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생태계

Search Result 32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cological Footprint in Gyeongsangbuk-do for Comparison of Environmental Capacity of Each Local Government (자치단체별 환경용량 비교를 위한 경상북도지역 생태발자국 추정연구)

  • Kang, Kee-Rae;Kim, Hee-Chae;Kim, Dong-Pil;Oh, Hyun-Kyung;Cho, Kwang-Jin;Shin, Young-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8 no.6
    • /
    • pp.769-778
    • /
    • 2014
  •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crease in population due to industrialization have led to the extension of cities and the reduction in naturality as a necessity. Now, it is the biggest threat to virtuous circle of ecosystem. With the expansion of common recognition that this ecological crisis would be accompanied by the crisis of mankind, many countries all around the world are conducting researches to indicate the optimum consumption level of individual as an index in addition to cross-national environmental indicators such as ESI, EPI and SDI, by measuring environmental consumption of state, local government or individual, and comparing each region.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capacity of 23 local government in Gyeongsangbuk-do. The result of EF estimation showed that EF value necessary for life per head in Gyeongsangbuk-do was 0.9534, and it showed an ecological deficit of 25.3 percent when analyzing it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capacity. Also, among the local governments in Gyeongsangbuk-do, Youngduk-gun displayed the highest EF, and Ulleung-gun displayed the lowest EF. But when analyzing the ecological deficit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capacity of each region, Gumi-city showed the greatest ecological deficit, and Youngyang-gun showed the biggest ecological capacity. The environmental capacity estimated in this study is to digitize the ecological capacity and ecological deficit of each local government in Gyeongsangbuk-do. The estimated optimum environmental capacity of each local government suggests the scal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proper development and furthermore, could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persuading members of each local government when selecting a location of development facility or preservation area.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and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Based on Natural Resources (자연자원에 기반한 지역유형분류와 발전방안)

  • Park, Jong-Jun;Yoon, Ki-Ran;Park, Chang-Su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2
    • /
    • pp.10-17
    • /
    • 2011
  • The paradigm of the use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is changing. Wise use of natural resources can be achieved by enhancing their conservation value and, at the same time, taking them as an opportunity for regional development. It leads to an idea of pursuing regional development by making good use of natural resources. In this paper, natural resources were classified as living species resources, ecosystem and landscape resources, and non-living resources. The resources were divided into 27 detailed analysis indice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of 165 municipalities in Korea were defined as spatial analysis units. Finally, a spatial database of natural resources was built. To classify the regional types, we conducted factor analyses with a detailed index of natural resources and a cluster analysis with the factor value.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six factors have been deduced as follows: forest resources, landscape resources, coastal ecology resources, inland water resources, landform resources, and ecology visit resources.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points of the factors drawn. The final classification consists of nine groups, and appropriate methods for each regional development have been suggested.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s for site selection and objective-setting for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and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natural resources.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Urban and Rural Landscape for the Plant Diversity Improvement in Pond Wetland (농촌과 도시지역 비교를 통한 연못형습지의 식생다양성 증진방안 연구)

  • Son, Jin-Kwan;Kong, Min-Jae;Kang, Dong-Hyeon;Nam, Hong-Shik;Kim, Nam-Ch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7 no.1
    • /
    • pp.62-74
    • /
    • 2015
  • Urban areas are variously under threat including deterioration of ecological functions. Many pond wetland types have been created as part of an effort to improve and restore this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was arranged to examine improvement plans of wetlands in urban areas by analyzing semi-natural wetlands in farm areas. As for environment for water quality, it suggested the inflow of natural water neighboring rivers or the direct inflow of rain as the improvement plans. The result which analyzed soil pH, OM, and T-N content of the soil environment mentioned that urban areas supplied artificial sluices, removed apoptotic bodies, and used artificial soil and waterproofing materials and use of natural materials in design and construction, the sluice state of the natural form, and negligence of autumn plants were suggested as the improvement plans. Florae appeared in the subject sites of the study have found that there are 35 families 69 species in urban areas and 53 families 142 species in rural areas. As the average has found that there are 18.5 families 29.3 species in 4 urban areas and 26.3 families 53.5 species in 4 rural areas,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em was analyzed. As the cause h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yearly plants in farming areas when compared to urban areas, creation of various basic environments including soil and water quality was suggested to make yearly plants settle down widely. Naturalized plants have found that there are no big differences betwee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However, the average of the naturalized ratio in urban areas is 17.4% as the naturalized plants are about 1/4 of the appeared plants. As it was analyzed to be higher than 7.7%, the average of the naturalized ratio in farming areas as the big difference, creation of various inhabiting environments was suggested to make more yearly plants appear like the analyzed result of the life type. Consideration of placement, materials, and inhabiting environments was suggested to make creation of wetlands well appreciated to improve functions of wetlands in urban areas. It is expected that the abov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tilized in creation and improvement of the pond wetlands which can play a huge role in increase and improvement of biological diversity in urban areas.

Study on Introducing Water Footprint for Water Problem Reduction -The Case of Spain- (물 문제 저감을 위한 물발자국 도입 방안 연구 -스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 Park, Nu Ree;Park, Sung Je;Lee, Young Ku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49-549
    • /
    • 2015
  • 물 소비는 수자원 고갈을 야기하며, 수자원 고갈은 보건, 농업 생산력, 작물 생산력,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물발자국 개념을 적용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일반생활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을 유도하는 것은 환경 및 물 문제를 저감하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도 물발자국 개념 도입의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페인의 사례를 통하여 물발자국 도입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스페인은 2008년 9월 유럽연합에서 최초로 물발자국 평가를 정책으로 채택하였다. 스페인은 물 부족 국가로서 물발자국 연구를 수행해왔으며 강 유역 및 국가적 차원의 방법론을 연구하고 검증해왔다. 특히 도시와 산업 분야에서 물의 재사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통합농업 및 생태농업을 장려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태양에너지, 관광, 전통 작물 재배 지역의 물발자국 계정의 비교우위를 통해 환경, 농업, 에너지, 무역 정책과 관련되는 물 정책의 조정 중에 있다. 또한 지나친 용수개발로 인한 생태적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강을 상류, 중류, 하류로 나누어 작물별 가상수량과 물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로 지역마다 적합한 수출입전략으로 물 효율성이 높은 작물을 주로 재배하는 상류지역은 농산물을 다른 지역으로부터 수입하는 동시에 채소류와 같은 물 효율성이 높은 농산물을 특화하여 수출할 필요성을 농가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스페인은 지역의 환경 조건에 가장 적합한 제품의 생산을 촉진하고 본질적인 물 사용 패턴의 변화를 통하여 효율적인 물 분배 및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관개용수 사용의 감소를 실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페인은 유역관리계획의 개발을 위한 기술적 표준으로서 다양한 사회경제 분야의 물발자국 분석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물발자국 정책의 활용방안을 파악하였고, 물발자국의 도입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환경 및 물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물발자국 개념은 향후 우리나라의 수자원 관리에 있어 중요한 지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용담댐 건설로 인한 금강 상류의 하천환경변화 분석 II - 수리변화분석 -

  • 정승권;정동양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71-976
    • /
    • 2004
  • 하천유지를 위한 하천내 최소유량의 충족은 사실상 환경문제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하천변 수생식물의 생태계 서식처를 유지하거나 복원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하천유지유량은 하천의 고유종 동${\cdot}$식물을 보전하고, 아름다운 하천에 대한 심미적 질을 유지하며 여가활동 및 상업적 어획고를 최대로 늘릴 수 있거나 과학적 또는 문화적 관심사의 특성을 보호하는 기능을 위한 목적으로도 제공된다. 그러므로 생태학적인 하천유지유량 차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충분한 물을 확보하고 쾌적한 하천을 유지할 수 있는 맑은 물을 하천에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하천의 생태학적인 측면에서는 서식지 보호를 고려한 계획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개발은 하천정비, 골재채취, 수중 보와 하구 둑 등 하천시설물 건설, 그리고 댐 및 교량건설 등 인위적인 요인에 의하여 하천환경이 심각하게 변화는 경우가 많다. 특히 댐 건설로 인해 하류지역에 수리학적 변화와 하상 변동 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 최상류에 건설된 용담다목적댐에 의해 인위적으로 하천유입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리학적 변화를 모의하여 댐 건설이 금강 상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댐 건설전 자연유출량 및 댐 건설후 하천유지유량에 의한 하천의 건조면적, 습지면적을 산정하였다. 또한 하천의 한계소류력과 하도를 형성하는 재료에 따라 바닥면 전단응력을 산정하여 그 차(差)를 활용하여 유량에 따른 유사이송현황을 모의하였다. 모의된 결과를 visual하게 표현하고자 GIS 기법을 이용하여 주요구간에 대한 유사이송현황을 도시하였다.유역의 고도차를 이용한 흐름특성 분석을 위해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유역흐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TOPAZ(Topographic PArameteri-Z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TOPAZ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된 각 격자별 분포형 수문 매개변수는 적합한 관계식을 통해 분포형 유출량을 모의하는데 적용된다.다 정확한 유입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이 작은 오차를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퍼프 모형이 입자모형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계산을 통해서도 작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aussian 분포를 갖는 퍼프모형은 전단흐름에서의 긴 유선형 농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었고, 이에 관한 오차는 전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흐름영역에서 장${\cdot}$단점 분석 및 오차해석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Lagrangian 모형의 장점만을 갖는 모형결합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

  • PDF

The study on introduction of the canal wa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주운시설 도입에 관한 연구 (인천 청라지구를 중심으로))

  • Jeon, Jei-Bok;Kwon, Myeong-Sin;Kim, Ji-Ho;Oh, Kyu-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62-14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청라지구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구내 하천 및 공원에 최적의 주운시설을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유역의 일반현황 및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현재까지 진행된 주운관련 사례를 분석하여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이수, 치수, 환경 측면에서 주운시설 도입을 위한 종합적인 검토를 수행하였다. 물수지분석, 담수량 및 손실량 파악, 물갈이율 조사 등을 통해 필요수량을 파악하였으며, 산정된 필요수량 확보를 위해 하수처리장 고도처리수, 상수원수, 상수도, 유역관리 등의 다각도의 수량확보 방안을 검토하여 적용가능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천수질현황, 국내외 수질기준, 생태계 친수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목표수질을 설정하였으며, 유역, 하천, 호수공원 및 내부수로 등에 적용가능한 수질보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근하천, 중앙호수 공원, 내부수로를 동시에 고려하여 유역통합관리 차원의 치수안전성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주운시설 도입에 따른 추가적인 치수안전성 확보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간척지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항구적인 치수 및 이수 대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최첨단 유지관리 시스템의 도입 및 안전시설 확보를 통해 재해로 부터 안전한 주운계획을 제시하였다. 향후 청라지구-서해-굴포천 방수로-한강을 잇는 해상과 연계된 주운 개발을 통한 광역운하망 구축 방안을 제고하였다. 향후 주운시설의 도입에 따라 도시의 어매니티 증진과 친수도시 구현, 물순환 확보와 치수에 안전한 방재도시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신도시 개발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Drought and Red tide Phenomena through ROC Analysis (ROC분석을 통한 가뭄과 적조현상의 관계분석)

  • Hwang, Sung Jin;Lee, Byung Hyu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45-145
    • /
    • 2020
  • 가뭄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가뭄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과거에 수행되었고 현재까지도 진행되고 있다.(강동호 외 2명, 2019명) 가뭄은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부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며 홍수와 달리 장기간에 걸쳐 광범위한 지역에 피해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그렇기에 가뭄은 감시 및 예측에 대한 어려움이 존재하며 우리나라에서도 가뭄으로 인해 수자원 공급 긴장상태를 경험하는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유지영 외 3명, 2016) 적조현상은 특정 조류의 폭발적인 증식으로 해수가 붉은 빛을 띄며 용존산소량을 부족하게 만들어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는 현상이다. 적조현상은 1990년대 이후 대규모 적조가 발생하여 1995년에는 적조로 인해 약 764억의 손실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연합뉴스, 2019.09) 이후에도 적조현상은 점점 광역화, 장기화, 고밀도화 되면서 연평균 110억 이상의 피해를 지속적으로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을 대한민국 완도로 설정 하였다. 섬이라는 지역의 특성 상 가뭄이 발생하면 식수원의 공급이 어렵고 평시에도 물을 아끼기 위한 노력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실제로 완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피해이력이 있는 지역이다. 또 2016년 완도에서는 적조로 인해 전복이 집단 폐사하며 358억의 피해를 입은 사례가 있다.(중앙일보, 2016.09) 그렇기에 완도지역을 대상 지역으로 하여 비강우의 장기화 등의 이유로 나타나는 가뭄을 기상학적 가뭄지수 SPI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ROC 분석을 통해 수온의 상승 시 나타나는 적조현상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적조현상이 발생하는 한 척도로 가뭄의 발생 및 장기화를 생각 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자 한다.

  • PDF

Adaption of Phenological Eventsin Seoul Metropolitan and Suburbs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수도권 생물계절 반응 변화에 관한 연구)

  • Hyomin Park;Minkyung Kim;Sangdon Le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1
    • /
    • pp.49-59
    • /
    • 2023
  • The rapid advance of technology has accelerated global warming. As 50.4 percent of South Korea's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has become a considerable emitter of greenhouse gases, the city's average temperature is expected to increase more rapidly than in other areas in the country. A rise in the average temperature would affect everyday life and urban ecology; thus, appropriate measures to cope with the forthcoming disaster are in need.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plant phenological phas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based on temperatures (average temperature of Feb, Mar, April) observed in seven different weather stations nearthe Seoul Metropolitan Area (Ganghwa, Seoul, Suwon, Yangpyeong, Icheon, Incheon, and Paju) and the first flowering dates of Plum tree (Prunus mume), Korean forsythia (Forsythia koreana), Korean rosebay (Rhododendron mucronulatum), Cherry tree (Prunus serrulate), Peach tree (Prunus persica), and Pear tree (Pyrus serotina). Then,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2.6 and 8.5 scenarios were used to predict the future temperatur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how it will affect plant phenological phases.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flowering dates depending on various strategies to mitigate greenhouse gas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ate of plant phenological change had been accelerated since the 1900s.If emission levels remain unchanged, plants will flower from 18 to 29 earlier than they do now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would be faster than in other areas in the country. This is because the FFD (First Flowering Date), is highly related to temperature change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has been urbanized more rapidly than any other areas, is predicted to become a temperature warming, forcing the FFDs of the area to occur faster than in the rest of the country. Changes in phenology can lead to ecosystem disruption by causing mismatches in species interacting with each otherin an eco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against temperature warming and FFD change due to urbanization.

Modeling for the fate of Organic Chemicals in a Multi-media Environment Using MUSEM (다매체 환경 모델 MUSEM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의 환경거동예측 모델링)

  • Roh, Kyong-Joon;Kim, Dong-M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0 no.4
    • /
    • pp.201-210
    • /
    • 2007
  • Pollution by chemical substances such as POPs, EDCs and PBTs in the ecosystem has become more complex and varied,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irreversible damage to human health or the ecosystem. It is necessary to have a exposure assessment in a multi-media environment for various chemical substances is required for efficient management. This study applied MUSEM(Multi-media Simplebox-systems Environmental Model), a multimedia environmental model that can simultaneously evaluate the possibility of exposure of hundreds of chemical substances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chemical substances that can have negative impact on human health or ecological environment through environmental contamination. MUSEM executed the modeling for Japan by setting all 47 prefectures of japan as the regional area for 62 chemical substances and the rest of the territory of japan, excluding regional area, as the continental area and made the estimation of concentration among environment media in each administrative area and made the sensitivity analysis on Tokyo area. The results of simulation for chemical distribution showed that most of the target chemicals located in water region. The result of sensitivity analysis for octanol-water partition rate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change of soil in urban/industrial area and sediment in freshwater was high. In the case of sensitivity analysis for degradation rate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change of freshwater, soil in urban/industrial area, and sediment in freshwater was high.

  • PDF

Analysis of Geographic Network Structure by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한국 자동차산업의 기업간 거래관계에 의한 지리적 네트워크 구조 분석)

  • KIM, Hye-Lim;MOON, Tae-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3
    • /
    • pp.58-72
    • /
    • 2021
  • In July 2021, UNCTAD classified Korea as a developed country. After the Korean War in the 1950s, economic development was promoted despite difficult conditions, resulting in epoch-making national growth. However, in order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global econom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tudy the domestic industrial ecosystem and prepare strategies for continuous change and growth. This study analyzed the industrial ecosystem of the automobile industry where it is possible to obtain transaction data between companies by applying complexity spatial network analysis. For data, 295 corporate data(node data) and 607 transaction data (link data) were use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patial distribution by geocoding the address of the company, the automobile industry-related companies were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Southeastern(Dongnam) region. The node importance was measured through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and the network structure was confirmed by identifying density, distance, community detection, and assortativity and disassortivity. As a result, among the automakers, Hyundai Motor, Kia Motors, and GM Korea were included in the top 15 in 4 indicators of node centrality. In terms of company location, companie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included in the top 15. In terms of company size, most of the large companies with more than 1,000 employees were included in the top 15 for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Regarding close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most of the companies with 500 or less employees were included in the top 15, except for automakers. In the structure of the network, the density was 0.01390522 and the average distance was 3.422481. As a result of community detection using the fast greedy algorithm, 11 communities were finally deri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