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수진단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reatment for Abnormalities When Raising Arms (팔을 올릴 때 이상에 대한 도수 치료)

  • Kim, Kwang;Yun, Sueyoung;Shin, Seo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40-34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근골격계 질환 중에서 종종 발생하는 어깨 부위의 질환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팔을 반듯이 위로 올렸을 때 통증이 발생하는 어깨 질환에 대한 도수치료법을 제시한다. 실험에서는 도수진단을 위하여 팔을 반듯이 위로 올릴 때 팔의 각도를 입력하고, 이상이 발생할 시 진단 및 치료법까지 시스템에서 제시한다.

  • PDF

Manual Therapy for Shoulder Flexion and Extension (어깨의 굽힘과 폄에 대한 치료)

  • Shin, Seong-Yoon;Lee, Hyun-Chang;Ahn, W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97-9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흔히 나타나는 어깨 질환의 치료에서 팔 부분에 대하여 알아본다. 특히 팔을 반듯이 위로 올렸을 때 통증이 발생하는 어깨 질환에 대한 도수치료법(Manual Therapy)을 제시한다. 실험에서는 도수진단(Manual Diagnosis)을 위하여 팔을 반듯이 위로 올릴 때 팔의 각도를 입력하고, 이상이 발생할 시 진단 및 치료법까지 시스템에서 제시하도록 한다.

  • PDF

한의학에서의 사상체질판별함수 개발에 관한 연구 (II) - 도수분석에 의한 변수선택 -

  • Kim, Gyu-Gon;Jo, Min-Hyeong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4a
    • /
    • pp.69-7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한방병원에서 사상체질분류검사설문지를 이용하여 사상체질을 진단할 때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상체질분류함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데이터마이닝에서의 판별분석모형을 이용한다. 데이터 정제 과정에서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기준은 상반되는 설문의 응답 패턴과 체질별 설문의 응답 비율을 이용하며, 변수선택의 기준은 도수분석의 비율차이검정과 선형판별함수의 계수를 이용한다.

  • PDF

Manual Therapy of Musculoskeletal Diseases(Shoulder-Flexion and Extension)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어깨-굽힘과 폄))

  • Kim, Do-Gwan;Sin, Seong-Yun;Lee, Hyeon-Chang;Lee, Yang-Won;Park, G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8-119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manual therapy with regards to shoulder diseases accompanied by pain when arms are lifted while spread straight. In the experiment, the angle of the arm when lifted straight is inserted for a manual diagnosis and in case of abnormality, the diagnosis and the therapy are proposed.

  • PDF

Occupational Injuries in Korea : A Comparison of Blue-Collar and White-Collar Worker's Rates and Underreporting (특집 - 제2회 산업보건학술제 수상 논문 - 한국의 산업재해 : 사무직과 생산직 근로자의 손상률 비교와 낮은 산재 보고율 -)

  • Won, Jong-Uk
    • 월간산업보건
    • /
    • s.260
    • /
    • pp.69-81
    • /
    • 2009
  • $\bullet$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의 생산직 근로자와 사무직 근로자의 직업성 손상 및 질환의 차이를 비교하고 산재보고 축소(underreporting)의 규모를 추정하고자 수행되었다. $\bullet$ 방법 한국의 경인지역에서 구축된 근로자 건강진단 수진자 코호트와 1999-2001년 사이에 재직 중이었던 근로자의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였다. 근로자의 직무내용과 건강진단의 종류(특수건강진단 및 일반건강진단)로 사무직과 생산직 근로자로 구분하였으며, 이들 사이의 근골격계질환과 손상 및 중독에 해당하는 건강보험 이용률의 차이를 신고되지 않은 산재로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수율, 산재발생률 및 재해율을 계산하였다. $\bullet$ 결과 생산직 근로자는 사무직 근로자보다 100 인년 당 3.47건 더 높은 건강보험이용률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추정한 한국의 도수율은 12.57-18.1, 재해율은 2.74-3.29, 산재발생률은 3.62-5.44이었다. $\bullet$ 결론 한국 제조업의 산재발생률은 공식적인 통계보다 2-3배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 PDF

Study on Infrared Thermography (적외석 체열촬영에 관한 고찰)

  • Kim, Ho-Bo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 /
    • v.1 no.1
    • /
    • pp.9-14
    • /
    • 1995
  • Thermography is a diagnostic procedures that measures infrared energy emitted by the skin. Thermography detects body temperature change which are controlled by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t does show the thermal dysfunction that correlates closely with pain syndromes as well as normalization when the healing process takes place. Experienced clinical interpretation of the thermal pattern is necessary to diagnose and establish causation. Thermography is useful in the diagnosis of painful conditions such as herniated disc diseases, myofascial syndrome, myositis, musculoligamentous injury,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athretic injuries, vascular diseases, arthritis, inflammation and breast tumors.

  • PDF

Brown-Sequard Syndrome Produced by Cervical Disc Herniation : Manual and Exercise Therapy after Operation-Case Studies (경추 추간판탈출증에 의한 브라운-시쿼드 증후군 : 수술 후 도수치료와 운동치료 효과-사례연구)

  • Kim, Myung-Joo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 /
    • v.15 no.1
    • /
    • pp.79-85
    • /
    • 2009
  • 목적 : 브라운시쿼드는 대부분 척추손상과 수질외 척추 종양에서 주로 나타난다. 드물게 경추 디스크가 브라운시쿼드의 원인이 된다. 경추디스크에 의한 브라운시쿼드 증세의 수술후 물리치료 및 도수치료 결과를 보고하기 위함이다. 방법 : 50세 남자로써 브라운시쿼드 증세로 진단을 받고 수술후 좌측 팔과 다리에 운동신경에 의한 마비증세가 있었으며(팔>다리), 우측으로 감각과 온도감각이 저하된 경우이다(팔>다리). 측정방법은 통증지수(VAS), 근력(Distal PowerTracII$^{TM}$ test), 지구력(Ergometer) 측정과 심리상태(설문)를 치료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물리치료에서는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와 도수치료 및 운동치료 방법을 실시하였다. 도수치료는 통증완화와 근력강화를 위한 MET, MFR, Mobilization 등을 실시하였으며, 운동은 슬링시스템 등을 이용한 운동과 견관절의 불안정을 위해 안정화운동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이 케이스는 수술후 이상 징후가 척수압박으로 인하여 보다 넓게 통증이 나타났으며, 운동 및 감각신경이 둔해지고 온도에 대한 감각이 반대편 결손으로 나타났으며, 좌측 어깨, 팔 견갑부의 근육 마비와 우측의 감각이 떨어진 현상이 나타났다. 물리치료 후 단기목표와 장기목표에 있어서 통증과 운동 및 감각 기능이 회복되어 각각 팔 통증에서는 VAS 8 ${\rightarrow}$ 1, 상지 하지의 운동기능은 Trace ${\rightarrow}$ Good 로 평가 회복되었으며, 근력측정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치료과정 결과에서 심리적 상태의 설문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어 긍정적 신뢰가 높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결과 다리의 근력이 증가는 걷기 운동 및 에르고메터의 지구력 및 균형이 레벨1의 10분 수행능력이 레벨 20에서 30분 수행능력으로 향상되어 일상적인 활동이 가능해졌다. 결론 : 예상하지 못했던 수술 후유증(side effects)에 대한 치료과정이 환자의 심리에 심각한 부정적인 생각이 신체의 기능과 감정의 손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치료 과정에서 기능적 향상과 더불어 정신적인 심리의 정서 안정이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Clinical results of wavefront guid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파면 유도 맞춤 굴절교정각막수술의 임상 결과)

  • 이경섭;최철명;유용성;김진국;고동섭;권혁제;김현수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2a
    • /
    • pp.126-127
    • /
    • 2003
  • 눈의 시력을 진단하는 도구로는 시력표, 검영기, 빔프로젝터, 자동굴절력측정기 등이 있다. 파면분석기(wavefront aberrometer)를 이용하면 눈의 굴절력 및 난시도수 외에도 광학적 고위수차(higher order aberration)를 표현하는 파면수차함수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눈의 결상 능력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파면분석기는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던 시력 또는 굴절력 계측기들의 다음 세대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략)

  • PDF

Sling Exercise Therapy (S-E-T) : A total concept for exercise and activ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슬링운동치료(Sling Exercise Therapy) :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능동적 운동과 치료의 총체적 개념)

  • Kirkesola, Gitle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 /
    • v.7 no.1
    • /
    • pp.87-106
    • /
    • 2001
  • 슬링 운동 치료(Sling Exercise Therapy)는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영구적인 치유를 목적으로 슬링을 이용한 능동적인 치료와 운동법을 체계화한 접근법이다. 이 개념은 10 여년 전부터 노르웨이의 물리치료사들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현재 뇌졸중 환자와 신경학적 질환자 그리고 소아 환자와 건강 증진 프로그램에서도 이용되는 방법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현재 정형물리치료 분야에 대한 세계적인 흐름은 전기치료 기구나 물리치료사의 손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치료 접근에서 점차 환자가 스스로 물리치료사에 의해 특별히 고안된 운동방법에 따라 능동적인 치료적 운동을 통해 손상 치료와 건강 관리를 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지고 있으면 많은 치료 분야에서 이러한 접근법을 채택하고 있다. 슬링운동치료 개념은 이러한 능동적인 운동법을 주된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 논문은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를 중심으로 쓰여졌다. SET 개념에는 체계적인 진단과 치료의 요소들이 포함되어져 있다. 진단 체계에는 열린 사슬과 닫힌 사슬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부하를 가해 줌으로서 근육의 상태를 검사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치료적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에는 근육의 안정화, 감각운동 훈련, 열린 사슬과 닫힌 사슬을 이용한 훈련법, 가동성있는 연부 조직의 역동적 훈련, 심폐 강화 훈련, 단체 훈련, 가정에서의 개별적 훈련과 추후 관리 그리고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포함되어 있다.

  • PDF

Diagnostic Value on the Orthopaedic Tests for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천장관절 기능부전에 대한 검사방법들의 진단적 가치 : 정형도수치료적 평가를 중심으로)

  • Yoon, Hong-Il;Sim, Hyun-P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 /
    • v.16 no.1
    • /
    • pp.64-76
    • /
    • 2010
  • The sacroiliac joint is difficult to appropriately examine and treat because it is extremely complex and also is difficult to distinguish dysfunctions from those of the spine and hip which are highly intergrated functionally. In addition generally traditional x-rays and CT scans also are not beneficial in detecting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The manipulative physiotherapist should seek to establish a series of relevant finding that build into a case implicating the sacroiliac joint. When deciding to use these diagnostic tests, the examiner must determine if the test will give reliable and useful information that will help in the diagnosis and subsequent treatment. To be useful diagnostic tests must give reliable data and be valid and the most useful methods of determining whether a test is a good test for pathology under consideration ar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the ideal world, one would want a test that has both high sensitivity and high specificity.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ascertain diagnostic value on the tests for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by liter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