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설계적 요소

Search Result 23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sign of North Seoul Dream Forest Based on Traditional Village Design Methods (전통마을 배치기법에 따른 북서울꿈의숲 설계)

  • Choi, Shin-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6
    • /
    • pp.66-72
    • /
    • 2010
  • Seoul City planned "Dreamland" to be in harmony with the huge woods and park. It is located in the life zone in the northern region of Seoul as part of an extensive park development plan that the municipal government has promoted. The space configuration technique of the aesthetics of "Empty" rather than "Full" gives the potentiality to cope with the uncertain changes in the city. Furthermore, the traditional element of the mountain landscape of Seoul was introduced and appropriated as the axis of the landscape for landscape configuration. In that configuration, the images of tree, sky, wind, water and soil are elegantly unfolded like a landscape painting. The purpose was to create a dominant landmark in the city landscape with the figures of Korean mountains and hills which were differentiated from architectural landmarks in the western cities by making nature, which was excluded from the urbanization plans up to now, an important subject for consideration. As a result, this study madethe space in a park including existing yards and streets in a city have the traditional hierarchy by applying the facility arrangement technique and elements extracted from Korean space types and traditional landscape concepts. Moreover, the North Seoul Dream Forest was designed by pursuing diversity and potentiality in the experience of space using a large open field in a city.

Software Design for Airborne Lidar Data Simulation (항공 라이다 데이터 모의생성 소프트웨어 설계)

  • Min, Seong-Hong;Kim, Seong-Joon;Lee, Im-P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65-268
    • /
    • 2008
  • Lidar(Light Detection and Hanging, Ladar)는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학신호를 관측하여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로 정밀한 3차원 모델 생성 및 도시지역의 변화탐지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은 시스템의 동작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내고, 이 동작의 실행을 관찰하여 실제 시스템의 특성을 추론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하드웨어의 설계 및 분석, 보완, 성능 평가 등에 효율적으로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Lidar 시스템의 원리 및 구조 분석을 통해서 Lidar 데이터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였다. Lidar의 특성이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에 정확하게 구현되도록 하기위해 Lidar 동작과 관련된 내부 및 외부요소를 분석하고 기능에 따라 추상화하여 소프트웨어 모들로 구성하였다. 시스템 내부요소로 송신부 수신부 신호/영상처리부 모델과 외부환경요소로 비행환경 모델, 타겟 모델, 대기 모델을 정의하였다. 또한, Lidar 시스템 실행 중에 발생하는 주요 프로세스를 함수 모듈로 정의함으로서, 모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결과는 이후 Lidar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의 보다 체계적인 구현에 적용될 예정이다.

  • PDF

Landscape Urbanism in Special West Chelsea District Rezoning and High Line Open Space Redevelopment Project (웨스트 첼시 개발과 하이라인의 역할에서 나타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성격)

  • Yoon, Hee-Y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1
    • /
    • pp.84-97
    • /
    • 2010
  • Landscape urbanism emerges as an alternative to the urban design theories of the past century, emphasizing landscape as an organizing principle, integrating the medium of different elements of the urban environment. However, ongoing criticism of the theory's lack of consideration for physical urban morphology has not supported the integrity of the theory. Large parks, which many proponents of the theory have referred to, possess valuable and interesting points in their design and management. This also shows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show the close physical relationship between open space and the city. In this study, the High Line project was analyzed to verify it as founded on landscape urbanism, providing that landscape urbanism drives the urban morphology on a small scale rather than a large one. This paper concludes that landscape urbanism should include small parks as one kind of study model with the small grained interaction between open spaces and the cities under this category to broaden and deepen the perspective. Also, the effort to analyze quantified and physical consequences of the theory through close observation should be followed to extract the design strategies to be applied to future projects.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of Detail Design Language of the Idiosyncrasy of Community Facilities with the Qualitative Method - in Cases of Concord, Lexington and Arlington, Massachusetts - (정성적 접근방법에 따른 도시 커뮤니티 시설 특성의 상세설계 언어 형상에 관한 연구 - 콩코드(Concord), 렉싱톤(Lexington), 알링톤(Arlington) 타운을 사례로 -)

  • Kwon, Sang-Z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5 no.5
    • /
    • pp.1-15
    • /
    • 2007
  • 본 연구는 커뮤니티 시설 상세 설계의 대상물에 대한 질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 대상물의 이미지를 상징화하는 단계적 발전 과정을 거쳐 그 시설의 상세 설계적 언어를 형상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례로 역사적, 문화적, 전이적 특성을 지닌 세 커뮤니티를 조사하여 디자인 언어와 상징화되는 이미지를 구명해 보면서 디자인 언어의 구성과 설계요소와의 관계 커뮤니티의 목표 등과 연관시켜 커뮤니티의 본질성을 추구하는 수단을 평가 분석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커뮤니티 시설의 상세 설계 언어의 형상을 검토하는 방법을 통섭적으로 제시하였다. 설계 언어의 형상 분석의 수단을 구체화 하는 데는 시각적 형태, 설계 주제의 상황, 설계요소의 관계성, 설계요소의 위치와 구성 등과 연관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상세설계 언어의 형상을 개발하는 시도로 네 가지 기본 전제를 세우고 그를 설명해 보았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시설 특성의 상징화를 위한 설계언어연구 대상의 사례로 미국의 전통성이 강한 메사츄세츠주에서 역사적, 문화적, 전이적 특성을 각기 다르게 지니고 있는 콩코드(Concord), 렉싱톤(Lexington), 알링톤(Arlington) 등의 세 커뮤니티를 택하였다. 사례 커뮤니티 시설 특성의 상세 설계 언어의 형상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시각적 노트와 디자인 의미와 그 상징성을 바탕으로 상징과 시각적 언어를 찾으면서 상세 요소의 디자인 언어를 비교하였다. 그를 바탕으로 디자인 언어와 의미 및 그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편익을 기초로 사회, 건강, 환경, 경제 등 네 가지로 세부 분류된 커뮤니티 시설을 검토하였다. 커뮤니티 시설 특성을 파악하는 기법 발굴 과정에서 시작된 시각적 형상으로부터 상징과 그 의미 등을 구명하면서 그를 정성화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설계 언어, 상징적 언어, 커뮤니티, 자연적 심미성 등의 네 가지로 대표되는 평가 요소에 의하여 분석 평가 검토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이 그 상세설계언어의 형상에 관하여 통섭적 접근이 이루어 졌다.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양손실량 예측 및 침사지 설계

  • 우효섭;김창완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8.02d
    • /
    • pp.1101-1179
    • /
    • 1998
  • 최근에 내무부에서는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사유출 피해 중 인명과 재산 피해와 같은 재해 성격을 가진 대규모 토사유출을 사전에 미리 저감시킬 목적으로 재해영향평가제를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엔지니어링 업계에서는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인한 가속화된 토양손실량 예측과 침사지 설계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으나 이 분야의 기술축적과 자료부족으로 과업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엔지니어링 업계의 기술적인 어려움을 다소 나마 해소할수 있도록 개발사업으로 인한 가속화된 토양손실량 예측방법과 침사지 설계 기준에 대해 외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그 동안 국내에서 수행한 각종 재해영향평가 자료를 검토하여 제시한다. 먼저, 재해영향평가제의 취지, 토사유출과 재해, 토사유출 재해 저감대책 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다음, 침식량 예측 방법으로 미국의 범용토양 손실공식(USEL) 방법의 적용 절차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침사지 설계 편에서는 침사지 설계 개념과 구체적인 설계 절차를 제시하고 참사지 규모의 결정방법을 소개한다. 본 강좌의 교재는 미국교통연구단(TRB)의 국립합동도로연구프로그램(NCHRP)#70 자료를 주로 참고하였다. 이 자료는 부록에 원본 전부를 수록하였다. 다만 아직 이 분야 연구가 미흡한 관계로 본 강좌에서는 재해저감 측면에서 합리적인 침사지 설계 기준을 완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참고로 국립방재연구소의 박무종/강대환 연구팀이 기존의 재해영향평가서 자료 중에서 10개를 선정하여 침사지 소요수면적 산정, USEL 적용, 강우침식도 R의 산정 등에 대해 사례 조사 분석한 결과를 부록에 수록하였다.을 기해야 한다.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

  • PDF

Development of precast concrete barrier using drainage facility (배수시설을 내제한 프리캐스트 교량 방호벽 개발)

  • Han, Sejong;Hyeon, Jisu;Kim, Yoon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21-221
    • /
    • 2018
  • 국내에 대부분 교량은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사전에 강우에 대비하여 배수시설을 설계하도록 되어있다. 다수의 교량에서는 점배수와 선배수의 방식을 사용하여 설계 되고 있으나 외부로 노출되어야하는 구조적 문제로 인해 설계시에는 검토되지 않으나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미관개선을 위해 교량의 배수시설을 내제한 프리캐스트 교량 방호벽의 개발과 내부에 내제된 배수관의 배수성능을 3차원 모형인 Fluent 모형을 통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교량 측구에서의 흐름 및 횡배수관의 유입에 관해 3차원 흐름을 확인하였다.

  • PDF

Types of Landscape Design Concepts through Analysis of Award-Winners for Urban Park Design Competitions (도시공원 설계공모 수상작을 통해 본 조경설계개념의 유형)

  • Kim, A-Y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0 no.2
    • /
    • pp.102-11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ypes of design concept based on the specificity of landscape design, and to deriv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landscape design concepts by analyzing the design concepts appearing in urban park design competi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five types of landscape design concepts were categorized into value and vis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orm and structure, program and element, and process and operation. Using this framework, the design concepts shown in 96 works submitted to 18 domestic and overseas urban park design competi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e to the complexity of contemporary urban parks, design concepts are presented as mixtures of main concepts and secondary concepts in multiple layers.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design concepts of 'form and structure' were used the most in urban park designs, followed by the 'program and element' concepts. The 'value and vision' and 'analysis and interpretive' concepts are introduced as third and fourth. Third, the reason that the 'form and structure' concept is widely used as main and secondary concepts is judged to be because the form of a space, which is the key result of the design,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identity of the design. Fourth, the reason that the 'program and element' concept type is widely introduced is that urban park design has a stronger planning aspect to produce programs during the design process, compared with other design fields where programs are usually given in advance. Lastly,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properties of the site solely affect the type of design concept, because a design concept is the result of a complex and creative process in which a designer subjectively interprets the obj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nd project, and given design guidelines can affect the type of design concept.

A Study on UI design applying Micro Interaction to improve the usability of digital devices for elderly (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사용성 개선을 위한 Micro Interaction을 적용한 UI 설계에 관한 연구)

  • Oh, Keon-Young;Yoo, Do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997-1000
    • /
    • 2021
  • 본 연구는 버스환승정보센터의 디지털기기에 마이크로 인터렉션을 적용하여 UI를 설계한다. UI를 설계하면서 디지털기기에 사용이 어려운 고령자의 특성을 물리적, 인지적 기준으로 분류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타이포그래픽, 컬러 등의 그래픽적 요소가 아닌 마이크로인터렉션 효과를 적용하여 고령자에게 디지털기기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UI를 설계하였다.

Strategies of System Security Control in u-City Management Center (u-City 통합운영센터의 시스템 보안 관리 대책에 대한 연구)

  • Kim, Young-Soo;Park, Seok-Che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452-455
    • /
    • 2008
  • 유비쿼터스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유비쿼터스 기술을 도시에 적용한 u-City가 개발되고 있다. u-City는 다양한 정보화 기기들이 존재하며 정보화 기기 사이를 연결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이 상존한다. u-City의 핵심 요소인 u-City 통합운영센터는 u-City 내의 모든 서비스를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도시를 통제 관리하는 중요한 업무를 수행한다. 이 중에서 보안관리 업무는 시스템에서 수집, 가공, 산출하는 데이터 및 정보의 보안유지를 위해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u-City 통합운영센터의 보안유지를 위한 기술적, 물리적, 관리적인 측면에서 보안관리 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Environmenal Design Value of Underground Space & Design Factor by Evaluation Model (지하공간의 환경디자인적 가치와 평가모델에 의한 디자인요소 추출)

  • 최병오;채완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1 no.2
    • /
    • pp.117-126
    • /
    • 1998
  • The underground space which has been highlighted anew in view of urban scenery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rough the control of ground development and solution of urban problems through making the utility of urban space efficient can promote the urban service, amenity, stability and others by arranging the urban function of ground area to the underground which is anticipated to be demanding the more in the future an also can be effective measures of confrontation in the solution of traffic, the complex in the heart of the city and lack of land through effectiv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of urban space. But it has been understood to be extremely negative space at this time as limited to negative and fragmentary development and it has faced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pleasant environment by overcoming every problem. After all, through the general research of underground space, this dissertation is reconsidering the development value of environmental design on the basis of the case study in international city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and trying to extract design factors which should be treated in developing the underground space by establishing the evaluation model on the functional, techinical and behavioral elements fac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