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구 공유

Search Result 54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무선공유기에 대한 보안공격의 탐지 및 대응

  • Jeong, U-Hyeok;Lee, Seung-Hy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3
    • /
    • pp.87-93
    • /
    • 2016
  • 무선공유기에 대한 공격은 오픈 소스(Open Source) 소프트웨어 도구(Software Tool)가 널리 공개되어 실행하기 수월해진 반면, 이러한 보안 위협에 대한 탐지 및 대응 기술은 알려진 바가 적다. 본고에서는 무선공유기에 대한 보안 공격의 유형과 그에 대한 무선네트워크의 취약성을 알아봄으로써 무선 침입 탐지시스템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소규모 네트워크에는 적합하지 않은 상용 무선침입방지시스템의 대안으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도구를 제시하였다. 모의 침투를 통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도구의 성능을 분석하고 상용도구와 비교함으로써 추후의 개발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Roles of Realtime Multimedia Messenger in KMS (지식관리시스템(KMS)에서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메신저의 역할)

  • 고대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1.05a
    • /
    • pp.31-36
    • /
    • 2001
  • KMS에서 지식전달 및 지식공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필수적인 요소지만 현재 국내 KMS에서 채택하고 있는 비실시간, 혹은 문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는 지식전달 및 공유를 위한 조직원간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KMS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인스턴트 메신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KMS용 실시간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화상/음성통신, 문자/그래픽통신, 화이트보드통신, 화면공유, 그리고 에스코티드 브라우징과 같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조직원간의 지식공유/전달, 공동작업, 그리고 사용자 편리성 및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MS에서 지식전달 및 지식공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필수적인 요소지만 현재 국내 KMS에서 채택하고 있는 비실시간, 혹은 문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는 지식전달 및 공유를 위한 조직원간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KMS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인스턴트 메신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KMS용 실시간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화상/음성통신, 문자/그래픽통신, 화이트보드통신, 화면공유, 그리고 에스코티드 브라우징과 같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조직원간의 지식공유/전달, 공동작업, 그리고 사용자 편리성 및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design of representation tool for constructing shared knowledge in CSCL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에서 공유지식 형성을 위한 표상도구설계)

  • Shin, Yoonhee;Kim, Dongsi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9 no.2
    • /
    • pp.73-85
    • /
    • 2016
  • When using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CSCL) tool where learners with different perspective are discussing in the same place, it is difficult to catch connection between specific position of learning content and written message by learners, share each other knowledge and opin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enomena responsible for causing "Un-shared knowledge" by literature research and designed collaborative representation tool based on described principle. A version of the Mediated annotation tool was developed for each problem identified and was subsequently tested by software evaluation standard and F.G.I. Final mediated tool will contribute to overcome knowledge sharing barriers,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and describe high quality solution.

Design of DokuWiki Based E-Mail sharing System for Mobile Office Working Environment (이동 사무 환경을 위한 DOKUWIKI 기반 E-Mail 공유 시스템 설계)

  • Park, Yuri;Cho, Dongsu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166-168
    • /
    • 2010
  • 협업 환경의 비즈니스 모델은 Web 2.0 과 같은 협업도구의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효율성 측면에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웹 2.0 기반의 Wiki 시스템은 협업 도구의 대표적인 시스템이다. 협업작업자는 협업 도구로 메신저, 메일, 게시판 등을 사용한다. 하지만 메일은 그룹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자료와 정보를 공유하는 비동기적 협업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협업시스템에서 가장 대표적인 통신수단은 전자우편 또는 메신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DokuWiki 는 협업 시스템으로 적합하지만 통신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협업작업을 위하여 개인 또는 그룹에 전송된 전자메일을 모두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자우편 공유 시스템을 제안한다.

Development of Terminology Construction Tool for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haring (재난안전정보 공유를 위한 용어사전 구축도구 개발)

  • Kim, Tae-Young;Yang, Joogsik;Oh, Hyo J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546-549
    • /
    • 2018
  • 다양한 재난안전 유관기관으로부터 생산 및 관리되는 재난안전정보는 공유를 통해 재난관리업무를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재난안전정보 공유를 위해서는 우선 재난안전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표준화 및 체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다양한 분야에서 축척된 용어들을 모두 종합 검토하고 형상 관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축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정보 용어사전 구축도구를 통해 재난안전 분야의 용어를 입력하고 정제 및 검토하는 과정을 통하여 용어 표준화를 수행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 개발된 구축도구는 웹 기반 다중접속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었고, 하나의 표제어에 다양한 정의문이 할당되는 일대다 관계로 용어사전을 관리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혼재되어 있는 정의문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는 개발된 구축도구를 활용하여 재난안전정보 용어사전을 구축 중에 있으며, 차후 구축된 용어사전을 재난안전 분야 실무자 및 일반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용도구 구축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 PDF

Comparison of Discourse by Environments for Using Tools in Small Group Learning with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도구 사용 환경에 따른 담화 비교)

  • Seokjin Shin;Haerheen Kim;Taehee Noh;Nayoon S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3 no.2
    • /
    • pp.181-190
    • /
    • 2023
  • In this study, we compared discourse by environments for using tools in terms of participation types, discourse types, and knowledge building processes. 24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They were assigned to the sharing tools environment, which used one marker and one smart device, or the individual tools environment, which used markers and smart devices individually. Students participated in small group learning using AR appli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chemical bonding. All classes were video- and audio-tap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students who voluntarily agre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haring tools environment had a high proportion of one-student dominating type, while the individual tools environment had a high proportion of partly participating type and most students participating type. In the individual tools environment, the ratio of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construction discourse was similar compared to the tool sharing environment, and the sub-discourse types were also diverse. In the sharing tools environment, only some students had a meaningful knowledge build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in the individual tools environment, most of the group members constructed knowledge about the target concept, and had a meaningful knowledge building process. In addition, the misconceptions that appeared to some group members were corrected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s.

Design of a Scheduling Tool for the CoSlide Collaborative System (CoSlide 협업 시스템을 위한 일정관리 도구 설계)

  • Park, Jin-Ho;Shin, Won-Jun;Kim, Seong-Hune;Lee, M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d
    • /
    • pp.445-448
    • /
    • 2007
  • CoSlide 협업 시스템은 CoSlide 서버와 CoSpace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CoSlide 서버는 시스템 사용자들의 자원 공유를 지원하는 Jakarta Slide 웹데브 서버의 확장으로서 협업 구성원들 간의 자원 공유를 위한 그룹작업장을 지원하며, CoSpace 클라이언트는 CoSlide 서버의 개인작업장, 그룹작업장과 공개작업장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협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그룹작업장 지원과 메신저 기능이외에 일정관리를 위한 도구가 필요하다. 일정관리를 위한 도구는 사용자들 간의 다양한 일정 공유와 동기화가 가능한 CalDAV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개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Slide 협업시스템을 위한 일정관리 도구의 설계에 대하여 기술한다. 설계된 일정관리 도구는 CalDAV 프로토콜에 기반을 두고 CoSlide 협업시스템의 그룹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CalDAV 프로토콜에 반영하여 CalDAV 클라이언트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GLOVE: Distributed Shared Memory Based Parallel Visualization Tool for Massive Scientific Dataset (GLOVE: 대용량 과학 데이터를 위한 분산공유메모리 기반 병렬 가시화 도구)

  • Lee, Joong-Youn;Kim, Min Ah;Lee, Sehoon;Hur, Young Ju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5 no.6
    • /
    • pp.273-282
    • /
    • 2016
  • Visualization tool can be divided by three components - data I/O, visual transformation and interactive rendering. In this paper, we present requirements of three major components on visualization tools for massive scientific dataset and propose strategies to develop the tool which satisfies those requirements. In particular, we present how to utilize open source softwares to efficiently realize our goal. Furthermore, we also study the way to combine several open source softwares which are separately made to produce a single visualization software and optimize it for realtime visualization of massiv espatio-temporal scientific dataset. Finally, we propose a distributed shared memory based scientific visualization tool which is called "GLOVE". We present a performance comparison among GLOVE and well known open source visualization tools such as ParaView and VisIt.

CoDisplay : A Conference Tool Based on VNC for Utilizing Wide Display Devices (CoDisplay :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하기 위한 VNC 기반회의도구)

  • Lee, Tae-Ho;Park, Ji-Hye;Lee, Ki-Hoon;Lee, Myung-J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8
    • /
    • pp.1666-1672
    • /
    • 2009
  • Since wide display devices have recently become popular for communication activity, it is desirabl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to share those displays in an efficient way.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is a desktop sharing software, which transmits the desktop screen and the related events to other computers on different places. So, through VNC, it is possible for more than two users to share the same desktop screen at the same time. But it is very cumbersome to share wide display devices through the functions currently supported by VNC.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velopment of CoDisplay which is a VNC-based conference tool for efficient sharing of a wide display device. Conference participants connect to the wide display device through the associated network address, and transmit their desktop screen to the device. The control functions for the participants support the division of the display screen for multiple desktop screens and the switchover of desktop screens.

Design of Software Testing Automation Framework sharing Test Information based on XML (XML기반 테스트 정보를 공유하는 소프트웨어 테스팅 자동화 프레임워크의 설계)

  • Chung Chang-Shin;Lee Kye-Im;Kim Jong-Hee;Jung Soon-Key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3 s.35
    • /
    • pp.89-99
    • /
    • 2005
  • The testing time and cost of developed software can be reduced by automation of the whole or part of testing process. Since the testing automation tools to be used currently have been developed without their interoperability, test case information such as test procedures, test data, and expectation of test results generated at the stage of test execution cannot be shared and reused in other testing automation tools, In order to reduce testing time and cost, in this thesis, we have proposed a software testing automation framework which makes it possible to share and reuse the test case information generated in testing process. To prove the availability and effectiveness of proposed testing automation framework, three testing automation tools that are available in current market were experimented by the test scenario. As a result of experiment, the testing time and cost could be reduced by sharing and reusing the test case information in software testing automation framewo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