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 개방 환경

Search Result 17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alysis of Radio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ver 1 to 6 GHz for the Ground Material and Antenna Height in Roadway Open Environment (도로 개방 환경에서 바닥면 재질과 안테나 높이에 따른 1~6 GHz 전파 감쇄 특성 분석)

  • Choi, Jae-Won;Kim, Dong-Woo;Oh, Soon-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3
    • /
    • pp.397-404
    • /
    • 2020
  • In this paper, the propagating-wav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at 1, 3, and 6 GHz in the open environment roadway where the ground-reflected wave dominates are analyzed through a propagation model simulation using a ray-tracing method and propagation measurements. Simulations has been performed by varying the ground material, the transmitting antenna height, and the receiving antenna height. Th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using a directional transmission antenna installed at 10 m mast and a omnidirectional receiving antenna installed at 1.5 m mast in an open environment. Comparison of simulation and measurement results confirms that the null points having the weak signal strength depend on those parameters. Although this research has been investigated for the wide road, the derived result could be useful for installing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in the roadway open environment.

플로팅 건축물 창호의 개방감 평가를 위한 사례 연구

  • Kim, Ik-Hyeon;Do, G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283-284
    • /
    • 2013
  • 플로팅 건축물은 일반 건축물과 달리 광활한 수상에 위치하며 따라서 개구부를 통해 보이는 조망에 의해 재실자의 거주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바다라는 특수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육상에 비해 외부 기후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특히 창호 등의 외장재는 비교적 높은 열관류율과 낮은 강도로 인해 무분별한 확장을 실행할 경우 실내 냉 난방에너지 소비가 증대와 태풍 및 월파 등으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플로팅 건축물에서 대부분의 재실자가 충분한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창호 크기의 범위를 알아내기 위해서 일반 건축물의 조망 및 실내 개방감 평가에 관련된 국내외 연구의 사례를 조사하고 플로팅 건축물에서의 적용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인체의 시야각을 이용해 내부 공간에서의 개방감을 측정하는 방법과 실물 축소모형을 이용해 개방감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A Design of Information Service for Opening Public Data in Road Construction Project (도로건설사업의 공공데이터 개방을 위한 정보서비스 설계)

  • Kim, Seong-Jin;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758-759
    • /
    • 2019
  •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빅데이터, AI 기술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 분석, 가공, 활용에 관심이 높아졌다. 정부도 공공부문 정보시스템의 보유데이터를 개방하여 산업 전반에 데이터 연계·활용을제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건설사업의 업무처리를 지원하는 건설사업정보시스템(CALS)에 보유중인 건설데이터를 개방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건설데이터 중 개방 가능한 데이터를 선정하고 키워드를 통한 데이터 및 파일의 정보검색 환경과 데이터 공개서비스 구축방법을 제시하였다.

Impacts on the four major tributary rivers in Seoul due to Singok submerged weir removal and the opening of the weir (신곡수중보 해체·개방이 서울시 주요 지류하천에 미치는 수리영향과 물환경 이슈 분석)

  • Kim, Sung Eun;Shin, Sang-Young;Kang, Won-Sam;Baek, Jo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0-470
    • /
    • 2022
  • 서울시 한강본류(이하 한강)의 4대 지류하천인 안양천, 중랑천, 탄천, 홍제천은 한강과 도심을 연결하는 도심 자연생태계의 중심공간이자, 서울시민의 대표적인 친수환경 공간으로서 그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강의 수위변화는 서울시 주요 지류하천의 수리, 수질, 생태, 친수 등 물환경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기후변화와 관리정책의 변화로 인해 한강의 수위변화 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하천의 환경 및 생태적인 기능이 부각됨에 따라 한강의 물길회복을 통한 자연성 회복을 위해 한강하류에 설치된 횡단구조물인 신곡수중보의 해체, 또는 개방이 주요하게 논의 되어오고 있다. 이에 따라, 신곡수중보의 해체 및 개방이 한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였지만, 지류하천의 물환경 변화에 대한 영향검토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곡수중보 개방 및 해체에 따른 한강 본류와 서울시 주요 지류하천의 수위변화를 예측하고, 주요 지류하천에서 발생가능한 물환경 이슈를 분석하였다. 신곡수중보의 개방 또는 해체는 한강의 수위변화에 대한 조석의 영향을 증가시켜 한강의 수위저하와 수위변동성도 크게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지류하천 중 하류부에 낙차공과 같은 수위유지 기능이 있는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은 안양천과 중랑천의 하류부에서 흐름단면 최대 70%이상 감소, 유속 2배이상 증가 등 큰 수리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 인해 안양천과 중랑천에서는 유속 증가에 따른 하상변화와 대규모 노출지 발생, 생태계 훼손 문제, 수위저하에 따른 수심유지 문제, 수체감소에 따른 오염도 증가와 악취문제, 하천경관 및 하천이용 문제 등의 물환경 이슈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특히, 1970년 이전 중랑천 한강 합류지점에 위치했던 저자도의 복구/복원이 향후 주요한 이슈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국내외 자본시장 통합도 분석

  • Kim, Jun-I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2 no.1_2
    • /
    • pp.363-417
    • /
    • 2000
  • 우리 경제는 외환위기를 계기로 단기금융시장을 포함한 국내 자본시장이 전면 개방된 동시에 외환거래 역시 대폭 자유화됨에 따라 실물부문은 물론 금융부문에 있어서도 완전한 개방경제체제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전면적인 자본시장 개방은 국내외 자본시장의 통합을 촉진하는 동시에 환율, 금리, 물가 등 거시 금융변수간의 상충관계(trade-off)에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거시경제정책 환경도 크게 변호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금리 및 주가간의 동조화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자본시장 개방에 따른 국내외 자본시장 통합 효과를 살펴본 후, 자본시장 개방이 환율변동패턴의 통계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외환위기를 계기로 국내 자본시장이 제도적으로 완전 개방된 점을 고려하여 위기 이전과 이후에 자본시장 통합도와 환율 변동패턴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금리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외환위기 이후 금리재정거래(金利裁定去來)(interest parity)가 국내금리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주가에 대한 실증분석의 경우에도 미국과 국내주가 간의 동조화 현상이 외환위기 이후 심화되고 있으며, 국내 주식시장이 효율적 시장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환율의 경우에도 외환위기 이후 환율변동패턴에 임의보행(random walk)적 특성이 보다 강화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외환시장의 효율성이 제고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Voice Contents Providing System in Telematics Environment (텔레매틱스 환경에서 음성 컨텐츠 제공 시스템)

  • Kim, Chul-Su;Kim, Jong-Ik;Yoon, Dae-Sub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553-556
    • /
    • 2006
  • 텔레매틱스는 통신장치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경로안내 서비스, 주변정보안내, 이메일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차량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합기술이다. 운전자가 차량 운행 중에 작은 장치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읽는 것은 무척 위험하다. 그래서 우리는 운전자의 손은 운전대에 그리고 눈은 도로 및 주변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개방형 텔레매틱스 환경에서 음성기반의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시스템 구조를 이용하여 개방형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위한 텔레매틱스 게이트웨이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텔레매틱스용 음성기반 이메일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 PDF

Design of Recommendation Service in Open Context-aware Service Architecture (개방형 상황 인식 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추천 서비스의 설계)

  • Kim Dong-Jin;Kwon Joo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c
    • /
    • pp.19-2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개방형 아키텍처 하에서의 상황 인식 추천 서비스를 설계한다. 상황 인식 서비스에서는 다양한 기기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개방형 아키텍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질적인 장치에서 공통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OSGi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였고,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관심도를 측정하여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유비쿼터스의 이질적인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적절한 정보를 적시적지에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한미 FTA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7월2차 협상 결과 및 9월 3차 협상 전망

  • Korea Feed Ingredients Association
    • Feed Journal
    • /
    • v.4 no.8 s.36
    • /
    • pp.58-61
    • /
    • 2006
  •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2차 협상이 이번 FTA를 반대하는 단체들의 대규모 시위와 의약품 분야의 협상 중단 사태 등 파행을 겪으며 14일 종료됐다. 지난 10일부터 5일간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이번 협상에서 양국 협상단은 18개 분과 및 작업반 회의를 열고 관세인하 폭과 이행기간이 포함된 상품 양허안 교환에 합의했다. 또 개방제외 분야가 나열된 서비스ㆍ투자 유보안과 정부조달 분야 개방안(양허안)도 상호 교환함으로써 3차 협상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아울러 금융개방 논의도 일부 합의점을 찾았다. 하지만 농산물, 의약품, 자동차, 개성공단 생산제품 원산지 등 핵심 쟁점에 대해서는 양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섰다. 특히 미국측은 의약품 협상중단과 관련해 협상 나흘째인 13일부터 무역구제와 서비스 분과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으며 우리 측도 이에 맞서 이날 개최키로했던 상품과 환경분과 회의를 전면 취소하는 등 갈등을 겪었다. 기본적인 틀을 짜는데 실패한 농업과 섬유는 물론 의약품과 자동차, 쌀개방, 개성공단 문제에 있어서는 양측 모두 입장차를 좁히지 못해 향후 협상 전망을 어둡게 했다.

  • PDF

The change of maximum surge height according to coastal geometry and typhoon characters (연안지형과 태풍의 특성에 따른 최대폭풍해일고 변화)

  • Sangyoung Son;Xiaojuan Qi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4-12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태풍의 이동속도(TS), 상륙각도(LA) 및 연안 지형이 최대 해일고(MSH)에 미치는 복합적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이상적인 시나리오와 실제 규모의 사상에 대한 수치모의를 수행였으며. 이를 통해 태풍 진행시 연안을 따라 분포하는 최대 해일고의 일반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Delft3D-FM의 2차원 모델을 사용하여 수치모의를 진행하였으며, 모델 도메인은 태풍의 상륙 지점을 연안 중심에 위치시켜고 16km에서 1km까지 다중 해상도 격자로 구성하였다. 가상의 태풍은 다양한 TS와 LA 조건에 따라 생성되었고, TS는 기존의 태풍 사상들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유의한 범위에서 변화하도록 설정하는 반면, LA의 경우 0도에서 180도까지 15도 간격으로 변화시켰다. 또한, 연안형상과 해저 지형도 다양한 형태를 고려하였는데 해저 지형의 경우일정수심 혹은 여러 가지 대륙붕 폭을 지닌 지형, 다중 경사 지형 등이 고려되었다. 연안형상의 경우 형태 비율로 특징 지어지는 개방 연안과 만이 고려되었다. 총 763개의 이상적인 시나리오가 모의되었으며 그 결과 연안을 따라 MSH 분포를 분석하였다. 이상적인 시나리오에서 개발된 효과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TS와 LA 조건에서 역사적인 태풍 매미를 기반으로 현실적인 규모의 시나리오 모의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빠르게 이동하는 TS가 개방 연안을 따라 분포하는MSH를 증폭시킨다는 사실을 재확인하는 등, 연안지형, 태풍의 특성에 따른 최대 푹풍해이고 변화에 대한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Connectivity Analysis of the Tourism Resources in Jeju-do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자원의 연결성 분석)

  • Kim, Won-Ji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1
    • /
    • pp.79-81
    • /
    • 2007
  • 제주특별자치도는 총면적 1,845km2로서 국토전체의 2%에 불과하나 고유한 전통문화와 이국적이며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최근에는 각종 국제행사를 유치함으로써 국내관광객 뿐만 아니라 외래 관광객도 흡입하는 국제적인 관광지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는 개방형 용암동굴과 관광자원과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네트워크 구조분석을 통하여 접근성과 연결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로망에 따른 관광객의 이동성에 대한 관광개발계획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