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서관예산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5초

도서관 예산과 도서관 이용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y budget and Library Usage)

  • 김선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3-212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이용과 도서관예산 사이에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잠재적 이용자들을 도서관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적정예산의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하는데 있다. 다시 말해, 도서관예산은 도서관이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설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공공도서관 31개관을 대상으로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으로부터 확보된 2013년 통계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독립변수는 도서관예산을 설명하는 '총비용지수(TFI: Total Funding Indicator) = $\sqrt{인건비{\times}자료구입비}$'와 도서관이용을 나타내는 'LU(Library Usage) = (연간 방문자수) + (연간 대출자료수) / 봉사대상인구'의 개념을 통해 산출된 값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도서관총비용지수(TFI)와 도서관이용(LU) 사이에는 영향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서관의 예산이 증가할수록 도서관이용은 증가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비록 도서관예산과 도서관이용의 긍정적인 관계를 설명하고 있지만, 분석대상 및 분석기간의 제한성 및 한정성으로 인해 정책결정을 위한 도구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대상의 확대 및 분석기간의 다년화를 통한 타당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대학도서관진흥법을 기반으로 한 자료구입비 예산책정과 효율적인 학과 배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ing the Budget for the Purchase cost of Books Based on the University Library Promotion Act and the Effective Allocation of Departments)

  • 노경국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49-168
    • /
    • 2024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진흥법에 따른 대학도서관에서 최소한의 자료구입비를 확보하기 위한 예산 책정 방법과 확보된 자료구입비를 효율적으로 학과에 배당하여 집행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의 현황과 법적 기준을 살펴보고 법적 기준에 따른 최소한의 자료구입비 확보 방법을 제시하고 확보된 예산의 효율적 집행을 위한 학과 배분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내 출판되는 도서 평균가격을 대학도서관진흥법 기준에 적용하여 대학도서관자료구입비를 책정하였다. 학보된 예산은 80%를 학과에 배정하고 20%를 사서선정분으로 배정하였다. 학과에 배정된 80% 예산은 다시 100%로 환산하여 주제별 도서가격, 학생정원, 이용률 등 3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각 학과예산을 편성하여 배분하였다.

미국 RCPL과 전주시립도서관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Between RCPL and Jeonju Municipal Library)

  • 이승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5-25
    • /
    • 2010
  • 미국 RCPL과 전주시립도서관의 여러 측면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RCPL이 예산, 직원수 등이 훨씬 많고 정보 매체의 양과 질, 이용횟수, 홍보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주시립도서관의 '지역민의 회원수 비율', 정보 매체의 질과 양, 대출건수, 독서회 참가자수, 홍보 등이 RCPL에 비하여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원봉사자의 수는 전주시립도서관이 많았고 인구를 감안하지 않은 연간 방문자 수도 전주시립도서관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이나 인력이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은 한계가 있으므로 도서관 관계자들은 더 많은 예산과 인력의 확보를 위하여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더 많은 예산과 인력을 지원받기 위해서는 현재 전주시립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서비스가 시민들에게 얼마나 많은 혜택을 주고 있는지 구체적 서비스의 내용을 시민과 행정당국에게 잘 홍보하여야 한다. 더불어 향후에 공공도서관에서도 기부금 모집 등록을 통하여 기부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한국 공공도서관 예산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거시환경과 미시환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Public Library Budget of South Korea: Focused on Macro and Micro Environments)

  • 조정권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5-23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의 공공도서관 예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환경과 미시환경의 속성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7년도의 167개 지방자치단체 공공도서관 예산액을 종속변수로 활용하였고, 공공도서관 해당지역의 거시 및 미시환경 데이터를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 예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환경 요인으로 대도시 여부, 교육정도, 청소년 인구 속성이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보였다. 아울러, 미시환경 요인으로 이용자수, 사서수, 장서수의 속성이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보였다.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취약계층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Us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Vulnerable Classes in Public Libraries)

  • 박혜리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년도 제2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64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취약계층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지역의 공공도서관 382곳이며, 자료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을 통해 2016년도 통계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지식정보취약계층 서비스 이용은 총 15개의 변수 중 9개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지식취약계층관련 예산, 사서 수, 문화프로그램 실시횟수, 자원봉사자 수, 자료구입비 예산, 노인 및 장애인 열람석 수의 총 6개 변수가 종속변수인 지식정보취약계층서비스 이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의 전체적인 설명력은 43.2%이며, 자료구입비 예산은 유일하게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제외한 5개의 변수는 종속변수와 정(+)의 관계가 있고, 특히, 지식취약계층관련 예산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공공도서관에서 지식정보취약계층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수립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해외 지식정보자원의 수집 예산 규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dget for Foreign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in Korean Academic and Research Libraries)

  • 곽동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1-174
    • /
    • 2006
  • 우리나라가 학술연구도서관을 국제경쟁력을 갖춘 세계 수준의 도서관으로 육성하고자 한다면, 선진제국이나 경쟁국들에 비해 열악한 국가 지식정보자원의 총량을 제고하고, 그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노력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노력 가운데 국가차원의 해외 지식정보자원의 수집 및 유통 체계의 확립이 선결사항이라고 여기면서, 이를 위해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국내 학술연구도서관이 해외 지시정보자원의 수집을 위해 지출하는 연간 예산 규모를 산정하고자 시도하였다. 우선, 국외도서 및 해외학술지 등 인쇄물 중심의 해외 지식정보자원 총 수집 예산, 해외 전자저널의 총 구독 예산, 해외 웹 DB의 총 구독 예산은 대학도서관과 전문도서관으로 구분하여 추산하였고, 그리고, 해외 문헌복사서비스의 총 이용 예산은 도서관의 관종을 구분하지 않고 추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