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연구

Search Result 12,00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City characteristics on City Brand Personality and City Evaluation (도시특성평가가 도시브랜드개성과 도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Yoo, Changjo;Hwang, Tae Gyu;Lee, Sang Hyun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0 no.3
    • /
    • pp.31-5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of city brand personality and those effects on city brand personality and attitude toward city. This study attempts to confirm dimensions of city characteristics and city brand personality, and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city characteristics, city brand personality and attitude toward city. The result showed that various characteristics of city (culture and historic characteristics, life stability, facility convenience, economic factors, the image of city appearance, nature friendly characteristics) influence city brand personalities. In addition, city brand personalities (vivid personality and stable personality) are positively related to attitude toward city and mediated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ity and attitude toward city.

  • PDF

A Study on Strategic City Brand Policy: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ity brand slogans in Seoul and overseas case studies (전략적 도시 브랜드 정책 연구: 서울시와 해외 도시 브랜드 슬로건의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 Lim, Haewe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7
    • /
    • pp.41-50
    • /
    • 2021
  • All cities have constructed city branding strategically to intensify their competitiveness in global arena. Seoul Metropolitan has launched city brand in policy-level since 2003 and they have struggled to utilize city branding until now.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s in Seoul's city brand in order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such efforts. The research is grounded in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theories and case studies are considered from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place marketing, city marketing, and city branding.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dicating that an unsure city brand requires strategic governance among stakeholders and civic consensus.

Theoretical Study on Urban Brand Formation Facto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도시브랜드 형성요인에 관한 개념연구 (도시브랜드 관련의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 Kwon, Ji-Hye;Park, Seu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4
    • /
    • pp.202-213
    • /
    • 2018
  • In order to survive the competition, cities are trying to form an original city brand through attractive city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urban brand formation and to present the framework of the theoretical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factors of city brand formation by examining the precedent studies of city brand, and to suggest new urban brand conceptualization based on thi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of city brand which are mentioned in 20 major researches on the evaluation criteria or strategy among the previous studies on urban bran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factors that form the city brand can be classified into 1) landscape factors, 2) administrative factors, 3)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4) cognitive factors, and 5) empirical factors. Based on these factors, it is possible to form an original city brand, which is expected to enhance urban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A Study on Perceived City Brand Image and Consumer Behavior (도시브랜드이미지 인식과 소비자 행동 연구)

  • Park, Gwijeong;Park, So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7
    • /
    • pp.145-151
    • /
    • 2018
  • This paper is a study on city brand development which is increasingly interested as a means to enhance the attractiveness of the city. the previous research, the design of city brand identity was an application from the internal stakeholder's point of view related to the metropolitan government. However, in the present study, we tried to take a external approach that perceptions and designs city brands from the related to the consumer. For the purpose of research,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extracted three images of leading, stable and amusing city brand images and prepared three scenarios for the imaginary city as experimental stimuli.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city brand attitude, residence intention, and tourism intention to the imaginary c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ading, stability and amusement brand ima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ffort the development of city brand image which is perceived by consumers in order to differentiate city.

A Study on the Patter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도시재생사업 유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시 도시정비예정구역을 대상으로 -)

  • Cho, Boung-Ho;Lim, Young-Teak;Choi, Bo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26-228
    • /
    • 2009
  • 본 연구는 대전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이 수립된 지 2년여가 경과하였고 목표연도(2010년)가 다다른 시점에서 도시재생 취지에 맞게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예정구역을 평가 분석하고,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재생을 위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으로 유형화의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도시재생 관련 선행연구와 도시재생 사례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대전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에 대해 분석한 후, 기존의 물리적 환경에 의해 구분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도시재생의 취지에 맞도록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적 환경의 특성을 고려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유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U-City Service Taxonomy and Define for Construction of U-City Management Center (U-City 통합운영센터 구축을 위한 서비스 분류 및 정의에 관한 연구)

  • Baek, Nam-Seok;Kim, Byoung-Gun;Leem, Choon-Se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110-114
    • /
    • 2009
  • 최근 정보기술과 유비쿼터스기술을 바탕으로 도시를 미래화하는 유비쿼터스도시(U-City)구축이 범 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08년 9월 25일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발표하였으며,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U-City Service)를 크게 행정, 교통, 보건 의료 복지, 환경, 방범 방재, 시설물 관리, 교육, 문화 관광 스포츠, 물류, 근로 고용 등의 분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제공하고 운영 및 관리하는 시설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U-City Management Center)는 다양한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도시정보를 통합, 분석하고 제공하는 유비쿼터스도시 핵심기능을 담당한다. 하지만 이러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의 구축은 운영조직구성, 운영비용확보, 통합서비스 제공방안, 법 제도 정비 등의 해결과제를 가지고 있어 구현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비쿼터스도시 통합운영센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 유형을 제시하고 정의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City Brand-Self Congruity on Attitudes toward City and Moderating Effect of City Brand Personality (도시브랜드-자아일치성이 도시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도시브랜드개성의 조절적 역할에 관한 연구)

  • Park, So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3
    • /
    • pp.129-13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ctual self congruity and the ideal self congruity on positive attitudes toward city through fictitious city brand experiments. Additionally, the moderating role of city brand personality in relationship between brand-self congruity and positive attitudes are examined.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after developing scenarios of two city brand personality.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test to check the experimental manipu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how test for hypothesis testing were performed through the SPSS Statistics 21 program. The self congruity of city brand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titudes toward city, but the moderating role of city brand personality was not significant.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self congruity is an important variable in brand-consumer relationship in city brand.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Identifying High-Priority Management Areas for Developing the Urban Disaster Risk Management System for Flood (도시 재해저감 업무지원 시스템 구현을 위한 도시침수 중점관리 대상지 선정)

  • Kim, Mi-Eun;Kim, Seul-Ye;Lee, S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8-128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물과 관련된 자연재해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세계재난데이터베이스(EM-DAT)에서 집계한 물과 관련된 중요한 자연재해의 피해액은 지난 50년 동안 많은 투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피해액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의 경우, 전 국토의 70% 이상이 산악지형으로 구성된 지형적 요인, 인구 및 사회기반시설이 집중되는 도시지역의 확대 현상, 빈번히 발생되는 이상강우와 강우강도의 증가 등으로 전국 곳곳에서 큰 침수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침수의 저감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부처에서 도시계획적 및 방재차원에서 관련 정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실무적 측면에서 실효성이 낮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 담당자의 업무부담을 줄여주면서 기술지원이 가능한 도시침수 위험도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재해에 대해 평상시 위험도 정보를 기초로 시설투자, 개발계획 조정 등 사전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도시침수의 위험정도에 따른 지역 분석과 중점관리 대상지 선정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해통계자료를 토대로 전국 226개 지자체에 대해, 최근 8년(2008~2014년) 간 발생된 호우 발생빈도와 피해액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도시침수의 위험지역을 분류하였다. 국가재난정보센터의 재난통계기록의 호우발생횟수와 도시침수에 대한 피해정도를 고려하기 위해 건물과 공공시설에 대한 피해액을 분석항목으로 적용하였다. 이에 대한 도시지역의 침수발생에 대한 중점관리대상지 선정을 위하여 각 행정구역의 면적계수를 적용한 뒤 분위분석을 실시하였다. 호우 발생빈도와 피해액에 따라 위험도가 75% 이상으로 도시의 침수피해가 가장 높은 지역, 50% 이상이며 75% 미만인 지역, 25% 이상이며 50% 미만인 지역, 25% 미만으로 위험도가 가장 낮은 지역으로 도시침수 위험지역을 상세 분류하고 도시침수에 의한 중점관리가 필요한 대상지 35개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의 도시계획 및 방재 측면에서 도시침수와 관련된 저감대책을 고려 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고, 지자체별 지원 규모 설정 시 적정 기준제시가 가능할 것이다.

  • PDF

Study on Increase of Urban Air Temperature at Coastal Urban Area (연안도시 부산지역에서의 열섬에 관한 연구)

  • 김유근;홍정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379-381
    • /
    • 2000
  • 도시의 기온은 지표면 피복상태의 변화와 도시내부의 에너지 사용의 증가에 의해서 주변의 교외지역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시기후의 연구에 있어서 도시와 교외의 기온의 비교 연구는 도시기상의 기초가 되어 왔다(Howard, 1883, Lowry, 1969). 일반적으로 도시가 교외보다 기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온이 높은 영역은 도심을 중심으로 나타나면서 도시열섬(Heat Island)으로 일컸는다. (중략)

  • PDF

A Study on Service Classification System for Urban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Kim, E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277-282
    • /
    • 2010
  • IT를 매개로 서로 다른 분야의 기술들이 상호 융합되어 새로운 서비스 또는 기술을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패러다임은 도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보장과 시민복지 향상, 신산업 창출 등 도시의 제반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를 의미한다. 성공적인 u-City 건설을 위해서 기존의 지자체GIS 개념을 확대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이 필요하며, 지능형 도시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가 요구된다. 이러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는 도시 전반의 영역에서 제시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서비스를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의 개념을 살펴보고, 기존 u-City 관련 서비스 분류에 관한 선행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분류체계를 제시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