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 공간활용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1초

폐교 시설의 효과적인 도서관 활용을 위한 폐교 발생 지역 주민의 인식 및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Needs Analysis of Community Residents to Reuse Closed Schools as Library)

  • 노영희;노지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91-116
    • /
    • 2019
  • 본 연구는 폐교의 성공적인 도서관 활용을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폐교 운영 및 관리 현황, 향후 폐교 활용 방향, 그리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등에 대한 요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제 폐교 발생지역의 주민들은 향후 폐교 활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도서관을 새로 신축하는 것보다 폐교를 리모델링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이라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는 점에서 지역 내 도서관 수가 부족할 때 또는 지역주민들이 폐교를 도서관으로 리모델링하는 것을 희망할 때 폐교의 도서관으로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폐교 활용 및 운영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에 머물러 있어, 폐교 운영 및 관리의 장애요인을 그룹핑하여 홍보적 운영적 물리적 측면 순으로 폐교 운영과 재활용 활성화 방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폐교 시설의 활용 유형에 있어서도 문화시설에 대한 현황과 지역주민의 요구가 맞아들고 있고, 폐교가 해당 지역을 기준으로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곳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이를 중심으로 생활 밀착형 친화경 공간으로서 충분히 사용 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도서관 또한 지역주민들의 기초적인 문화시설 공간으로서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다른 복합문화공간, 전시관을 활용한 도서관, 친환경 도서관 등을 추구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요구를 충족 보완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정보공유공간)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Commons to the University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7-87
    • /
    • 2007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효과적인 공간 활용과 이용자서비스를 위해 미국을 중심으로 90년대 이후 점차 확산되고 있는 Information Commons의 국내 대학도서관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도서관의 정보와 전자자원을 통합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연구 및 과제와 관련된 모든 작업을 한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Information Commons는 이용자 및 정보환경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국내 대학도서관에도 적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하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설치 이전에 PC실, 멀티미디어실, 교육장, 개인용 및 그룹용 스터디룸, 그리고 까페 라운지 등의 물리적요소와 참고질문 및 정보기술문제의 해결을 통해 Information Commons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정보활용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인적요소에 대한 확보가 필수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for Public Library Space Need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49-16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건축, 특히 공간구성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조사하여 공공도서관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도서관 신축을 진행하고 있는 경기도 용인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기능별 공간 비율과 공간배치에 관련된 요인들로 도서관 이용목적, 도서관 내 활동, 연령, 동반자 형태 등이 있었다. 도서관내 주요 활동은 독서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많은 주민들이 가족과 함께 도서관을 이용하는 성향을 보여주고 있어서 가족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였다. 또한 연령별로 도서관내 활동의 차이가 있어 연령별로 적합한 공간의 확보가 요구되었다.

  • PDF

이용자 로그데이터 기반 대학도서관 일반열람실 활용도 및 선호요인 분석 - J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Utilization Status and Preference Factors of Reading Room in University Library based on User Log Data: Focusing on the Case of "J" University)

  • 손은정;박태연;오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375-398
    • /
    • 2020
  • 도서관 공간 중 일반열람실의 당초 목적은 이용자가 도서관 장서를 자유롭게 열람·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데 있었으나 현실적으로는 개인 학습 공간으로의 활용이 많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재고 논의가 일고 있다. 특히 대학의 경우 도서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공간 중 주로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존재하는 일반열람실의 비중이 큰 편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내 일반열람실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열람실별 공간적 특성에 따른 선호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 J대학교를 선정, 지난 1년간 다양한 규모의 일반열람실을 실제 이용한 로그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총 40,753명의 이용자로부터 수집된 218,939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간별, 공간별 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열람실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나아가 공간 활용도 제고를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 일반열람실의 공간 배치 및 공간 활용도 향상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 공간 활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이용패턴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Library Space Use Patterns to Determine its Optimum Utilization)

  • 박성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5-24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대학도서관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있다. 도서관 이용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직접 자신들의 행동을 기록하는 다이어리 기법을 이용했다. 총 108명이 참여를 했고 이들 중 84명이 다이어리를 작성했다. 제출된 다이어리 중 내용을 충실히 작성한 14명의 참여자와 도서관 이용행태, 이용시 문제점 및 요구사항 등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이어리와 인터뷰 분석결과, 공간계획 측면에서 이용되지 않은 공간이나 기기들의 이용률 향상을 위한 방안마련과 서가 브라우징을 통한 정보접근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안했다. 또한 도서관 이용시간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이용행태 및 이용률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양평군 공공도서관 공간 운영 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ablishment of Space Operation Plan for Yangpyeong-gun Public Library)

  • 장인호;노영희;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01-32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양평군의 신규 건립 도서관이 지역민을 위한 문화 향유 공간, 창의성 함양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공간별 운영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양평군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성 현황을 파악하고, 구성될 공간에 대한 운영 계획(안)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타 도서관의 유사 공간별 명칭, 운영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고, 도서관 사례의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양평군 공공도서관의 공간 운영 방안을 수립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자료실 등은 유아·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초기 독서습관 향상, 발달 기여, 다양한 감각 발달 등에 기여하는 공간 활용이 중요하며, 소극장은 규모가 큰 공연을 중심으로 기획해야 한다. 벽면서가&북스테어 옆 독서 및 휴식을 위한 가구와 공간 마련하고 일정 이하 잡담이 가능한 소통공간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다목적실은 체험형 창작 활동, 창작 공연 등을 활성화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아리실은 주기적인 소통 및 의견 공유를 통해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이커 스페이스 공간은 다양한 창작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을, 일반자료실은 전 주제의 자료를 제공하는 장소로써 이용자들과 주기적으로 소통하여 의견을 반영하여 운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족실은 자녀와 부모가 함께 한 공간에서 자유롭게 차도 마시면서 북카페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학교도서관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dministration of School Library Media Center as a culture spade for public education)

  • 조혜영;김성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51-37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공교육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창의성 있는 인재 양성 및 전인교육을 위해서 문화적 공간으로써 학교도서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학교도서관을 문화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문화예술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도록 영화감상 시설 및 음악 감상 시설을 비롯한 매체와 시설들이 갖추어져야 한다. 특히 방과후에는 각종 문화적 모임의 토론 공간 역할을 비롯한 자유이용 공간, 레크레이션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PDF

대학도서관 공간변화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Librarians' Perceptions towards the Changes in University Library Space)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61-377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공간변화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의 전문사서가 평가하는 대학도서관 리노베이션 혹은 신축으로 인한 공간변화의 효과성 및 효율성 그리고 향후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현재 리노베이션 혹은 신축이 진행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사서들과 면대면 혹은 전화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도서관 공간변화는 크게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공간 마련, 최신 IT시설 확충 그리고 보존 공간 확보의 세 가지 목적으로 이루어 진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도서관 목적에 부합하는 실질적 기능과 활용성을 고려한 공간변화와 대학의 특성을 고려한 독창적인 공간변화 그리고 이러한 공간변화에 보다 주도적이고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사서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제기되었다.

공간회귀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영향 요인 분석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Public Libraries in Busan)

  • 구본진;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7-87
    • /
    • 2021
  •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도서관의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접근성의 불균형적인 분포는 도서관 서비스의 공평한 제공을 제한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접근성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은 지역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공공도서관이 인구수나 대중교통 이용과 무관하게 입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형평성 측면에서도 공공도서관 입지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접근성 현황을 이해하고,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공공도서관 접근성 격차 완화 및 신규 입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역사회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배치유형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School Libraries that are Open to Public)

  • 공순구;박지훈;신한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7-340
    • /
    • 2012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역 개방형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학교도서관으로 이용하던 시설일부를 개방하여 지역주민에게 공공도서관의 소분관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접근성 향상 및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제공에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통해 국민생활의 정보이용 복지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로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공공도서관의 분관에 속하는 소규모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에 거점도서관의 소분관 설치 증가도 의미는 있겠지만 지역주민의 접근이 용이한 학교도서관에 같은 기능을 접목시켜 설치할 경우 도서관 조성시 대지 및 공간확보에 대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학교도서관 자체의 질적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은 기능과 성격이 공공도서관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을 지역개방하여 활용할 경우에 대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기 위한 배치와 규모 그리고 공간구성에 지향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조성될 개방형 학교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