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설계지역

Search Result 55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applying Green Roof in the CheonggyeCheon Watershed (청계천 유역의 옥상녹화 적용에 따른 유출저감 분석)

  • Park, Gu Young;Yang, Jeong Seok;Lee, Jae Beom;Bang, Yong 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00-400
    • /
    • 2015
  • 기후변화로 인해 예측하기 어려운 강우패턴의 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로 도심지는 매년 침수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배수시설의 개선은 인구밀도가 높고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지에서 이루어지기 쉽지 않은 상황이며, 강우패턴의 변화는 예측과 대처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침투증진을 통해 직접유출수를 줄이는 연구 중 LID(Low Impact Developmen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LID기법은 도시화로 증가된 불투수면을 투수면으로 대체하여 저류, 침투, 여과, 증발산을 유도하여 물 순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옥상녹화, 투수성포장, 침투 트렌치 등의 기술요소가 있다. LID 기술요소에 대해 국외의 경우 설치방안과 평균적인 저감효과를 메뉴얼로 제시하고 있지만, 강우 및 토지의 지역적 편차가 큰 국내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LID 모델링의 경우 유역 내 적용 면적에 따른 유출저감효과를 제시하는 연구결과는 다수 제시되고 있지만, 적용 면적과 지점에 따라 효율성을 제시하는 점에서는 다소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LID 기술요소 별 설계 사례와 GIS를 바탕으로 유역 내 적용 지점과 면적을 산출하고, 적용 지점 및 면적에 따른 저감 효율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SWMM모형을 이용하여 LID 기술요소 중 옥상녹화를 적용하여, 강우 강도와 적용지점 및 면적에 따른 유출저감 효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은 청계천 유역으로 총 면적의 75% 이상이 주거지, 상업지, 교통시설 등을 포함한 불투수면으로 이루어져있는 도시 지역이다. 강우자료는 10년, 30년, 80년 빈도 확률강우량을 적용하였으며, 옥상녹화를 적용하기 위한 지점과 면적은 GIS를 기반으로 산정하였다.

  • PDF

Urban Gutter Reservoir Operating System Model Using Sensors (센서를 활용한 도심지 측구 저류조 운영 시스템 모델)

  • Lee, Woon Sung;Yuk, Youn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9-399
    • /
    • 2022
  • 최근 국지성 호우 등 홍수방어 시설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 발생으로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피해는 전체 피해액의 50%를 넘는다. 그러나 우수관거의 노후화 및 통수능 부족으로 우수의 즉각적인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침수피해의 주요 원인 중 저지대 지역 및 우수관거의 통수능력 부족이 침수피해의 가장 큰 원인을 차지한다. 따라서 도심지의 경우 내수침수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배수관거와 연계한 저류시스템 구축으로 침수 빈발 지역의 치수 능력 향상을 통하여 경제적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저류시스템은 현장 노면수 저류를 위한 측구 저류조와 저류조 운영 시스템을 의미하며, 저류조 운영 시스템 모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측구 저류조 운영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현장 센싱(Sensing)데이터와 연계할 수 있는 정보체계 및 운영 시스템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센서를 활용한 도심지 측구 저류조 운영 시스템 모델을 제시한다. 먼저 센서의 구성은 측구 저류조 내의 협소한 공간과 전원공급, 방진·방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무전원 근거리 이동통신기술(RFID)을 적용하여 측구 저류조 운영 시스템 수집서버와 통신하여 센싱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는 근거리 RFID 리더기가 측구 저류조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모듈에 수신한 저류조 개폐도어 열림과 닫힘 시그널(signal), RFID의 고유 ID 등을 전달 받아 운영 시스템 내의 RFID 이력 DB(Database)에 기록한다. 기록된 정보는 각각 RFID 일련번호, 기록 시간, 동적센서 시그널 값 등이 저장되어 각각의 측구 저류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저류량 산정을 위해서 GIS기반의 하수도 시설물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운영 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 운영 시스템은 수집된 센서정보를 시계열 단위로 분석하고 위치정보 기준으로 측구 저류조 내의 총 저류량 산출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며 결과를 표출한다. 따라서 하수도 시설물의 속성정보를 포함하여 측구 저류조 및 센서의 속성정보 정의가 필요하며, 공간정보 파일(Shape File)을 적용하여 GIS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운영 시스템은 저류조 만관상태와 총 저류량을 산출하여 침수위험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상 강우에 따른 도심지 피해를 역으로 예측하여 강우사상 빈도에 따른 측구 저류조 체적을 결정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installation of Optimal Stormwater Reservoir based on Grid units and the application of LID Facilities. (격자단위 기반의 최적 우수저류지 설치 및 LID 시설물 적용 연구)

  • Uugantsetseg, Gankhuyag;Choi, Gyung Min;Lee, J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43-343
    • /
    • 2022
  • 강우의 유출은 하늘에서 발생한 강우가 다양한 유역을 거쳐 하천 및 해안 등으로 방류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강우의 유출과정에서 좀 더 효율적인 유량처리를 위하여 대부분의 도시 유역에는 우수관망이 설치되어 있다. 우수관망은 일정 빈도 이하의 강우량 방재를 목적으로 설계하며, 해당 강우량을 초과하는 경우 침수피해가 발생한다. 우수관망의 목표 강우를 초과하는 경우를 위하여 우수 저류지, 펌프장 및 LID(Low Impact Development) 시설물 설치 등 다양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으며, 이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발생유역을 격자로 분할하여 우수의 흐름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저류지 및 LID 시설물의 설치 위치를 지정하고자 한다. 분석지역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인근이며, ArcGIS 10.8을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지형을 3D로 구현하였으며 EPA-SWMM 5.1을 이용하여 침수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구성된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를 10m × 10m 크기의 격자로 분할하여 지표고에 따른 유량의 흐름 및 중첩을 판단하였다. 분할된 격자들 중 유량의 중첩 정도가 가장 높으며 침수피해 정도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종류 및 크기를 고려한 최적의 비용과 효율을 갖는 저류지 및 LID 시설물 설치 위치를 결정하였다. 우수관망 시스템, LID 시설물, 우수 저류지 각각의 시선에서 접근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다양하고 포괄적인 방재시설물 설치를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우수 방재 시스템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수관망 시스템, LID 시설물, 우수 저류지 각각의 시선에서 접근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다양하고 포괄적인 방재시설물 설치를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우수 방재 시스템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3-Dimensional Terrain Model of Ruins Distribu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유적분포 3차원 지형모델)

  • Kwak, Young-Joo;Kang, In-Joon;Jang, Yong-Gu;Kang, Young-Shin;Kim, Sang-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4 s.31
    • /
    • pp.27-33
    • /
    • 2004
  • Recently, as a part of NGIS project, cultural-assets digital map is produced by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Cultural-assets unifie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essential to cultural properties managers md other organizations which are executing land related business for appling it at planning stage. With explosive national land developments, it has been obligated to implement surface survey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rt. In this paper, the authors used the district of Sachon city and made 3D terrain model using digital map which is made of 1/5000 stale. Moreover, the authors improved to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structure and remodeled the existing DB design in detail, and also tried recovery of past sea level, based on researches about the water level of southern area. By recover past sea level. the shell mound, apart from lever is actually near lever at past, and it make sure its nature. The authors suggested to realize shape and kind of remains which have 3D information of accuracy and actualization from surface-surveying to excavation.

  • PDF

Seismic Fragility of Sewage Pipes Considering Site Response in Korean, Seoul Site (국내 서울지역의 부지응답해석을 고려한 하수도관의 지진취약도)

  • Shin, Dea-Sub;Kim, Hu-Se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7
    • /
    • pp.33-38
    • /
    • 2017
  • The number of damaged lifeline structures have been increasing with urban acceleration under earthquakes. To predict the damage, damage mitigation technology of lifeline structures should be analyzed using damage prediction technology. Therefore, in this paper, the degree of the fragility of structures under an earthquake was evaluated stochastically through an evaluation of the seismic fragility. The aim was to develop damage prediction technology of sewage pipes among the lifeline facilities. The site response was performed using the data from 158 boreholes in Seoul and 7 real earthquake waves to determine the responses in real urban areas. The seismic fragility was deduced through a total of 29822 time history analysis. In addition, sewer pipes were evaluated and the persisting period was passed by applying the research results of strength reduction which is due to sulphate erosion.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failure probability between 300 and 800 with the smaller diameter of the representative pipes was approximately double and the size of the pip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ismic fragility function. Moreover, the failure probability of a seismic load increases by up to 10 fold as the strength reduction rate incr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ans of predicting the damage and countermeasures of sewer pipes and might be reflected in the seismic design of underground facilities.

A Strategy for Improving the Sewerage Systems of Two Rural Areas in Gyeonggi Province (경기도의 2개 시.군 사례를 통한 농어촌지역 하수도 정비 추진 방안)

  • Moon, Chul-Hwan;Ahn, Ji-Hoon;Jang, Mi-Jeong;Lee, Sang-Hyup;Cho, Young-Moo;Kim, Yun-J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6
    • /
    • pp.563-580
    • /
    • 2010
  • In 2009 th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Improvement of Sewer Service in Rural Area' aiming at reduction of the sewer servic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s well as improvement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rural area. According to the plan, the sewer system supply rate for the rural area is expected to reach up to 75% until 2015 with the budget of 4.7 trillion won (Korean currency). It is not certain, however, that the increase in the sewer system supply rate will accompany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receiving water because several veiled problems that can occur in small-scale sewer treatment plants are poorly addressed in the plan. In this study, those issues for the small-scale sewer treatment plants and their solu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a case study in which we investigated 19 treatment facilities at two rural regions in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also included strategies useful for the plan. From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some problems, e.g., high hourly variations but low in flowrates and low mass loading were commonly identified. Although operation parameters in sewer treatment plants require to be modified depending on the mass loading, most of the plants were operated with the initial design parameters which causes the decrease of removal efficiency. In the intensive diagnosis, we arranged and applied solutions (e.g., flow equalization, air on/off time control, etc) to the two selected plants and found out improvement of effluent water quality, especially organic matters (COD and SS) and T-N with better denitrification performance.

Spatial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Real Crime and Fear of Crime (도시내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 위치의 공간적 차이 분석)

  • Heo, Sun-Young;Moon, Tae-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4
    • /
    • pp.194-207
    • /
    • 2011
  •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to prevent crime by improving urban spatial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environment property that mutually coincides or differs by comparing the place where crime actually occurs and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The metho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ontents scope and method of study was established by theoretic investigation of case study related to crime. Second, as crime cannot be prevented by police power only, CPSCP(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 was developed so that all citizen can cooperatively participate in the crime prevention anytime and anywhere. Third, the data on the place where people feel fear in the region was collected by directly indicating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in the space by utilizing CPSCP. Fourth, the place where crime actually occurs and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are redundantly analyz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2 places. The result shows that environmental design improving physical environment of urban space is necessary to prevent crime and to eliminate the fear of crime. The CPSCP developed by this study which will be advanced to U-crime prevention system will contribute to making citizen's own neighborhood a smart safety city autonomously.

Analysis on Spatial Impact Zone of the place_name on the Direction Sign in Urban Using the Road Sign Management System Database In Changwon city (도시부 방향표지 안내지명의 공간적 영향권 설정방안 연구 - 창원시 도로표지관리시스템 DB를 활용하여 -)

  • Jung, In-Taek;Rhee, Kyoung-Ah;Chong, Kyu-Soo;Lee, Young-I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3 no.4
    • /
    • pp.38-47
    • /
    • 2014
  •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Affairs of Korean government improved RSMS to be linked with GIS data and now we have research foundation. In case of expressway and rural national highway, there is a referenced place-name for direction road sign, but there is no reference in urban road and is only a guideline. Direction signs in urban could not have consistent place-name and it is vary difficult to select the proper place-name. Based on the change of analysis environment and perception of road sign - related problem,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how to deduce the spatial impact zone of place-name from DB and GIS in RSMS of Changwon C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is a spatial difference between place-names according to whether is near or far on the road sign. It is expected that this method would be effectively used in case of new road sign and so the process to select the place-name would be simple.

Development of Experimental System for Green Roof System (옥상녹화 효율성 검증실험장비 개발)

  • Park, JaeRock;Kim, SaeBom;Cheon, JongHyeon;Kim, ByungSung;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95-495
    • /
    • 2017
  • 도시화는 불투수면의 증가를 야기 시켜 물순환 왜곡, 다양한 오염 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비점오염물질 유출, 인공 배출열의 증가로 인한 도시열섬효과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한다. 이러한 수리수문학적 및 환경생태학적 문제를 저감하기 위하여 도시지역과 같은 개발 사업에서는 수환경을 가능한 자연 상태로 복원하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기법이 중요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LID기법 중 하나인 옥상녹화는 에너지 이용을 최소한으로 한 자연 녹음의 효과적인 이용을 도모하여 환경공생도시 조성과 식물을 매개로한 자연 순환 과정을 도시구조에 도입하여 순환 시스템 재생이 가능 하도록한다. 노지녹화는 두꺼운 자연 토양을 이용하는 반면 옥상녹화는 적재하중의 제약(옥상의 적재하중 조건은 $150{\sim}180kgf/m^2$이다. 비중이 1.6~1.8인 토양을 20cm 객토한 경우, 약 $320kgf/m^2 $이상의 적재하중이 되기에 식재기반의 경량화는 중요한 사안이다.)으로 인해 용적밀도가 작은 인공경량토양 또는 개량토양을 이용하며, 토양 두께도 얇게 설정된다. 또한 토양의 두께는 식물의 크기와 종류 및 토양의 조성에 따라 다르기에 적재하중 조건을 고려한 적절한 토양과 식재 식물의 크기와 종류 결정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옥상녹화식생에 대한 평가와 이에 대한 시험 프로세스가 가능한 실험 장치를 개발하였다. 옥상녹화 효율성 검증실험장비는 1m*1m*0.6m 아크릴 재질의 녹화셀로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경사변화에 따른 유출, 침투, 증발산량의 탄성도 모의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4점식 형태의 로드셀을 이용하여 녹화셀에서 발생하는 증발산량을 측정하고 관측된 증발산량은 RS-232c 이상의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주기적인 관측치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주기적 자료송수신 외에도 옥상 녹화셀의 측면에 하중 표시기를 설치하여 관측이 가능하다. 또한 저면에 바퀴설치를 통하여 이동 실험이 용이하며 현재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한국 GI&LID 실증단지 연구센터 내 옥상녹화 실험장에 옥상녹화 효율성 검증 실험 장비를 설치하여 자연 혹은 인공강우를 통한 유출, 침투, 증발산량의 시험계측을 실시중이다. 이러한 옥상녹화 효율성 검증실험장비는 최대 하중 2,000kg, 측정해상도 0.02kg 이상을 허용하는 로드셀과 녹화셀을 이용하여 하중을 고려한 식생의 종류에 따른 평가가 가능하므로 최적 식재기반 단면구조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양 함수량 변화 측정으로 옥상녹화에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염분에 대한 저항성과 식물의 성장능력을 평가하여 녹화공간에 따른 옥상녹화에 사용할 식생을 결정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 of Heat Island o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in Seoul Using LANDSAT Image (LANDSAT영상을 이용한 서울시 행정구역 단위의 열섬효과 분석)

  • Lee, Kyung Il;Ryu, Jieun;Jeon, Seong Woo;Jung, Hui Cheul;Kang, Jin Yo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3 no.5_3
    • /
    • pp.821-834
    • /
    • 2017
  • The increase in the rate of industrialization due to urbanization has caused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city is higher than the surrounding area, and its intensity is increasing with climate change. Among the cities where heat island phenomenon occurs, Seoul city has different degree of urbanization, green area ratio, energy consumption, and population density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s a result, the strength of heat island is also different.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Urban Heat Island Intensity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cause. In this study, the UHI intensity of the administrative gu and the administrative dong were extracted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were examined.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three categories(weather condition, anthropogenic heat generation,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heat UHI intensity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s a result of analysis, UHI Intensity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gu, administrative dong, and surrounding environment. The difference in administrative dong was larger than gu unit, and the UHI Intensity of gu and the UHI Intensity distribution of dongs belonging to the gu were also different.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heat island development intensity according to the average wind speed, development degree,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SAVI), Normalized Difference Built-up Index (NDBI) value. Among them, the SAVI and NDBI showed a difference in value up to the dong unit and The creation of a wind route environment for the mitigation of the heat island phenomenon is necessary for the administrative dong unit level.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projects for mitigating heat island phenomenon such as land cover improvement plan, wind route improvement plan, and green wall surface plan for development area need to consider administrative dongs belonging to the gu rather than just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administrative gu un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the directions for urban thermal environment design and policy development in the future by deriving the necessity of analysis unit and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the administrative city unit to mitigate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