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온도

Search Result 49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f Green Roofs on Indoor Temperature Reduction (옥상녹화의 건물 내 온도 저감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 Kang, Da Won;Choi, Hui Dong;Seo, Yo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57-157
    • /
    • 2021
  • 2015년 파리에서 체결된 파리협정은 1850년 대비 2100년까지의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5℃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5년마다 참여국에 상향된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를 제출하게 하고, 탄소 배출 및 온도상승 저감 목표 달성을 위해 도시 내 그린인프라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등 국제사회 공동의 종합적인 이행을 예정하고 있다. 그린인프라의 유형 중 하나인 옥상녹화(Green Roof)는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도시 인프라 구축 방법의 하나로 국내에서도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옥상녹화(Green Roof)는 도시의 불투수층인 지붕 면적을 모두 혹은 일부 식생으로 덮어 표면층에 추가의 투수층을 조성하는 것을 지칭한다. 옥상녹화의 경우 별도의 토지면적 확보가 필요하지 않고 기존의 시설물에 추가적인 설치가 가능해 여분의 토지가 부족한 도심지의 녹지 확보를 위한 친환경적인 그린인프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까지 옥상녹화(Green Roof) 관련 국내 연구 현황은 '옥상 녹화의 공법'을 다룬 비율이 높고 실증적인 결과를 가진 선행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일한 조건하에 4개의 실험동을 설치하고 동질성 검사를 한 후 옥상에 설치된 재료[일반 콘크리트(Bare Concrete), 고반사 도장(High Reflective Paint), 사사(Short Bamboo), 잔디(Grass)]에 따른 건물 내 온도 변화 저감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2020년 8월 17일부터 22일까지 측정된 지붕 표면 평균 최고온도 모니터링 결과를 일반 콘크리트 지붕과 비교했을 때. 고반사 도장 지붕의 경우 8.26℃, 옥상녹화(사사, short bamboo) 지붕의 경우 7.21℃, 옥상녹화(잔디, grass)의 경우 10.8℃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실내 천정 표면 평균 온도의 경우 콘크리트 지붕과 비교하여 고반사 도장 지붕은 6.46℃, 옥상녹화(사사, short bamboo) 지붕은 13.52℃, 옥상녹화(잔디, grass)는 13.3℃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옥상녹화의 온도저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향후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 전략적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of Flux Profile Method for Evaluating the Temperature Decreasing Effects of Green roof (여름철 옥상녹화의 온도저감효과 평가를 위한 Flux Profile Method의 적용)

  • Kwon, You Jeong;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94-94
    • /
    • 2021
  • 현재 전 지구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극단적 기후현상과 이로 인한 자연재해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과 동시에 도시화 또한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의 그린인프라와 저영향개발은 최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그린인프라 유형 중 하나인 옥상녹화는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도시에 위치한 건물의 상층부, 내부 및 주변 온도을 낮춤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에너지절감 효과와 강우 시 상당량의 빗물을 저류함으로써 기대되는 우수유출 저감효과, 그리고 도시 공간 내 식물의 적극적인 도입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열섬현상완화와 유출저감의 방안 중 하나인 옥상녹화(Green roof)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동일한 제원의 실험동을 구축하고, 실험동 내외부의 연직방향 온도, 습도, 강우, 풍속, 일사량 등의 기상자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였다. 각 실험동에서 측정된 기상자료를 Flux Profile Method를 적용하여 무강우기간과 강우발생기간 동안의 연직 방향의 현열속, 잠열속, 토양열속(H, LE, G) 을 산정하였다. 에너지 평형에 따라 산정된 각 실험동의 열속과 지표면 복사량 관측자료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의 대조군인 일반 코팅재로 마감된 콘크리트 지붕의 무강우 기간 중 최대 현열속 693.82 W/m2 잠열속은 330.15 W/m2 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인 옥상녹화가 조성된 지붕의 최대 현열속 436.27 W/m2, 잠열속 949.20 W/m2 으로 나타났으며, 산정치와 관측치 시계열의 NSE는 0.81 으로 Flux Profile Method를 통해 산정된 열속의 정확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옥상녹화의 정량적 평가가 가능해짐으로써 향후 기후변화 대응방안 및 전략 수립 시 옥상녹화의 온도저감효과 분석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Criteria for Demarcating Ecological Types of Urban Areas by the Affection of Ecosystems - Case Study in Gangdong-Gu, Seoul - (시가화지역 생태적 유형구분을 위한 관련지표 특성 연구 - 서울시 강동구를 사례로 -)

  • Hong, Suk-Hwan;Lee, Kyong-J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2
    • /
    • pp.24-31
    • /
    • 2008
  • Studies for demarcation of urban areas by ecological type have been developed, but the demarcation of urban areas by ecological perception is thus far dependent on artificial land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that account for the urban area ecosystems by surveying a variety of ecosystem factors. By land use type, the urban area of Gangdong District, Seoul was defined. Then ecological factors in each polygon were surveyed. Ecologic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energy use(building coverage ratio, floor area ratio and ground temperature), water circulation(biotope area factors and impermeable pave ratio) and biological diversity(bird appearance index and green area ratio).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urban ground temperature is divided into three groups(high, middle and low) by the biotope area factor. The bird population is divided into two groups(abundant and scarce) by the green area ratio. Therefore, demarcating the urban areas by ecological type is applicable to the biotope area factor and green area ratio.

Case-study of the technological trajectory through the technology-product-industry road map -CDRS technology of using Unutilized Energy (기술-제품-산업연관도를 이용한 기술 경로의 사례조사 -CDRS의 미활용 에너지 이용 기술)

  • 전지훈;안은영;허은녕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613-616
    • /
    • 2003
  •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요면에서 살펴보면 가정 및 상업부문은 냉난방, 급탕용 에너지수요의 급증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일 전망이다. 냉난방, 급탕용 에너지수요는 10$0^{\circ}C$ 미만의 비교적 중저온이며, 이러한 열수요에 대해 수백도에서 천도 이상의 온도를 얻을 수 있는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공급하는 것은 에너지ㆍ환경면에서 불합리하다. 또한 도시지역내에서 외부로 배출되고 있는 각종 온도의 열에너지는 도시환경의 저해하고 있어, 에너지절약과 도시환경을 위해 미활용에너지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중략)

  • PDF

Applicability of UAV in Urban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도시 내 열환경 분석에서 무인항공기의 활용가능성)

  • Kang, Da-In;Moon, Ho-Gyeong;Sung, Sun-Yong;Cha, Jae-Gy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6 no.2
    • /
    • pp.52-61
    • /
    • 2018
  • Urban heat islands occur due to increases in the extent of artificial surfaces such as concrete, asphalt and high-rise buildings. In this regard, research into the use of satellite thermal infrared images for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of urban areas is being carried out. However, suc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and cover with low-resolution satellite images suffers from limitations because land cover patterns in urban areas are complicated. Recently, UAV has been widely used, which can compensate for this limitation as it is able to acquire high-resolution images. In this paper, the accuracy of UAV infrared images is verified and the applicability of UAV in urban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is examin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land surface temperatures from Landsat 8 thermal images. The results show a high positive correlation of temperature values at 0.95,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mparisons of land surface temperature according to land cover showed that the largest difference observed was $4.63^{\circ}C$ in the Used area, and UAV images with small cell units reflected various surface temperatures.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surface temperatures of various green spaces such as wetlands and street tree areas, which can lower surface temperatures in urban areas, with street tree shadows reducing surface temperatures by about $4-6^{\circ}C$. UAV can easily and rapidly measure the surface temperature of urban areas and is able to analyze various types of green spaces. Thus, this is an effective tool for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in urban areas to aid in the design or management of urban green spaces, as it can allow for land cover and the effects of the various green spaces.

Relationship Analysis of Urban land Cover with Temperature Distribution using remotely Sensed Data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도시지역 토지피복과 열 분포 상관성 분석)

  • 조명희;이광재;김운수;전병운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42-48
    • /
    • 2001
  • 오늘날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시·공간적 분석은 인간활동에서부터 자연환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기법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성원격 탐사자료와 GIS를 활용하여 시기별 도시지역에서의 열 분포 특성을 추출하여 토지피복과의 상관관계를 시·공간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시기간 도시 열 분포의 특성을 도시성장과 함께 해석함과 동시에 보다 명확 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Landsat TM band 6의 DN value를 이용한 지표온도 추출에 있어서 NASA 모델을 활용하여 대구시 주변지역 8개 지점의 AWS 실측 값과 서로 상관 분석한 결 과 평균 0.85의 상관정도를 얻었다. 또한 토지피복분류를 통하여 도시성장에 따른 열 분포 및 식생지수의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1,000지점에서 sample 자료를 추출 하여 지형특성별 열 분포의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도시환경 특성을 고 려한 환경 친화적인 도시계획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Hydrogen production from DME (dimethyl ether) (DME(디메틸에테르)로부터 수소화 연구)

  • Baek, Young-Soon;Yan, Yun-Bin;Oh, Young-Sam;Cho, Won-Ihl;Kim, Byung-J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93-95
    • /
    • 2006
  • 도시가스, LP 가스, 가솔린 등의 수증기 개질의 반응온도가 $700^{\circ}C$이상의 고온에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DME 수증기 개질의 반응온도는 $400^{\circ}C$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이루진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황 성분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원료로부터 탈황 과정이 필요 없다. 특히 DME 수증기 개질의 경우 반응온도가 낮은 것과 개질 촉매가 일반적으로는 Cu 계 촉매이기 때문에 도시가스 등의 개질장치와 달리 CO 변성 장치가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수소제조를 위해 개질장치가 소형화 가능하고 연료전지 자동차로의 탑재가 용이하여 가능성이 높다 개질장치가 소형화 가능한 것으로 메탄올의 수증기 개질이 있지만 메탄올은 독성이 있다는 점이 문제시되고 있다. 그 점에서 메탄올의 수증기 개질 보다 반응 온도는 다소 높게 되지만 독성 없는 DATE는 기존의 LP가스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는 ME는 특히 우수한 수소제조를 위한 원료이고 수소저장체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능성 높은 촉매를 사용하여 DME로부터 수소 전환율, 수소 생성속도와 양에 대한 실험실적 결과를 고찰하고자 수행하였다

  • PDF

Effect of Land Use on Urban Thermal Environments in Incheon, Korea (인천시에서 토지이용이 도시 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Kong, Hak-Yang;Kim, Seog Hyun;Cho, Hyungji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4
    • /
    • pp.315-321
    • /
    • 2016
  •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thermal environment in an urban area, the air temperature was measured at different places of land use, and the changes of land use and air temperature were traced for 40 years in Incheon City.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temperature was also investigated using satellite image data. The results of temperature measurements on a forest, a cropland (rice paddy), a bareland (school ground), and an urban area (asphalt road) from 19 to 21 August 2014 showed that air temperature was the highest on a pavement road. The temperature increased by about $1.4^{\circ}C$ ($0.035^{\circ}C/year$) for 40 years from 1975 to 2014 in Incheon. The changes in land use patterns of Incheon for the past 40 years showed that urban dry land, bareland and grassland have increased and cultivated land, wetland and forest land have decreased gradually.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was correlated with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normalized difference built-up index (NDBI) extracted from Landsat satellite image.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was lower at higher NDVI, and higher at higher NDBI.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erve and restore the land use of greenery, wetlands, and agricultural land in order to mitigate the heat island effect and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in an urban area.

Analysis of Changes in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according to Tree Planting Campaign to reduce Urban Heat Island - A Case Study for Gumi, South Korea -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나무심기운동에 따른 지표면 온도 변화 분석 - 구미시를 사례로 -)

  • KIM, Kyunghun;KIM, Hung Soo;KWON, Yong-Ha;PARK, Insun;CHOUNG, Yun-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5 no.1
    • /
    • pp.16-27
    • /
    • 2022
  • Due to climate change, temperature is rising worldwide. Since rapid growth has been achieved focused on cities, South Korea is experiencing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heat island and air pollution in urban areas. To solve this problem, the central and each local government are actively promoting tree planting campaigns. This study quantitatively calculated changes in green areas and vegetation of Gumi by the tree planting campaign, and analyzed the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ly. For the target area, the green area, vegetation index, and ground temperature were calculated for 4 different time periods using the given Landsat satellite imag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reen area of was increased by 7.24km2 and 4.93km2 for two regions,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vegetation index increased by 0.14 to 0.16, and the temperature decreased by 0.8 to 1.2℃. The Tree planting campaign not only plays a role in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city but also does various roles such as air purification, carbon absorption, and providing green rest areas to citizens. Therefore the campaign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 Study on Land Surface Temperature Changes in Redevelopment Area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s : Focusing on Godeok-dong and Dunchon-dong in Gangdong-gu, Seoul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한 재건축 지역의 지표 온도 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강동구의 고덕동과 둔촌동을 중심으로)

  • Jihoon HAN;Chul S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6 no.2
    • /
    • pp.42-54
    • /
    • 2023
  •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nd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are transforming into high density residential areas through redevelopment to meet this demand. However, large-scale redevelopment in a short period of time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urban climate, such as generating a heat island effect due to the reduction of urban green areas. In this study, the change in surface temperature from 2013 to 2022 in the redevelpment areas of Godeok-dong and Dunchon-dong, Gangdong-gu, Seoul, was analyzed using Landsat 8 satellite images. In the Godeok-dong area, the difference in surface temperature was analyzed for the target redevelopment area, forest area, mixed forest and urban area, and low density residential area. In the Dunchon-dong area, the difference in surface temperature was analyzed for the target redevelopment area, forest area, and low density residential area. The difference in surface temperature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yearly over the three different stages in redevelopment period. The results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in both areas,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of target redevelopment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orest area and lower than low density residential area. It can be seen that these results occurred because the low-density residential area in Godeok-dong and Dunchon-dong had a lower green area ratio and a higher building-to-land ratio than the target redevelopment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ven if low-density residential areas are transforming into high-density areas, adjusting the management of green areas and building-to-land ratio can contribute to lessen urban heat island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