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구 공유

Search Result 54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Information Sharing and Protection of Rights in SNS (SNS에서 정보의 공유와 권리보호)

  • Yoo, Su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2.08a
    • /
    • pp.25-28
    • /
    • 2012
  • 최근 스마트폰 열풍과 함께 트위터, 페이스북 등으로 대표되는 SNS의 이용이 크게 확대되었다. SNS가 개인간 네트워크 유지 및 확대를 위한 소통의 도구로 자리매김함에 따라 기업들도 고객과의 관계 강화를 위한 마케팅 도구로 SNS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 프로필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의 공개 및 공유가 특징인 SNS는 개인정보 노출이나 퍼블리시티권 침해, 저작권 침해 등 여러 가지 사회적 이슈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SNS 이용자들은 정보의 공유에 대한 범위 설정 등을 통해 자신의 권리는 물론, 타인의 권리도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SNS 상에서 발생하는 권리침해 문제들을 개괄하고, 주요 SNS의 이용약관을 살펴봄으로써 SNS 이용자의 정보공유 및 권리보호를 위한 권한과 책무를 파악하고자 한다.

  • PDF

Sharing Display Based on VNC (VNC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공유)

  • Lee, Tae-Ho;Lee, Ki-Hoon;Ahn, Geon-Tae;Lee, M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d
    • /
    • pp.241-244
    • /
    • 2008
  •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전에 따라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하는 범위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대형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하는 범위의 확장에 따라 여러 사람이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효율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NC(Virtual Network Computing)는 GUI를 통한 원격 제어 도구로써 다른 지역에 위치한 컴퓨터로 데스크탑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VNC는 하나의 세션에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데스크탑 화면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VNC를 활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공유에 대하여 기술한다. VNC 서버를 이용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면을 전송하며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JavaViewer를 통하여 전송받은 데스크탑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공유 관리 도구를 통하여 동시에 여러 사람이 데스크탑 화면을 전송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PDF

Storing and Sharing UML Modeling Information Using XML (XML을 이용한 UML 모델 정보의 저장 및 공유)

  • 최종완;최은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504-506
    • /
    • 1999
  •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개발자 상호간의 의견 교환과 정보 공유는 실제로 프로젝트를 정확히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요구 사항이다. 이러한 상호 정보 교환은 시스템의 정보, 기능, 행위 등을 쉽게 해주는 모델링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최근 모델링 작업을 쉽게 해주는 CASE 도구들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CASE 도구들은 모델링 정보에 대한 서로 다른 포맷을 사용하고 있고, 플랫폼 종속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분산 환경에서의 정보 교환 및 공유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다양한 형태의 정보의 표현이 가능하며 정보교환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표준 객체지향 분석/설계 방법론인 UML 모델을 저장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메타언어로서의 XML은 웹 환경의 전송 매체 기능을 가지고 있어 분산 환경에서의 정보 공유를 통한 팀 개발과 재사용이 가능하다.

  • PDF

Sharing Eye Gaze in Mixed Reality Remote Collaboration System (원격협업 시스템에서 협력자 눈 시점 공유)

  • Jeong, Jaejoon;Kim, Seungwon
    • Smart Media Journal
    • /
    • v.11 no.6
    • /
    • pp.30-36
    • /
    • 2022
  • This paper explored the effect of using eye gaze pointer in addition to the hand gesture visual communication cue in remote collaboration. We recruited 24 participants and conducted a user study comparing two conditions: (1) only hand gesture visual communication cue, and (2) eye gaze pointer with hand gesture visual cu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ded eye gaze pointer cue reduced the workload and increased the co-presence when using it together with hand gesture cue.

Differences in Presence, Immersion, and Situation Interest in Small Group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the Degree of Tool Sharing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도구 공유 정도에 따른 현존감, 몰입, 상황흥미의 차이)

  • Taehee Noh;Jaewon Lee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8 no.2
    • /
    • pp.93-106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presence, immersion, and situational interest in small group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the degree of tool sharing. 84 eighth-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small groups of four. Each group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environments based on marker and device sharing: the shared environment (shared marker and device usage), the mixed environment (shared marker and individual device usage), and the individual environment (individual marker and device usage). Small group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was conducted for three class period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atter" unit. One-way ANOVA results for the dependent variables revealed that, compared to the shared environment, presence and situational inter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xed environment, while immersion and situational inter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dividual environment. MANOVA results for the sub-components of each dependent variab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lness for presence, antecedents and experiences for immersion, and instant enjoyment, novelty, and total interest for situational interest. Analysis of interviews and classroom observations indicated that students in shared and individual environments tended to use their devices individually when utilizing augmented reality. However, in mixed environments,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use their devices collaboratively, leading to more active interac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environments for using tool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are discussed.

시스템 통합 환경을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 도구의 설계

  • 정인기;백두권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4.09a
    • /
    • pp.213-234
    • /
    • 1994
  • 고도 정보화 사회로 발전해 감에 따라 사회 전반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을 컴퓨터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통신의 발달은 서로 떨어져 있는 정보 시스템끼리의 정보 교환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 통합 환경으로 선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통합 환경에서 공유 데이타 저장소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데이타 모델인 ESR 데이타 모델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데이타 모델링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또한 공유데이타 저장소를 기반으로 하여 ESR 데이타 모델링을 통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수 있는 지원도구를 설계하였다.

  • PDF

A Collaborative System Supporting the Synchronous Web Browser Sharing (동기적 웹 브라우저 공유를 지원하는 협동작업 시스템)

  • Kim, Mun-Seok;Seong, Mi-Ye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3
    • /
    • pp.283-287
    • /
    • 2001
  • 컴퓨터를 이용한 협동작업은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작업자들이 동기적 EH는 비동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최근의 협동작업 분야의 급속한 발전은 이제 더 이상 웹 상에서의 협동작업 도구를 메일, 채팅, 화이트보드, 화상회의 등에 한정하지 않고 웹 응용 프로그램들을 협동작업 도구에 포함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여러 작업자들이 상용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문서와 웹 데이터베이스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협동작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시스템은 주소 동기화(URL Synchronization), 스크롤 동기화(Scroll Synchronization) 및 윈도우 크기 동기화(Window Size Synchronization)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터미널에서 웹 브라우저를 동기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주소 동기화는 인터넷 브라우징의 이동과 방향을 동기적으로 제어해주고, 폼 동기화는 웹 페이지 입력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스크롤 동기화는 웹 페이지의 스크롤을 동기적으로 제어하여 웹 브라우저의 출력 내용이 길어질 경우에도 문서 안의 같은 부분을 공유 할 수 있게 하며 윈도우 크기 동기화는 윈도우의 길이와 넓이를 맞춰준다.

  • PDF

An Inference Verification Tool based on a Context Information Ontology (상황 정보 온톨로지 기반 추론 검증 도구)

  • Kim, Mok-Ryun;Park, Young-Ho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6 no.6
    • /
    • pp.488-501
    • /
    • 2009
  • In ubiquitous environments, invisible devices and software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to provide convenient services to users. In order to provide such services, we must have mobile devices that connect users and services. But such services are usually limited to those served on a single mobile device. To resolve the resource limitation problem of mobile devices, a nearby resource sharing research has been studied. Also, not only the nearby resource share but also a resource recommendation through context-based resource reasoning has been studied such as an UMO Project. The UMO Project share and manage the various context information for the personalization resource recommendation and reason based on current context information. Also, should verify resource inference rules for reliable the resource recommendation. But, to create various context information requires huge cost and time in actuality. Thus, we propose a inference verification tool called USim to resolve problem. The proposed inference verification tool provides convenient graphic user interfaces and it easily creates context information. The USim exactly verifies new inference rules through dynamic changes of context information.

e-Navigation 경로 계획 공유 IT서비스의 유용성 평가

  • Sin, Il-Sik;Yu, Y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37
    • /
    • 2016
  • 최근 IMO에서는 e-Navigation IT서비스를 사용자 입장에서 평가하도록 인간중심설계(HCD, Human Centered Design) 활동에 기반을 둔 유용성 평가에 대하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만약 IT서비스를 유용성 평가 기법으로 수행한다면 문제점, 오류, 개선사항, 사용자 요구사항 등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IT서비스에 대한 유용성 평가의 관련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유는 최근 국제표준 제정을 준비하고 있고 평가를 위한 도구 및 평가 척도, 방법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로 계획 공유(Route Plan Exchange) e-Navigation IT서비스에 대하여 유용성 평가 과정을 수행하였다. 유용성 평가를 위해 평가도구, 평가 시나리오, 평가 척도,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 항해사 대상으로 유효성(Effectiveness), 효율성(Efficiency), 만족성(Satisfaction)을 평가하였다.

  • PDF

UDXF Design Information Manager for Collaboration Based on Web (웹 기반의 공동 작업을 위한 UDXF 설계 정보 관리자)

  • Choi, Dong-Oun;Kim, Soo-Yong;Kim, Jin-Sung;Song, Ha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277-1280
    • /
    • 2000
  • 본 연구팀에 개발한 UML 그래픽 편집 도구를 이용하여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정보는 모델 관련 정보와 뷰에 관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된다. 이들을 Web 통해서 UML 설계 정보의 관리와 공유하기 위해서 UML 설계 정보를 미리 정의한 XML DTD를 이용하여 XML 파일로 변환한 후에 이를 개발자와 개발 도구들간에 교환하여 공유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의한 UDXF DTD를 이용하여서 UML 설계 정보를 XML 파일 형태로 변환한 후에 UML 설계 정보를 웹 기반의 분산 환경에서 공유하기 위한 설계정보 저장소에 관한 연구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