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공공환경 제도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Urban Climate and Urban Ecology (도시기후와 도시생태)

  • 이현영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24-229
    • /
    • 1997
  • 쾌적하고 능률적인 생태도시 건설을 계획할 때는 도시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공공시설의 입지선정을 신중히 해야한다. 도시계획과 운영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도시는 쾌적한 촌락환경과 크게 다르게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도시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와 관련된 모든 분야 즉, 도시계획, 토목공학, 생태학, 기후학, 지리학 등의 전문가들이 함께 문제를 검토하고 계획하는 학제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즉, 도시의 기온분호으 ㅣ패턴, 탁월풍과 도로망 및 구조물의 배열, 도시공원과 가로수의 적정 수종을 이해한다면 도시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싼 대가를 치르지 않아도 될 것이다. 또한 도시의 행정책임자는 쾌적한 도시 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제도 및 업무수행에 유연하여야 할 것이다.

  • PDF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Value Recognition and Urban Design Policy on the Urban Street - Focused on the Spatial Changes in Seoul during the Modern Periods - (도시공공환경의 변인으로서 사회가치인식과 제도의 변화상에 관한 연구 - 근대기 서울의 도시가로환경에 관한 담론을 중심으로 -)

  • Lee, Ji-You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2 no.3
    • /
    • pp.164-173
    • /
    • 2013
  • This study starts from the genealogical analysis of the urban public spaces through local history of Seoul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estern countries. The analysis targets the discourse on the urban street, the basic unit of urban tissue and the settlement condition in urban life, which defines urban space-structure among the urban public spaces. And this research classifies and categorizes the value recognition and policy value occurred each period. Based on these, this research defines the progress levels of urban public design policy in Seoul as follows. Results Firstly, 1890's and 1900's was the period of development in commerce and industry, which caused congested and crowded streets. The open port policy allowed the experience of the foreign circumstance, and thus the identity of the urban streets and the value of symbolism come to realize among the society.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urban streets put on modernized images through the urban remodeling out of the context according to the colonization policy. The brand-new values such as publicness and amenity are injected as well as modern regulations by system and authority. From Liberation to 1950's, it performed only street restoration as a repair from war with Japanese colonial system because of the political confusion and administrative vacuum. Finally, each period can be defined as follows. 1890's and 1900's can be defined as 'spontaneous finding the modernization' because urban street was intentionally transformed by the empir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can be defined as 'the formation of modernized urban street concept and the compulsion of modernized regulation.' And period of from Liberation to 1950's, can be called as 'the absence of value recognition and maintenance of colonial system.' methodology.

Way of Local Culture Storytelling Application for Creative Cityscape Design -Focused on Tokyo's Marunouchi Street and Avenue des Champs-Elysées in Paris Style for the Journal of Korean Contents- (창의적 도시경관 디자인을 위한 지역문화 스토리텔링 활용 방안 -도쿄의 마루노우치 거리와 파리의 샹젤리제 거리를 중심으로-)

  • Hwang, Yoo-Soon;Lim, Chae-H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11
    • /
    • pp.119-132
    • /
    • 2012
  • Korea's latest quantitative urban development led to a result to lose our public properties' identity provided by urban environment, so we now have to think how to solve environmental matter of one-sided public design. Because one city's public environment is the central axis to determine its first impression and also connected with its overall value, the region's value show obvious differences by its urban scape design. Therefore we analyzed current cityscape of Tokyo's Marunouchi street and Avenue des Champs-Elys$\acute{e}$es in Paris which applied how to connect visu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representation to outdoor space's nature well, and tried to reconsider what is our design identity of creative cityscape.

A study on evaluation framework of environmental formative works in urban space (도시 환경조형물 심의현황에 관한 고찰 - 대도시 건축물 미술장식제도를 중심으로 -)

  • Yoon, Ki-Hwan;Kim, Jin-Seo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2 s.60
    • /
    • pp.315-324
    • /
    • 2005
  •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evaluation framework of environmental formative works that are regulated by law in urban space,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improving the framework for better city environments.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formative works in urban space was identified and social situations and factors including visitors and the cognitive process of urban environments, were analyzed. This research suggests a new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regulations and problems of environmental art or formative works. The public regulations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Korean major cities including Seoul, Daejeon, Busan and Gwangju, were examined on environmental formative works. The objective was to suggest an evaluation framework for creating human values of urban culture environment instead of focusing on the matters between the owner of the architecture and the artist of formative works. By identifying socio-cultural value of art decoration related regulations and improving the level of the public formative art evaluation scheme, this study helps addressing the administrative problems and constructing a conceptual framework of evaluation to improve urban culture environment for both human and environment.

  • PDF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Architecture & Operation Planning of Public Health Services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도시계획지원을 위한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 정립)

  • Kim, Eunseok;Yong, Insuk;Jeong, Daeun;Goo, Gayeon;You, Cha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30 no.1
    • /
    • pp.47-52
    • /
    • 2024
  • 병원은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기관 별 운영 전략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종합의료시설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이나 입원 등의 의료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자 그에 따른 운영 전략이 상이하다. 이러한 병원의 운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건축 역시, 건립 시기, 유형, 중증도에 따른 병원의 규모 등에 따라 시설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며 이는 최근 정부에서 요구되는 제도 및 정책의 수용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의료법은 기존 의료시설뿐만 아니라 신규 의료시설에 대한 설치 및 운영기준이 강화 추세에 있고, 서울시 또한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감염관리시설이나 필수의료시설 설치를 위한 용적률 인센티브 정책을 추진 중이다. 병원 운영 환경이 상이함에 따라 종합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인센티브제도의 적용 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그러나 공익을 위해서 종합의료시설 인센티브제도를 지속 가능하게 운영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은 반드시 필요하다. 공공의료 기능 확충을 위한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지구단위계획 수립·운영 기준은 공공과 민간이 모두 만족하는 의료환경 구축을 위해 매우 깊은 고민이 필요했다. 본 논설은 서울시 공공필요의료시설 확충 제도의 주요 내용과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기준의 주요 내용을 정립하게 된 배경과 이유 등을 설명하여 본 제도의 의의를 정확히 전달하고 향후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nactment of Regulations for Construction of u-City Operation Center (도시통합운영센터 구현의 법.제도 정비를 위한 기반연구)

  • Kang, Seung-Lim;You, Jin-S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121-121
    • /
    • 2009
  •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를 활용하여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제공함으로써 도시민의 생활편의 증대와 삶의 질을 높이고 체계적인 도시관리 및 도시의 제반 기능의 혁신을 통해 도시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최근 u-City의 핵심부문으로, u-City의 성공적 구축을 위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도시통합운영센터는 기존 도시에서는 시도해 보지 않았던 새로운 개념으로, U-City법에서 향후 U-서비스의 관리 운영에 필수적인 U-City기반시설로 규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도시통합운영센터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 또한 구축 관리 운영을 위해 필요한 법 제도적 기반환경이 미흡한 실정으로, 법적 근거없이 개별법에 의한 사업추진으로 실제로 도시통합운영센터를 구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이 u-City와 도시통합운영센터는 기존 도시에서는 시도해 보지 않았던 새로운 개념이기 때문에 현행 법에 맞지 않는 경우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새로운 법/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 관련법과의 연계를 통한 도시통합운영센터 구축 운영에 대한 법 제도적 기반환경 마련을 위한 연구로서, u-City 관련 법/제도 중 도시통합운영센터 구축 및 운영 관련 사항에 대한 검토를 통해, 법/제도적 측면에서 도시통합운영센터 구현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검토하였다. 구축측면 (계획/건설)에서 시스템 공동활용 및 연계 구축 방안 마련을 위해 도시통합운영센터 구축주체, 재원조달방법을 검토하였으며, 운영측면에서 도시통합운영센터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도시통합운영센터의 공공기능 수행 및 운영에 대한 사항을 분석하였다. 도시통합운영센터 구축 운영에 대한 법 제도 정비를 위한 기반연구를 통해 도시통합운영센터의 성공적인 구축 및 운영을 도모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Design Evaluation Factors to Improve Urban Landscape Media (도시경관미디어 개선을 위한 디자인 평가 요소에 관한 연구)

  • Han, In-Kyo;Kim, Gi-Jung;Kim, Ki-Uk;Park, Jae-Young;Lee, Jung-B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93-59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디지털 미디어와 도시경관과 결합한 형태로 나타난 제3의 공간인 도시 경관 미디어의 디자인 방향성 제시와 분석틀을 제안하는데 있다.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다양성과 독창성은 도시 환경을 미학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문화컨텐츠의 중요성을 부각시킴으로써 도시의 정체성을 높이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도시 경관은 도시 활동의 근원으로써 정보의 공급 역할, 공공의 장으로서 휴식과 나눔의 기능, 담론의 장으로서 커뮤니케이션 공간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시 경관 미디어 시설물 평가요소 도출과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GSI) promotion system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그린빗물인프라(GSI) 조성 추진체계 구축 연구)

  • Hyo Jung Lee;Hyun Suk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7-437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발생되는 폭우, 강풍 등의 기상현상으로 인해 하천범람, 내수침수, 해수범람 등 특히 해안도시지역에서의 물 문제는 날로 심화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사업 및 친환경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GI) 기술요소의 적용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환경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그린인프라 제도/정책 및 재원관리의 선진화(2021)' 연구용역을 통해 관련 추진체계 구축, 제도 개선방안 등을 모색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기존의 LID 및 GI 관련 정책·제도 개선, 강우유출수 관리목표 설정방안, 투수/불투수도 제작 지침 마련, 시민인식조사 등을 통해 그린인프라 확대를 위한 과학적 근거 및 통합관리제도를 마련하였다. 이와 더불어 2013년부터 도시지역의 우수유출 저감, 물순환 구조 개선,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 '그린빗물인프라(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GSI) 조성 사업'을 추진하여 국비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GSI 조성사업'은 2014년 공공청사 중심에서 학교, 도서관, 체육시설, 공원 등 적용 범위를 확대 하고 있는 추세이나, 수도권지역과 물순환선도도시 조성사업이 진행중인 5개 지역(김해시, 광주시, 안동시, 울산시, 대전시)을 제외한 각 지자체에서는 실효성 있는 추진체계 및 가이드라인 부존 등의 문제로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경상남도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GSI 조성 추진체계 마련을 목표로 본 연구용역을 추진하였으며, GSI 관련 국내외 현황조사, GSI 조성을 위한 공공청사의 우선순위 선정, 지형적(토지피복, 토양형 등), 기상학적 현황을 토대로 한 우선순위 선정, 이를 통합한 경남형 GSI 조성 추진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Value Recognition and Urban Design Policy on the Urban Street - Focused on the Spatial Changes in Seoul during the Modern Periods - (현대성으로의 가치인식전환과 도시공공공간의 변화상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이후 서울의 도시가로환경과 그 담론을 중심으로 -)

  • Lee, Ji-You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2 no.6
    • /
    • pp.162-172
    • /
    • 2013
  • This study focuses on the genealogical analysis of the urban public spaces by the local history of Seoul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estern cities. The analysis targets the discourse of the urban street which defines urban space-structure among the urban public spaces. Based on the analysis, we define the progress levels of urban public design policy in Seoul. Firstly, in 1960's and 1970's, 'urban reconstruction' was intensively carried out for the country modernization, and 'vehicle preferred street expansion' resulted in damages to historical inheritance, in-humanized street, and cultural uniformity. 1980's and 1990's would be defined as 'politic acceptance of plural values to the urban street.' There were the Olympic Games held in Seoul in 1988, which were the celebrations of the 600th capital establishment and the autonomous local government system. In the meanwhile, diverse values on the urban street were discussed in terms of globalization. There also were the self-reflection for the urban skyscrapers and high-population rate, the cultural uniformity of urban street, and the commercialization in downtown with urban reconstruction plans. Then, the sense of landscape and amenity was focused. Various urban projects and regulations were hel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value recognition. 2000's can be defined as 'introduction to the organic integration and the urban public design governance.' In the 21st century, types of recognition have changed significantly, which include publicness, humanism, sustainability, symbolism, artistry, placeness, and communication. They cause the establishment of ordinances and the installation of integrated organization via urban design administration. The legislation has been revised in order to support the various methods for the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urban landscape in terms of local characteristics. New regulations were established for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es of the urban planning with street design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