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성

Search Result 6,35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Indicators for identification of urban flood vulnerability (도시홍수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 Lee, Gyumin;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88-88
    • /
    • 2016
  •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홍수 중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킨 2010년 광화문 일대와 2011년 강남역 일대 홍수의 주요 원인은 하천관리를 통하여 대응해온 지금까지의 홍수와는 달리 도시의 우수배제 기능이 높은 강도의 강우에 대응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도시내부에서 발생한 이 같은 홍수는 도시의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거주민의 안전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기능과 거주민의 안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홍수 취약성평가 인자를 선정하고자 한다. 기존의 여러 홍수취약성 연구들에서는 취약성을 평가함에 있어 피해금액을 기준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장기적인 홍수대응, 완화 정책의 구상에 있어 예상되는 피해금액은 중요한 지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도시에서 발생 가능한 피해를 모두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도로, 지하철, 철도 등의 교통수단이 침수되는 경우, 피해회복을 위한 비용뿐만 아니라, 도시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주어 도시의 생산성, 안정성에 막대한 피해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피해금액의 규모에 대한 접근만으로는 도시에서 발생한 홍수에 의해 피해를 받는 취약요인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 피해양상과 이에 대한 대응 방법 등 홍수의 물리적 위험성 뿐 아니라 홍수와 연관된 사회적인 요인들을 반영한 취약성 평가인자를 구성하기위하여 인자간의 인과관계 등을 고려하여 인자의 범위를 규정하고 델파이 설문조사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전문가 의견을 수집, 분석하였다. 홍수취약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크게 3가지 그룹으로 정리하여 도시구조물, 거주민, 위험요인으로 구분하고 각 항목별로 영향인자을 선정하였다. 결정된 인자는 2011년 홍수피해가 발생한 도림천 유역에 적용하여 홍수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Agglomeration Economies, Trade, And System of Cities : A General Equilibrium Approach

  • 권영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6 no.2
    • /
    • pp.57-82
    • /
    • 1988
  • 본 연구는 도시규모 결정에 관해 수요 또는 공급측면만을 중시하는 재래식 접근 방 법을 통합, 개선하는 일반균형의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국가 도시규모체계의 효율성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모형의 주요한 요소는 도시집적이익 및 불이익, 산업구조 그 리고 도시간 자원이동 및 무역을 통한 상호의존성 등이다. 엄밀한 이론적, 절대적 적정 도시 규모체계는 모든 도시가 완전자립 하에 단위도시 적정규모를 이루어 동일규모일 때 가능하 며 시민의 복지가 극대화된다. 그러나 실제 인적, 물적 이동성이 완벽하지 않은 현실 하에서 는 도시규모간 위계성이 생기게 되며 이는 도시간 무역을 가능케하여 상대적 도시규모의 적 정성을 대변해 준다.

  • PDF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City characteristics on City Brand Personality and City Evaluation (도시특성평가가 도시브랜드개성과 도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Yoo, Changjo;Hwang, Tae Gyu;Lee, Sang Hyun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0 no.3
    • /
    • pp.31-5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of city brand personality and those effects on city brand personality and attitude toward city. This study attempts to confirm dimensions of city characteristics and city brand personality, and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city characteristics, city brand personality and attitude toward city. The result showed that various characteristics of city (culture and historic characteristics, life stability, facility convenience, economic factors, the image of city appearance, nature friendly characteristics) influence city brand personalities. In addition, city brand personalities (vivid personality and stable personality) are positively related to attitude toward city and mediated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ity and attitude toward city.

  • PDF

Study on the Conformance Test Model for Intelligent Urban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적합성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 Kim, Eun-Hy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3
    • /
    • pp.23-31
    • /
    • 2011
  • As demands of intelligent urban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are increasing in u-Cities, development and use of service standards for the cities are required to make the services interoperable. Conformance tests can be conducted for the standards to implement the services more interoperably and consistently. To improve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services,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valuation model for services in a perspective of conformance tests. In the context, this study reviews the related references and establishes a conceptual model of the conformance tests for the services and provides an application of the model to a monitoring service for flowing water quantity to prove its usefulness.

The City Ecological Soundness Index Development Based on the City Biodiversity Index (CBI) and Korean City Characteristics (우리나라 도시 특성을 고려한 도시생물다양성지수 적용성 검토 및 도시의 생태적 건전성 평가지표 개발)

  • Yun, Hyerngdu;Lee, Jangho;Choi, Intae;Park, Seokcheol;Han, Bongho;Kim, Myungj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6
    • /
    • pp.442-456
    • /
    • 2016
  • The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CBD) encourages the use of the City Biodiversity Index (CBI) as a monitoring tool to assist local authorities in evaluating their progress in urban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 CBI has been applied to conserve the city biodiversity.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City Ecological Soundness Index (CESI) based on the CBI and Korean city characteristics. The CESI includes total of 12 indicators grouped in three categories, which are 'biodiversity,' 'ecosystem services' and 'governance and management.' 85 cities in Kore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ity size and type. 18 cities have applicable biotope map, which were analyzed in the CESI pilot study. The CESI will contribute to collect and manage biodiversity data systematically and to promote biodiversity-related actions.

The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on Urban Runoff (저영향개발기법이 도시 유출에 미치는 영향)

  • Kim, Hee Soo;Chung, Gun 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91-391
    • /
    • 2021
  • 최근에는 도시에는 불투수 면적의 증가로 지면 침투량이 줄어들고 유출량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지면에서의 먼지 등 비점오염원의 유출로 인한 수질악화도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도시의 개발에 따른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저영향개발기법(Low Impact Development)을 도입하여 도시 물순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유역에서의 유출량 분석을 위해 저영향개발기법 중 투수성포장과 옥상녹화 등을 적용하여 침투량의 증가와 유출량 감소 결과를 분석하였다. 투수성포장과 옥상녹화의 영향이 크지는 않지만, 도시에서의 유출량 저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도시 물순환 건 전성 확보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는 도시 개발 계획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도시 공간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 PDF

Urban Flood Modeling with Anisotropic Porous Shallow Water Model (비등방 다공성 2차원 천수모형을 적용한 도시홍수 모델링)

  • Kim, Byunghyun;Kim, Hyun Il;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14-414
    • /
    • 2020
  • 고전 천수방정식을 적용한 2차원 도시홍수 모델링에서는 지형의 정확한 반영을 위해 고해상도 격자가 요구되며 이는 많은 계산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다공성 천수방정식을 적용한 도시홍수해석으로 많은 계산 노력이 요구되는 도시홍수모델링의 한계를 극복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 홍수에서 흐름이 공간적으로 변화할 때 불균일 공극이 존재하므로 격자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이러한 불균일성을 해결하고자 하는 등방성 천수모형의 적용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등방성 공극을 고려한 도시홍수 해석모형은 대표요소체적(REV)보다 더 큰 격자의 적용을 해야 하는 제한성을 가진다. 반면, 비등방성 공극은 대표요소체적의 적용이 필요하지 않아 불균일 공극의 크기에 관계없이 이론상으로는 동일한 해상도의 격자가 사용가능하긴 하지만, 실제 도시홍수 해석에서 중요하면서도 도전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의 효율적 계산을 위해 비등방성 공극을 고려한 적분형 다공성 천수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2차원 도시홍수 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개발을 위해, 적용 격자내에서 도시지역의 건물이 차지하는 길이 및 면적을 산정하고 그 값을 2차원 천수방정식에 적용 가능하도록 체적공극(𝜙j)와 면적공극(𝜓k)을 2차원 고전 천수방정식에 추가하였다. 개발모형은 고전 천수방정식, 등방성 공극 고려(미분형 다공성) 천수방정식 및 비등방성 공극 고려(적분형 다공성) 천수방정식의 적용이 가능하여, 각 모형에 적합한 2차원 격자 생성, 각 모형의 매개변수를 보정 그리고 정확성, 효율성, 적용성이 비교 가능하다. 각 모형의 정확성과 효율성 비교를 위해 3가지의 오차 비교 (구조적 오차, 격자크기 오차, 공극 모형 오차), 계산시간 비교, 공간 변동성 검증을 위한 수심 종단형상 비교하였다.

  • PDF

Specialized Industries and Industrial Connectivity of Cities in Yeongnam area: Analysis on the Basis of Network City Theory (영남권 도시들의 특화산업과 산업연계: 네트워크도시이론에 바탕을 둔 분석)

  • Choi, Byung-Doo;Um, Jin-Chan;Chae, Eun-Hy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4
    • /
    • pp.718-742
    • /
    • 2014
  • The capitalist economic process of glocalization and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led us to the significance of network city as well as concepts of global city, megacity region, etc. Network city theory pursues development of both individual cities and of the region of those cities through strengthening of mutual connectivity among them with specialized industries. On the basis of network city theory, this paper is to analyze specialized industries of cities and connectivity among them in the Youngnam region in S. Korea. It uses the methods of locational quotient, locational Gini coefficient, and shift-share method to analyze specialized industries of citie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global and local Moran's I to examine connectivity among cities. As results, it can be identified that each city in the Youngnam region has its own specialized industries different from each others, but it seems not easy to grasp the overall extent of connectivity among them, partly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applied analysis methods and partly because of a lack of connectivity among cities themselves.

  • PDF

A Study of Design Evaluation Factors to Improve Urban Landscape Media (도시경관미디어 개선을 위한 디자인 평가 요소에 관한 연구)

  • Han, In-Kyo;Kim, Gi-Jung;Kim, Ki-Uk;Park, Jae-Young;Lee, Jung-B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93-59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디지털 미디어와 도시경관과 결합한 형태로 나타난 제3의 공간인 도시 경관 미디어의 디자인 방향성 제시와 분석틀을 제안하는데 있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다양성과 독창성은 도시 환경을 미학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문화컨텐츠의 중요성을 부각시킴으로써 도시의 정체성을 높이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도시 경관은 도시 활동의 근원으로써 정보의 공급 역할, 공공의 장으로서 휴식과 나눔의 기능, 담론의 장으로서 커뮤니케이션 공간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시 경관 미디어 시설물 평가요소 도출과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on Urban Runoff (저영향개별기법이 도시 유출에 미치는 영향)

  • Kim, Heesoo;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87-187
    • /
    • 2020
  • 최근에는 도시에는 불투수 면적의 증가로 지면 침투량이 줄어들고 유출량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지면에서의 먼지 등 비점오염원의 유출로 인한 수질악화도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도시의 개발에 따른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저영향개발기법(Low Impact Development)을 도입하여 도시 물순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유역에서의 유출량 분석을 위해 저영향개발기법 중 투수성포장과 옥상녹화 등을 적용하여 침투량의 증가와 유출량 감소 결과를 분석하였다. 투수성포장과 옥상녹화의 영향이 크지는 않지만, 도시에서의 유출량 저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도시 물순환 건 전성 확보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는 도시 개발 계획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도시 공간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