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데이터 흐름도

검색결과 1,339건 처리시간 0.028초

기수역에서의 흐름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GPS 전자부자의 적용 가능성 분석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the GPS electronic floater to identify the flow in the estuary)

  • 이정민;이창현;김영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51-5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기수역에서의 GPS 전자부자를 활용한 계측 데이터와 염분측정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GPS 전자부자의 거동 특성이 담수의 실제 거동특성과 같이 일치하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GPS 전자부자에 대한 활용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기수역에서의 담수와 해수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장비를 소모하며 수리량과 염분도에 대한 측정을 통해 분석을 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수리량 측정장비인 ADCP 또는 ADV는 각종 측정 한계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수역에서의 수체 구간별 흐름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GPS 전자부자를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GPS 전자부자의 데이터와 수직방향으로 측정한 염분도 데이터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수영강 좌수영교 상류 1km지점에서 주입하였으며 간조 시와 만조 시에 유하시켜 수영강에 위치한 좌수영교와 수영교에서 각각 좌측, 중간, 우측에서 수심방향으로 측정한 염분도를 상층 중층 하층으로 평균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GPS 전자부자는 표면부자이기 때문에 만조 시 하류방향으로 더 뻗어 나가는것으로 확인하였고, 간조 시에는 흐름이 더디거나 정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계측 결과는 담수의 흐름 특성과 일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GPS Floater를 활용한다면 굳이 각종 수질을 측정하지 않아도 흐름 상황으로 간조인지 만조인지에 대한 상황과 염분 분포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이러한 GPS 전자부자의 위치데이터와 시간을 잘 이용한다면 ADCP의 유속 측정에 대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Lagrangian 타입의 유속을 측정 할 수 있다. 이러한 GPS 전자부자를 하천에서 선주입으로 활용한다면 각 구간별로 수체에 대한 흐름과 유속들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GPS 전자부자를 좀더 활용하여 IoT 기반 수질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가 GPS Floater에 결합이 된다면, 흘러가면서 각종 데이터 정보취득을 통해 수체내 흐름을 분석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환경 유출오염사고들에 대한 초기대응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데이터 토큰에 기반한 정보 흐름 그래프 (The Information Flow Graph based on The Data Tokens)

  • 박병기;최완규;이성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389-1392
    • /
    • 2000
  • 본 논문은 프로시저 내에서 데이터 토큰들간의 정보흐름을 모델링 하기 위해서 정보 흐름 그래프(IFG : Information Flow Graph)라고 하는 프로그램 표현 도구를 개발하였다. IFG는 기존 제어 흐름 그래프와는 달리 프로그램 내에서 관심 있는 변수 값의 변화 과정을 쉽게 탐색할 수 있고, 정보 흐름의 미세 변화를 잘 표현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 PDF

정지궤도 위성의 원격측정 데이터 흐름 분석 사례 연구

  • 조창권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200.2-200.2
    • /
    • 2012
  • 위성은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수많은 주변장치와 탑재체로부터 데이터를 받는다. 이렇게 획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성의 자세도 제어하고 전력도 관리하며 탑재체 목적에 따라 기상도 관측하고 해양도 관측하는 임무들을 수행한다. 또한 위성을 개발하면서 수행되는 여러가지 테스트에도 데이터를 활용한다. 이런 일련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획득된 데이터는 위성내부의 관련 장치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지상국에서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원하는 모든 데이터를 지상으로 보내기에는 대역폭이나 저장공간에 제약사항이 있다. 이런 이유로 필요한 데이터를 일정 포맷에 맞도록 정의한 후 데이터를 내려보낸다. 이런 데이터는 지상에서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초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 위성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원격측정 데이터의 흐름을 이해하고자 한다.

  • PDF

DSSS 동기탐색을 위한 이중 데이터 흐름 경로를 갖는 정합필터 (A Matched Filter with Two Data Flow Paths for Searching Sychronization in DSSS)

  • 송명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A호
    • /
    • pp.99-10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DS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수신기에서 초기동기 탐색에 사용될 수 있는 정합필터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하드웨어기술언어 (HDL)로 표현될 수 있는 단일 데이터 흐름 경로를 갖는 정합필터가 설명되었다. 필터 연산의 처리시간을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의 흐름이 이중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식이 정리되고 이와 연관된 하드웨어 모델이 제시되었다. 제안된 모델은 고속 처리를 위해 병렬처리와 파이프라인을 기반으로 하고 일련의 메모리, 곱셈기, 누산기로 구성된 두 개의 데이터 흐름 경로가 평행하게 배열된 구조이다. 제안된 모델에 대해 성능을 분석하였고 단인 데이터 흐름 경로 구조의 정합필터와 비교하였다.

조건부 분기를 가진 데이터-흐름 그래프 스케쥴링 알고리즘 (A Scheduling Algorithm for Dataflow Graphs with Conditional Branches)

  • 김태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8권1_2호
    • /
    • pp.103-109
    • /
    • 2001
  • 이 논문에서는 중첩된 조건부 분기를 가진 데이터-흐름 그래프에 대한 효과적인 스케쥴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러한 그래프의 스케쥴링은 조건부 자원 공유 문제를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복잡하게 된다. 이 논문은 이를 적절히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핵심은 조건부 분기가 있는 데이터-흐름 그래프를 조건부 분기가 없는 동일한 기능의 그래프로 변형시키는데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변형된 그래프에 설계자의 관심에 맞는 기존의 스케쥴링 알고리즘을 선택 적용하여 스케쥴을 얻을 수 있고, 이것에서부터 원래 그래프의 스케쥴을 생성 할 수 있다. 실험 결과로부터 우리는 이러한 접근 방식이 매우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 PDF

흐름 제어용 그래픽 언어 통합 처리 (Unified Processing of Graphical Languages for Sequence Control)

  • 정구희;김태완;장천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763-766
    • /
    • 2003
  • 산업 분야에서 자동화 시스템은 제품의 자동설계, 생산 공정의 자동제어, 장애의 발견과 복구, 품질 검사 등 각종 생산과 관련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흐름 제어 언어에는 IL, ST, FBD, SFC, LD의 5종이 있다.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흐름 제어 언어의 종류는 2종 이하로 제한되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래픽 기반의 흐름 제어 언어인 FBD, LD, SFC의 3종을 통합하여 처리가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제시한다. 그래픽 기반의 흐름 제어 언어인 FBD, LD, SFC의 형식을 모두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고, 데이터 구조로부터 읽어 들인 데이터를 출력하는 그래픽 처리 방안을 제시한다. 소프트웨어에서 편집한 FBD LD, SFC는 파일 단위로 관리할 수 있고, 각 파일들은 프로젝트 파일로 통합하여 관리가 가능하다.

  • PDF

유선망에서의 TCP프로토콜 버전의 성능 비교 분석 (Performance Comparision and Anaalysis of TCP Protocol Versions in Wired Network)

  • 이행남;서경현;박승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1145-1148
    • /
    • 2003
  • 최근의 인터넷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보면 비대칭흐름의 경향이 있다. 비대칭흐름은 주로 하향링크의 데이터 흐름이 많은 것이 특징이며 하향링크에서 데이터흐름을 저해하는 요소인 응답(acknowledgement)을 줄여나가는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순방향에서의 TCP 패킷 처리율과 역방향에서의 ACK 패킷 처리율에 초점을 맞추어 수신된 패킷 순서번호를 TCP 버전별로 관찰해 보고, 실제로 처리된 패킷의 처리율로 비교 평가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로, 비대칭링크 유선망에서 Tahoe 버전이 Sack, NewReno보다 성능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공지능 가속기 데이터 흐름 다양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ataflow Diversity of Al accelerator)

  • 이동주;백윤흥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82-484
    • /
    • 2023
  • 인공지능 가속기는 인공 지능 및 기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의 연산을 더 빠르게 수행하도록 설계된 하드웨어 가속기이다. 인공지능 가속기 내에서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처리되기 위해서는 그 흐름을 제어해야 한다.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에 따라 가속기의 면적, 전력, 성능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그 다양한 데이터 흐름 제어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경로 압축을 이용한 DJ 그래프의 지연 감축 알고리즘 (Delayed Reduction Algorithms of DJ Graph using Path Compression)

  • 심손권;안희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9A권2호
    • /
    • pp.171-180
    • /
    • 2002
  • 효과적이고 정확한 데이터 흐름 문제 분석은 흐름그래프와 지배자 트리 그리고 DJ 그래프를 사용한다. 데이터 흐름 문제 해결은 흐름 그래프를 안전하게 지배자 트리로 감축하는 것이다. 흐름 그래프는 파스 트리를 대신하고, DJ 그래프는 감축 가능하거나 감축이 불가능한 흐름 그래프를 지배자 트리로 정확하게 감축하는데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Tarjan의 경로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하기 위하여 Top 노드 찾기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기존의 지연감축 알고리즘을 경로압축을 이용하여 개선한다. 경로압축을 이용한 지연감축 알고리즘은 DJ 그래프를 지연 감축하면서 노드를 끌어올려 지배자 트리의 경로를 압축시킨다. 실제로 제안된 알고리즘은 22% 정도 노드들을 끌어올렸고, 20% 정도 경로를 압축시켰다. 압축된 지배자 트리는 효과적인 데이터 흐름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코드 최적화 과정의 노드 끌어올리기 효과를 가져와 코드 최적화 과정의 복잡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식생에 의한 흐름 저항을 고려한 Delft3D 흐름 모의 보정 (Calibration of Delft3D Flow Simulation Considering Flow Resistance due to Vegetation)

  • 장은경;안명희;배인혁;지운;쯔엉 홍 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10-310
    • /
    • 2020
  • 자연하천에서 식생의 성장은 유속 및 수위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식생으로 인한 흐름저항은 흐름과 유사이송 모델링을 위한 중요 매개 변수가 된다. 즉, 수치 모델을 활용함에 있어 식생의 흐름 저항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보다 정확한 추정을 위해 실험 혹은 현장 데이터를 활용한 보정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 패치를 포함한 인공 수로의 흐름 모의를 위해 실규모 실험 수로에서 측정된 유속 및 수위 데이터를 활용하여 모델보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간 분포 별로 각기 다른 흐름 저항식의 적용이 가능하며, 식생 저항 공식을 포함하고 있는 Delft3D 모델을 활용하였다. 또한 실규모 수로에서의 유속 및 수위 데이터 수집을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연구센터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구간의 길이는 약 120 m이고 하폭은 11 m이며, 국내 하천에서 보이는 식생패치의 유사한 형태를 재현하기 위해 하천 내 가장 많이 활착되어있는 버드나무와 유사한 형태의 인공식생을 제작하였다. 인공 식생은 지그재그로 배치되었으며, 식생의 전체 높이는 1.1 m이고, 각 패치 당 23그루의 인공 식생이 총 8개 패치에 식재되었다. 모의 조건은 상류단 유입 유량 2.805 ㎥/s, 하류단수위 98.764 m의 정류 조건을 적용하였다. 또한 식생 패치 구간에서의 흐름 저항 추정을 위해 Delft3D 모델 내에서 선택가능 한 Baptist의 비침수(Non-submerged)식을 적용하였으며, 항력계수 결정을 위해 1과 1.5를 적용하여 측정 수위와 비교하였다. Delft3D의 흐름 모의 결과, 항력계수 1.5를 적용했을 때, 측정 수위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력계수 1.0을 적용했을 경우, 측정 수위에 비해 다소 낮게 모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력계수 1.5인 경우 식생 패치 구간에서 평균 0.65 m/s의 유속이 발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