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사회

Search Result 2,43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건강영향평가 및 건강도시 인증제 도입

  • Nam, Eun-Woo;Song, Ye-Ri-A;Park, Myeong-Bae;Mun, Ji-Yeong;Kim, Geon-Yeop;Park, Jae-Seong;Go, Kwang-Uk;Lee, Mu-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7-120
    • /
    • 2006
  • 연구 배경: 시민의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도시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건강도시 사업 계획을 위해서는 도시의 건강 수준 측정이 필요하다. 이때에, 도시 전반의 현실적 상태를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표가 도시건강의 개념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를 활용한 건강도시 인증제도의 도입을 통하여 건강도시사업을 활성화시키고 시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연구 목적: 의료 건강생활실천 안전 환경 사회경제적 요인 등 각 지역사회의 건강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건강도시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건강도시 평가 및 인증사업을 실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 내용 및 범위: 국내 건강도시 사업 추진에 대한 현황 파악과 보건복지부에서 고려중인 건강도시 인증 방안에 대하여 국내외 동향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건강도시 인증에 필요한 지표를 개발하고, 건강도시 평가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통한 인증 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연구 방법: 관련 국내외 문헌 고찰 및 각종 자료를 분석한다.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국내 건강도시 현황을 파악함으로서 지역사회중심적인 건강증진사업의 새로운 모델로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강도시에서 사업을 개발 추진시 필요한 목표관리적인(Management by Objective) 건강도시사업에 대한 방안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건강도시 인증사업의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Changing Role of Urban Green Space in Britain and America (영.미 도시 공원녹지의 역학변천에 관한 연구)

  • 김수봉;앤비어;김용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2 no.3
    • /
    • pp.137-149
    • /
    • 1994
  • 19세기 영국과 미국의 도시공원 녹지의 발생은 자연주의 사조와 산 업혁명과 같은 그 시대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편 한국의 급변하 는 사회정세와 맞물려 변화하는 한국의 도시공원 녹지의 역할도 현 상태에 서 재검토 되어야 할 시점에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리뷰(Review)는 영 국과 미국의 도시공원 녹지 발달과 관련된 문헌을 중심으로 각 시대별 도 시공원 녹지의 역할에 크게 영향을 미친 사회 역사적 요인을 분석하여 추 후 한국의 도시공원 녹지 역할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요인 분석을 예견케 하는 하나의 본보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지속가능한 U-CITY건설을 위한 공원녹지 조성 방안 연구

  • Lee, Eun-Yeop;Sin, B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80-381
    • /
    • 2006
  • 정보과학기술의 발달 등으로 미래도시는 많은 변화가 예상되며, 이로 인한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도 예측되고 있어 개인적이고 비인간적인 사회출현도 우려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도시발달과 흐름을 살펴볼 때 급격한 사회변화에 대한 역기능에 대해 방어수단을 마련하고자 근린체계가 잘 조성된 쾌적하고, 안전하며, 그리고 무엇보다도 좀 더 인간적인 모습을 갖추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될 것이다. 향후 미래도시에서는 보다 인간적이고 커뮤니티가 활성화된 도시를 구축하기 위해 공원녹지도 중요 수단의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미래도시 유형의 하나인 V-CITY의 발전방향을 예측하고 살펴봄으로써 공원녹지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PDF

Relations among the Social Activity,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Urban Elderly (도시노인의 사회활동과 자아효능감 및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

  • Lee, Eui-Girl;Cho, Sung-S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7
    • /
    • pp.196-21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ocial activity,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 aged people living in Seoul area. For the study, 39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o analyzed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activ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e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m.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satisfaction for their lives was positively affected by vocation, health, youth and the social activity. Third, a spouse, health, income and social activ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loneliness. Forth, a spouse, children, health, more social activ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depression. Finally, the self-efficacy had a moderate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activity and loneliness, and depression respectively.

Socio-Spatial Exclusion by Urban Policy Dialectic : ZUS in France (도시정책논리에 의한 사회공간적 배제 : 프랑스 ZUS를 사례로)

  • Jung, In-Chul;Bae, Mi-A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1 s.118
    • /
    • pp.63-81
    • /
    • 2007
  •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ocio-spatial implication of urban policy dialectic. The urban policies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are definitely related to the spatial situation of his society. In France there have been several kinds of urban policies to meet 'social exclusion' as new concept of poverty. To fix 'ZUS(Zones Urbaines Sensibles), being based on the 'Pacte do relance pour la ville' of 1996, is one of them. It makes a conclusion in this paper that the purposeful zoning by urban policy to meet social exclusion can lead to deepen them. The situation of social exclusion in ZUS is related to the spatial exclusion by zoning marginal areas. To define the key concepts of 'social exclusion' and 'ZUS' is absolutely need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tudy on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ject'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에 관한 연구)

  • Lee, HwaRyeong;Kim, Sh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18-518
    • /
    • 2022
  • 오늘날 우리사회는 환경변화와 기후 위기 가속화로 인하여 삶의 질 악화는 물론 인류 생존까지도 걱정해야 시기에 이르렀는데, 이러한 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의 75%가 도시에서 발생되고 있다(Global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 2019), 이에 국제 사회는 도시 중심의 녹색 전환 정책 추진 중인데, 우리나라는 2017년부터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환경성과 창출 방안을 마련, 도시의 지속가능성 높이는데 일조하고자 탄소중립 선도 도시 사례와 도시재생의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도심 내 과밀화 문제와 탄소배출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당초 '도시재생뉴딜' 사업은 도시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도시 노후화와 탄소배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그린도시', '친환경 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법·제도의 제·개정 및 이를 바라보는 이해관계자의 시각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크고 작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도시재생의 첫 번째 문제점은 정책지원의 30% 이상이 일반근린형에 집중됨에 따라 주거형 도시재생 양상을 띄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임기가 제한된 지자체장이 가시적인 성과를 위하여 도시 내 인프라 확충에 집중한 결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두 번째,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계획수립과정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검토와 환경성 평가에 대한 고려 부족으로 기후 위기 대응에 미흡한 실정이다. 노후 도시의 주거 과밀화 문제를 해결하고 효과적인 도시 탄소 감축을 위하여 건물 - 마을 - 도시 등 여러 공간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세 번째, 치·이수 위주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탄소 중립 대책이 미흡하다. 대응 방안으로는 자원의 관점에서 물 소비 감소 촉진 및 재생에너지 증가 전략이 필요하다.

  • PDF

Design and Construction of Green Infrastructure-Low Impact Development Experimental Complex for Hydrological cycle (부산대학교 GI·LID 물순환 실증단지 계획 및 구축)

  • Lee, Jae-Hyuk;Yoon, Eui-Hyeok;Jang, Young-Su;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19-319
    • /
    • 2016
  •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강우량 및 강우강도는 약 20% 증가하고 강우일수는 14% 감소하며 도시 기온이 최대 $3^{\circ}C$까지 증가하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한 도시 물순환체계의 파괴는 도시물관리 여건의 악화로 이어지고 특히 불투수면적 증가로 인한 도시 홍수 및 침수의 증가, 잦은 도시 고온 현상, 도시하천의 건천화로 수질 악화를 야기하는 실정이다. 이에 국토의 자연자원을 보전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하면서 도시의 안전도와 가치를 높이기 위한 물관리 정책은 먼저 물을 순환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통합적인 물관리 체계 확보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생원 관리를 포함한 소규모 분산관리 체계로 변화하여야 하며 이들 시설에 대한 네트워크화를 통해 기후변화에 강건하고 통합관리쳬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및 그린인프라(GI, Green Infrastructure) 기반의 분산식 빗물관리기법의 도입이 절실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제도적으로 기후변화 대비,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구축을 위한 물순환 건전화를 위해 100대 국정화제에 포함시키는 등(2013.2) 도시계획 및 기반시설 설치 LID기법의 법제적 산업적 도입을 추진중에 있으나, LID 기술의 수자원 치수, 이수 및 환경 효율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의 부재, LID 기술에 대한 효율성 검증 및 인증시스템의 부재, LID 기술의 무분별한 국외기술 도입으로 인한 효과 저감, LID 기술의 설계, 시공, 관리를 위한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의 부재, LID 기술에 대한 지자체 지원 및 전문가 양성 시스템의 부재 등 복합적인 문제를 안고 있어 GI 및 LID 기술의 적용을 통한 새로운 도시 및 유역차원의 수자원확보와 재해경감기술 패러다임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한 LID기술 신뢰도 향상 및 단일화, 표준화된 효율성 검증 기술 개발과 더 나아가서 도시-건축-수자원-도로-조경 등의 종합적인 인프라를 바탕으로 LID기술 통합관리 및 기술 고도화를 위해 부산대학교 GI LID 물순환 실증단지의 계획 및 구축을 수행하였다.

  • PDF

The Present Stage and Prospects of the Reading Campaign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One Book, One City' Projects (한국 독서운동의 현단계와 전망: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중심으로)

  • Lee, Yong-Ja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1
    • /
    • pp.5-25
    • /
    • 2006
  • This study explored 'One Book, One City' projects which are being spread in Korea, with the perspective to broaden the horizon of 'Library Movement' and 'Reading Campaign' of Korea. 'One Book, One City' projects have been spread in North America during recent years, and they are reported as successful reading campaign in many communities, Many Korean cities are promoting 'One Book, One City' project diversely.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rojects, and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rojects which are being propelled in some cities of Korea. Finally, this study looked into the special features of Korean 'One Book, One City' projects and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the ways or strategies to develop the 'One Book, One City project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Korean society.

Trends and Issues in Social Geography in the 2000s in S. Korea: (2) Empirical Researches (2000년대 한국 사회지리학의 경향과 논제들 -(2) 경험적 연구들-)

  • Choi, Byung-Do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5
    • /
    • pp.735-754
    • /
    • 2012
  • Korean society in the 2000 has experienced new many social and spatial issues such as the process of neoliberalism and changes in urban and spatial policie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reconfiguration of informational social space, radically increasing foreign immigrants and transformation to multicultural society,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injustice, and these new issues have promoted development of social geography in Korea. In addition to a review on them, this paper provides a review on empirical researches on traditional issues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 social geography in the 2000 in Korea. Even though there have been numerous sub-issues, the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urban and communal social geography including urban housing and residential segregation, urban social problems such as poverty, crime, education, health care, social welfare, urban and rural community building, identity, sense of place, and social movement; the other is social geography of population and migration, including population movement, aged society and social welfare for elderly people, and foreign immigrants and formation of multicultural social space. As some difficult conditions such as path-dependent process of neoliberalism, transformation toward informational, aged, and multicultural society would continue, so social geography in Korea to tackle with these external conditions should deepen its theoretical insights and widen its research issues.

  • PDF

Exploring Physical Environment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Areas in Seoul, Korea (서울시 도시열섬현상 지역의 물리적 환경과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 탐색)

  • Cho, Hyemin;Ha, Jaehyun;Lee, Sugie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5 no.4
    • /
    • pp.61-73
    • /
    • 2019
  • Urban development and densification have led to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 which the temperature of urban space is higher than the surrounding areas, and the intensity is increasing with climate change. In addition, when the city's air temperature rises in summer, low-income, elderly population, and socially vulnerable people who have health problems lack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elevated heat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urban heat island area of Seoul through Hotspot analysis, which is a spatial statistics technique, and explored physical environment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areas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is study performed urban heat island hotspot analysis using the average air temperatures of the 423 administrative dongs in Seoul. Analysis results identified that the urban heat islands were concentrated in Jung-gu, Jongno-gu, Yongsan-gu, and Yeongdeungpo-gu.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urban heat island areas of Seoul were affected by residential floor area ratio, commercial facility floor area ratio, overall floor area ratio, impervious surface ratio, an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ulnerable area of therm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heat island area, urban heat island areas of Seou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oportion of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d useful insights for urban thermal environmental design and policy development that could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urban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