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배수

Search Result 46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onsideration on the Operation of water level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Change Associated with Inner Dike Constructions in Saemangeum Reservoir (새만금호 방수제 공사에 따른 관리수위 운영과 환경변화에 관한 고찰)

  • Choi, Jung-Hoon;Oh, Chan-Sung;Cho, Young-Kweon;Ahn, Chi-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6 no.4
    • /
    • pp.290-298
    • /
    • 2013
  • A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a national project in South Korea, has started with the objective of developing the reclaimed area mainly agricultural land use since the mid'80s. To develop a model of the global eco-reclamation, constructions of the eco-friendly counter facilities such as sluice gates and inner dikes, as well as environmental preservation measures for an estuary reservoir, have been carried out. However, reasonable measures of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for the Saemangeum area are requir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igorously analyze and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water level management associated with inner dike construction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affecting factors on determination of water level management are described and a series of calibrated transient-state numerical simulations was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salinity distribution difference in the estuary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inner dikes. The overall salinity reduced about 2~5 psu, and the seawater intrusion was weakened by a well-regulated waterway after construction of the inner dikes compared to before construction of them.

Evaluation on the Hydrologic Effects after Applying an Infiltration Trench and a Tree Box Filter as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저영향 개발기법의 침투도랑과 나무여과상자 적용 후 수문학적 효과 평가)

  • Flores, Precious Eureka D.;Maniquiz-Redillas, Marla C.;Tobio, Jevelyn Ann S.;Kim, Lee-H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1 no.1
    • /
    • pp.12-18
    • /
    • 2015
  • In this research, the hydrologic effects between a pre-existing urban landuse and low impact development (LID) applied condition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The infiltration trench and tree box filter that were utilized in LID represent only 1% of the catchment area that they drain. Storm event monitoring were conducted from July 2010 to July 2014 on a total of 22 storm events in both LID sites. After LID, hydrological improvement was observed as the sites exhibited a delay (lag time) or reduction in the magnitude, frequency and duration of runoff and flow peaks as the rainfall progress. In addition, the maximum irreducible peak flow reduction for infiltration trench was found to be 61% and 33% for the tree box filter when rainfall was 40 mm and 30 mm, respectively. In designing LID, it is recommended to consider the storage capacity and catchment area, as well as the amount of rainfall and runoff on the site.

GIS-based Subsidence Hazard Map in Urban Area (GIS 기반의 도심지 지반침하지도 작성 사례)

  • Choi, Eun-Kyeong;Kim, Sung-Wook;Cho, Jin-Woo;Lee, Ju-Hy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3 no.10
    • /
    • pp.5-14
    • /
    • 2017
  • The hazard maps for predicting collapse on natural slopes consist of a combination of topographic, hydrological, and geological factors. Topographic factors are extracted from DEM, including aspect, slope, curvature, and topographic index. Hydrological factors, such as soil drainage, stream-power index, and wetness index ar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lope instability. However, most of the urban areas are located on the plain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hazard map using the topography and hydrological factors. In order to evaluate the risk of subsidence of flat and low slope areas, soil depth and groundwater level data were collected and used as a factor for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hazard map was compared with the disaster history of the study area (Gangnam-gu and Yeouido district). In the disaster map of the disaster prevention agency, the urban area was mostly classified as the stable area and did not reflect the collapse history. Soil depth, drainage conditions and groundwater level obtained from boreholes were added as input data of hazard map, and disaster vulnerability increased at the location where the actual subsidence points. In the study area where damage occurred, the moderate and low grades of the vulnerability of previous hazard map were 12% and 88%, respectively. While, the improved map showed 2% high grade, moderate grade 29%, low grade 66% and very low grade 2%.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actual damage.

Development of head loss coefficient formula at surcharged four-way combining square manhole with variation of inlet flow (유입유량 변화를 고려한 과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식 개발)

  • Jo, Jun Beom;Kim, Jung Soo;Yoon, Sei Eu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12
    • /
    • pp.877-887
    • /
    • 2017
  • The energy losses due to surcharged flow at four-way combining manhole, which is mainly installed in the downstream of urban sewer system, is the main cause of inundation in urban area. Surcharged four-way combining manholes form various flow configuration such as straight through, T-type, and four-way manholes depending on variation of inflow discharge in inlet pip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change of energy loss and estimate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four-way combining manhole with variation of inflow discharge ratio. The hydraulic experimental apparatus which can change inflow ratios were installed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at four-way combining manhole. In this study, to calculate the head loss coefficient according to change of the inflow discharge ratios at the surcharged four-way combining square manhole, the discharge conditions of 40 cases which the inflow ratios of each inlet pipe were changed by 10% interval was selected. The head loss coefficient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showed the lowest value of 0.40 at the straight manhole and the highest value of 1.58 at the $90^{\circ}$ junction manhole. In the combining manholes (T-type and four-way), the head loss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more higher as the lateral flow rate was biased. The contour map of head loss coefficient range was constructed by using the estimated head loss coefficients and the empirical formula of head loss coefficients was derived to consider the variation of inflow discharge ratios at the surcharged square manhole. The empirical formula could be applied to the design and assessment of the urban drainage system.

Analysis of Intercepted Discharge Considering the Change of Street Inlet Size (빗물받이 유입구 크기 변화에 따른 차집유량 분석)

  • Kim, Jung Soo;Ryu, Teak Hee;Rim, Chang Soo;Yoon, Sei 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75-375
    • /
    • 2015
  • 최근 도시화에 따른 도로구역의 증가는 도심지의 불투수면적의 확대 및 도로의 수로화를 야기하여 집중호우 발생 시 노면 및 저지대의 침수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 피해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화 및 국지성 집중호우 등을 고려하고 도심지 침수 방지 및 방재성능 강화를 위하여 과거에 간선 10년, 지선 5년에서 간선 30년, 지선 10년으로 관거의 설계빈도가 상향조정 되었다. 도심지의 도로 및 유역 유출량의 배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빗물받이 및 빗물받이 유입구는 도심지의 방재성능강화 목적에 맞는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나 현재 국내의 빗물받이 설치기준은 하수도시설기준(2009, 환경부)에서 '빗물받이 크기별, 도로 차선별 적정 빗물받이 설치간격' 으로 설계빈도 5년을 반영하여 제시된 설치기준이므로 이에 대한 수정 및 개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거시설의 설계빈도 상향을 고려한 도로 빗물받이의 유입량 산정을 위해 빗물받이 유입구 크기별 유입량을 도로의 차선, 종경사, 측구 횡경사 및 설계빈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도로에서의 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Froude 상사법칙을 이용하여 수리실험모형을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빗물받이 제원은 현재 대부분의 국도에 설치되는 크기인 $40{\times}50cm$, $40{\times}100cm$$40{\times}150cm$를 축소 제작하였다. 측구의 유량은 도로의 차선(2~4차선), 경사(도로 종경사 2~10%, 측구 횡경사 2~10%) 및 설계빈도(최대 30년)을 고려하였다. 실험 결과 측구의 횡경사가 커질수록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유량은 증가하였으며, 빗물받이 유입부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유입부 측면부를 통한 횡유입량을 증가시켜 빗물받이 유입부의 차집율을 증가시켰다. 또한, 도로의 조건 변화 및 유입량의 변화에 따라서 흐름폭이 감소할수록 차집율이 증가하였다. 수리실험결과를 토대로 도로의 조건변화(차선, 도로 종경사, 측구 횡경사) 및 설계빈도 변화를 고려한 빗물받이의 차집율을 제시하였고 이를 회귀분석 하여 빗물받이 유입구 크기별 유입량 산정식을 도출하였다. 이는 설계빈도 상향에 따른 국내 빗물받이 유입부의 설계 기준 제시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rrelation between a Soil Respir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Namsan and Meaning on an Urban Forest Management (남산 소나무군락의 토양호흡과 환경요인인 기온과 강수량과의 상호관계 및 도시림 관리의 의미)

  • Lee, EungPill;Lee, SooIn;Park, JaeHoon;Kim, EuiJoo;Hong, YoungSik;Lee, SeungYeon;You, Young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9 no.2
    • /
    • pp.136-144
    • /
    • 2020
  • To prepare the management plan for reduction of the organic carbon emission caused by soil respirations,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emission from the pedosphere in Pinus densiflora community within metropolis park was quantified and then the correlations between quantified values and climate factors were analyzed. To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mount of emitted organic carbon through soil respirations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within Mt. Nam in Seoul-si, Korea, and identified cor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As a result, the average amount of organic carbons, included in soil respirations of P. densiflora community in Mt. Nam, was 7.978 ton C ha-1 yr-1. Also, precipitation of spring (March to May) was on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explain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soil respiration. This results suggest a drainage management to keep the low water content in understorey soils is important to an ecological management of metropolitan forests.

A Study on the Fire Prevention Activities and Suppression Measures of Utility-Pipe Conduit (지하공동구 화재예방활동 및 진압대책에 관한 연구)

  • Lee, Jun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4
    • /
    • pp.63-68
    • /
    • 2010
  • Utility-Pipe Conduit is, Housing and city effectively accommodate what they absolutely need power, communications, gas, pipeline, water supply, drainage, energy facilities etc, according to expansion of urban infrastructure are derived, several ways to solve problems in, collection facilities in place are maintained and managed facility. If Utility-Pipe Conduit is damaged, as well as national security, because their impact on society as a whole, by introducing large vulnerability in the fire prevention activities and suppression measures and disaster for our situation by introducing measures,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fire risk, it shall establish fire prevention activities and suppression through analysis of Utility-Pipe Conduit design, institutional issues, the problem of fire protection facilities, fire spread phenomenon etc. Because of Utility-Pipe Conduit is an enclosed place, so incomplete combustion due to lack of oxygen supply that there are problem such dark smoke, carbon monoxide etc, toxic combustion products and heat generation and visual impairment is an issue difficult to enter. As well as fire prevention activities, the fire In light of the particularity of the under ground than above ground fire, so this phenomenon is weak fire fighting that fire to become effective fire fighting tactics, basically it is necessary difficulty softening, non-burn softening and prevent combustion expansion of the cable is installed on the Utility-Pipe Conduit, having to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response command system and relevant organizations to establish an on-site, Structural identification and other information gathering required to record of Response agencies, keep air conditioning system 24 hours and strengthening Virtual Total Training of Response agen

Investigation of pollutant on Sediment of Shin-Gal Reservoir (신갈 저수지의 퇴적물 오염도 조사)

  • Ahn, Tae-Woong;Choi, I-Son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72-1975
    • /
    • 2008
  • 우리 인간이 수원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지표수의 이동 및 저장 역할을 하는 호소는 자연환경과 인간을 이어주는 중요한 매개체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최근에 경제 성장만을 위주로 발전을 추구해온 결과, 급격한 산업화에 따른 도시지역으로의 인구 집중 현상은 호소에 자연적 혹은 인위적으로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하천의 자정능력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신갈 저수지로 유입되어 생태계를 파괴하고, 하천의 최종 유입지인 호소의 오염을 가중시켰다. 경기도 용인시, 화성군, 오산시 지역의 농 공업용수의 공급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신갈 저수지로 유입하는 하천 역시 도시로의 인구 집중으로 인한 막대한 생활하수와 주변 지역에 조성된 공장에서 발생하는 사업장 배수의 유입으로 인해 심각하게 오염되어 신갈 저수지의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현재 용인시에서는 기흥 호수공원을 2010년까지 신갈 저수지 일대 118만평에 여가와 문화, 휴양시설이 연계된 대규모 유원지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갈 저수지의 퇴적물 오염도를 조사하여 호수공원 조성 시 기초 데이터의 확충 및 현황파악을 위하여 신갈 저수지의 퇴적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측정 시기는 1차(2007년 7월)와 2차(2007년 10월)로 총 2회 실시하였으며, 조사 지점선정은 수역 전체의 특성을 가장 대표할 수 있는 지점(호심 또는 가장 깊은 곳 등), 주요 유입하천수가 유입된 후 충분히 혼합되는 지점, 호수가 유출되는 지점, 폐수나 하수의 유입으로 항상 오염이 인정되는 지점을 고려하여 신갈저수지의 6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퇴적물 분석항목 중 VS, COD, T-N, T-P, 중금속 농도를 중심으로 신갈 저수지의 퇴적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각 지점별 1차 퇴적물 조사 결과, VS $23.1{\sim}46.6\;g/kg$, COD $8.5{\sim}26.4\;mg/g$, T-N $0.35{\sim}1.52\;mg/g$, T-P $0.60{\sim}1.05\;mg/g$ 등의 농도로 조사되었으며, 중금속은 수은, 시안, 카드뮴은 검출되지 않았고 구리의 농도는 $0.1{\sim}0.6\;mg/kg$, 납의 농도는 $2.1{\sim}3.5\;mg/kg$로 조사되었다. 또한 각 지점별 2차 퇴적물 조사 결과, VS $22.8{\sim}41.4\;g/kg$, COD $7.9{\sim}21.5\;mg/g$, T-N $0.31{\sim}1.44\;mg/g$, T-P $0.82{\sim}1.01\;mg/g$ 등의 농도로 조사되었으며, 중금속은 수은, 시안, 카드뮴은 검출되지 않았고 구리의 농도는 $0.2{\sim}0.7\;mg/kg$, 납의 농도는 $2.4{\sim}3.8\;mg/kg$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는 앞으로 호수공원이 조성되는 신갈 저수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에 있어 중요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a Pressure Pipeline (압력 원형관로내 유사이송특성 연구)

  • Son, Kwang Ik;Kim, Hyun J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3B
    • /
    • pp.205-209
    • /
    • 2011
  • The low carrying capacity caused by the deposition in a sewer line is one of the main reason of the urban flood. Therefore, an effici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storm water drainage system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urban flood. In this research, the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through a pressure pipeline were examined with laboratory experiments. Bed-forms in a pipeline, sediment rates, roughness due to sediments were examined. Experimental system consists of flow circulation system with a pump and a sediment feeder at the upstream of the pipeline. Sediments were supplied into a 60 mm-diameter and 8 m-long pipe. Maximum flow rate is $30m^3/hr$, and the sediment feeding rate range is 5 g/s~19 g/s. Governing parameters and estimation equation for sediment transport rate were developed. The mean velocity (U), coefficient of viscosity (${\mu}$), unit width bed load ($q_b$), mean diameter of particle ($d_{50}$), unit weight of sediment in water (${\gamma}^{\prime}_s$) were adopted as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f sediment transport patterns. The prediction equation for sediment transport rate were developed with two dimensionless terms. These two dimensionless terms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Cause and Countermeasure of Inundation Damage in Underground Space (우리나라 지하공간 내수침수피해 원인 및 대책)

  • Cho, Jae-Woong;Choi, Wo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0-420
    • /
    • 2011
  • 도시지역의 내수침수피해는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반지하와 같은 거주공간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특히 최근에는 지하철, 지하상가 등이 대규모 개발되고 복합네트워크화 되어 지하공간의 침수대책과 대피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일본의 경우 2000년 토카이 호우피해 후 통합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1999년 및 2003년 후쿠오카 침수피해 발생 후 특정도시하천침수피해대책법을 제정, 1999 후쿠오카, 2004년 하마마츠, 2008년 카누마 피해 후 일본 방재연구소에서는 실시간 1차원 지표범람모형과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내수침수지도를 개발하였다. 특히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지하공간에 유입하는 범람수가 계단상 보행자게에 주는 위험성에 관한 연구" 등 실험을 바탕으로 각종 지하공간 침수대책 매뉴얼 및 지하시설의 침수시 피난확보계획 지침, 지하공간 침수대책 가이드라인 등 인명피해를 줄이고자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 경기도 고양시 3호선 정발산역이 침수되었으며, 2010년 서울시 지하철 2호선 사당역 및 4호선이 침수되는 등의 지하철 침수피해와 2010년 서울시 광화문 지하상가, 인천시 부평구 우림라이온스 벨리, 우남플라자, 계양구 농협하나로마트, 서원아파트 등의 지하상가와 지하다층의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06년 3호선 정발산역 침수는 17시간이나 지하철이 불통되었고 이로 인하여 심각한 교통 체증이 유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집중호우로 인한 서울, 인천지역의 지하공간 침수피해를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지하공간 침수피해사례로부터 대표적인 침수피해 원인 및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지하공간 침수의 주요원인은 지상공간의 침수류가 지하공간으로 유입하고, 지하공간의 배수설비 용량부족, 지하공간으로의 유입을 방지하기위한 방지턱, 차수판, 침수시 비상전원 공급, 침수시 지하공간 대피 매뉴얼의 부재 등 다양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방재청에서 고시한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에 지하공간 침수 방지를 위한 각종 시설의 설치 및 대피 경로지정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나, 지하공간 중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하철역에서 조차 침수에 대한 행동매뉴얼이나 대피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공간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를 이용한 자동 차수판과 경보기 설치, 지하공간의 사람들이 안전한 대피로를 찾을 수 있도록 지상공간 및 지하공간 출입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CCTV의 설치, Dry Area를 두어 비상대피 할 수 있는 공간의 마련 등 시설적인 부분에 대하여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상공간의 침수 상황을 고려한 지하공간의 대피매뉴얼 또는 가이드라인 등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더불어 재산 및 인명피해를 더욱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실시간 예 경보를 위한 침수해석 모형의 개발이 시급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