으로 연구 중인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와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간의 연동 구현 사례로써,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의 도시 상황 이벤트를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로 연계하고,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에서의 데이터 융·복합 분석 결과로써 도시 예측 이벤트를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으로 연계한 구현 사례를 기술한다.

  • PDF

세종시 스마트시티 구상 및 수립 방안 (Planning and Establishment of Sejong City Smart City)

  • 박정수;정한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1-163
    • /
    • 2021
  • 산업혁명 이후 일자리를 찾기 위해 수많은 사람이 도시로 모여들어, 현재 세계 인구 50% 이상이 도시에 살고 있다. 이러한 도시 집중화는 앞으로도 급속히 전개되어 2035년에는 75% 인구가 도시에 살 것으로 전망된다. 대도시는 점점 높아지는 인구 밀도로 인하여 환경 오염, 심각한 교통 체증, 지나치게 빠른 에너지 고갈 및 자연 생태계 파괴 등 부작용이 발생하면서 지속가능성이 떨어지고 있다. 또한, 높은 범죄율과 안전사고, 불평등과 양극화로 인한 일과 삶의 불균형, 지나치게 경쟁적인 교육 등으로 대도시 시민들의 행복 지수 역시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급자, 관리자 중심이 아닌 사용자와 시민 중심으로 설계, 운영, 관리되는 IT 기술 기반 미래형 도시 모델인 스마트시티가 탄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도 국가 중점 사업으로 스마트시티의 효율적인 건설 및 운영을 통해 도시 경쟁력을 향상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려는 시도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토종합계획 및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스마트시티 전략계획 등을 기반으로 세종시의 스마트도시서비스 기반 시설 등의 기본 방향 및 추진 전략을 검토하고, 관련 계획의 연관 관계를 조사하여 세종시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 검토와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추진 체계 및 정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

도시 쇠퇴지역 공간 특성을 반영한 적합 도시재생 사업유형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uitabl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ypes Reflect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Declining Areas)

  • 조돈철;신동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48-163
    • /
    • 2021
  • 본 연구는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17년부터 시작된 도시재생 뉴딜사업(이하 '뉴딜사업')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데이터 기반의 정확한 쇠퇴진단과 사업유형 예측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전국 읍면동을 대상으로 가장 적합한 뉴딜사업 유형을 판별할 수 있는 적용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적용 모형 개발을 위한 데이터는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와 도시재생정보체계의 '도시재생 종합정보 개방체계'를 통해 수집하고 데이터 전처리를 거쳐 분석 모델을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적용 모형은 다항 회귀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4가지 모형을 도출하였다. 4가지 모형의 적용 가능성과 유효성 검증을 위해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각 모형별로 기존에 선정된 뉴딜사업지에 공간분포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DI-54 모형이 가장 높은 일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I-54 모형을 전국 954개 도시 쇠퇴지역에 적용해본 결과에서도 적합 도시재생 사업유형 판별에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지털 트윈 구현을 위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3D Geo-spatial Information for Digital Twin Implementation)

  • 김승엽;이호현;최은수;고제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6-160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ICT 기술을 활용한 도시문제 해결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스마트시티에 관한 다양한 실증연구가 수행되고 있고, 스마트시티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과 가상환경을 상호연결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으로 구현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려면 공간의 개념이 필수적이며 실세계를 구성하는 공간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기 위해 전주시의 건물, 수자원시설, 교통시설물을 대상으로 국가공간정보 구축규정과 국제표준 CityGML을 기반으로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모델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증지역인 전주시를 대상으로 구축 범위별 세밀도 (LOD)를 정의하고 세밀도 별 데이터 수집, 분석 그리고 구축을 통해 공간정보 기반의 디지털 트윈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트윈 구현을 위한 도시 단위의 공간정보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구축결과를 도시 표준모델로 모델화했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스마트시티 및 디지털 트윈 구축을 추진하는 정부와 지자체에서 세부적인 구축방안, 표준정립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