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 표준화

Search Result 1,71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ctionary-based Column Name Standardization System (사전기반 항목명 표준화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Shin, Su-Mi;Moon, You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21-624
    • /
    • 2021
  • 최근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분석을 위해 필요한 데이셋의 표준화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데이터 표준화를 위해서는 업무 처리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의 명명 규칙을 규정하고 그 기준에 따라 표준 명칭을 부여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항목명 표준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공개된 표준단어사전을 활용하여 유의어를 포함한 참조 사전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준사전을 구축하여 표준 항목명을 제공한다. 기 구축된 데이터셋의 항목명을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새로운 항목명을 입력하면 항목명 표준화 시스템은 표준화된 한글 항목명과 영문 항목명, 그리고 테이블 설계에 사용하는 영문 약어명을 출력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테이블 설계에 활용하거나 기 구축된 데이터셋을 표준화하는데 적용하면 일관된 데이터 해석이나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Standadization of Imagery Data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지리정보 활용을 위한 영상데이터의 표준화)

  • Kim, Kye-Hyun;Kim, Heui-Du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8.07a
    • /
    • pp.173-180
    • /
    • 1998
  • GIS데이터와 함께 고해상도 원격영상데이터의 활용을 높이기 위한 영상데이터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가 추진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ISO/TC와 OGC 등을 비롯한 해외 영상데이터의 표준화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국내의 표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보편적이고 사용이 용이한 영상데이터의 표준안이 제시되도록 하였다.

  • PDF

Status and Prospec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for Big Data (국내외 빅데이터 표준화 현황 및 전망)

  • Ha, S.W.;Lee, K.C.;In, M.K.;Lee, S.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2
    • /
    • pp.32-39
    • /
    • 2015
  • 빅데이터는 기존의 전통적인 데이터 아키텍처에 비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자원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 패러다임은 빠른 정보처리를 요구하는 수직적 확장성을 고려한 시스템 요구사항부터 다양한 데이터 자원들을 연결해주는 수평적 확장성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빅데이터 시장 또한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국내외 표준화 전략 수립 및 표준 개발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고에서는 빅데이터 참조 아키텍처에 대한 개발사례와 함께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JTC 1(Joint Technical Committee 1),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s Standardization Sector) 등 국제 공적 표준화 기구 및 사실 표준화 기구들의 표준화 현황과 국내 표준화 활동 및 표준화 전략 개발 현황들을 요약 분석한다.

  • PDF

A Case Study on Standardization of Data Integration Management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국내외 데이터 통합관리 표준화 사례 연구)

  • KIM, Dong-Young;CHAE, Hyo-Sok;HWANG, Eui-Ho;LEE, J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1-631
    • /
    • 2015
  • 최근 데이터가 전략적 의사결정의 핵심요소로 대두됨에 따라 데이터 통합 및 데이터 품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데이터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데이터 표준화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데이터 활용에 있어 (1)데이터의 중복 및 불일치 발생, (2)데이터에 대한 의미 파악 지연으로 정보 제공의 적시성 결여, (3)데이터 통합의 어려움, (4)정보시스템 변경 및 유지 보수 곤란 등과 같은 현실적인 문제점들이 정확한 정보를 적시에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장애 요인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토관측센서 기반 수문 및 수재해 정보포털시스템 개발'에 앞서 보다 정확한 데이터 통합관리 및 제공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국내외 사례연구를 통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데이터 표준화는 시스템별로 산재해 있는 데이터 정보요소에 대한 명칭, 정의, 형식, 규칙에 대한 원칙을 수립하여 이를 전사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데이터 표준화 작업은 데이터의 정확한 의미 파악뿐만 아니라 데이터에 대한 상반된 시각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데이터 모델 및 데이터베이스에서 정의할 수 있는 모든 오브젝트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주로 관리해야 될 필요성이 있는 오브젝트만을 대상으로 데이터 표준화를 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데이터 통합관리 표준화 동향을 제시하였으며, 현업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표준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수요조사를 통하여 조사함으로써 데이터 표준 대상 후보를 식별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사용할 기반을 마련하였다. 데이터 표준화가 수행되면 현업 사용자는 정확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데이터 표준, 데이터 표준 준수 체크, 데이터 표준 조회 및 활용 등 데이터 표준 관리에서 수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배제하기 위해 자동화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by Data Standardization for Distributed Goods (유통 상품의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에 대한 연구)

  • Song, Jang-Seop;Rhew, Sung-Y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9
    • /
    • pp.101-109
    • /
    • 2013
  • Data quality management is extremely important. In this study, we proposed data standardization for effective quality management of enterprise-owned data about distributed goods and validated its effectiveness by case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data, we designed data category and data dictionary. Additionally, we categorized data and identified its attributes for data category design, and we developed design process for data dictionary and built the dictionary of word, term, domain and code for data dictionary design. And then we proposed output documents which have to be written for data standardization. Proposed data standardization approach is validated its efficiency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ment. and as a result the data quality of the data standardization improved 24% and the data quality of the consistency of the data dictionary improved 7%.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tool which support data standization of multi project (다중 프로젝트간의 데이터 표준화 지원을 위한 도구의 설계 및 구현)

  • 박준기;이병엽;양성모;김현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535-537
    • /
    • 1998
  •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표준을 지키는 것은 개발하는 동안에는 개발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해 주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 표준화 지원을 위하여 데이터를 승인된 약어의 조합으로서 구성하고, 코드, 규칙 및 메시지를 관리하여 소프트웨어 내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표준화 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환경에서 데이터 표준화 지원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데이터의 표현 구조를 정의하고, 각 데이터에 대한 등록 절차를 제시함으로써 표준화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방법론을 이용하여, 대우정보시스템에서 전사의 데이터 표준화 지원을 위하여 NICE-GEN 이라는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도구를 개발했고,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높은 개발생산성을 보여 주었다.

Managing Metadata of Big Data Sensing Objects (빅데이터 센싱 객체 메타데이터 관리)

  • Jeong, Dongwon;Lee, Seokhoon;Jung, Hyunjun;Jeon, Keun-Hwan;On, Byung-Won;Kim, Young-Ga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804-807
    • /
    • 2016
  • 빅데이터 분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표준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최근 ISO/IEC JTC 1 산하 표준화 위원회를 중심으로 빅데이터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기술 측면에서의 표준화는 미비한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 표준화 연구 내용을 간략하게 조망하고 빅데이터 센싱 객체 관리 측면에서의 표준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 논문은 향후 빅데이터 분야, 특히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 객체의 규범적인 관리를 위한 표준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차세대 그린 IDC 구축을 위한 국내.외 표준화 동향 및 전망

  • Lee, Jae-Bong;Lee, In-Su;Choe, Jeong-Yeo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6
    • /
    • pp.14-21
    • /
    • 2012
  • 지식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 이후로 IT 기술은 눈부실 정도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로 인해서 IT 분야의 전력 소비량도 급증하고 있으며, 전체 전력량의 약 2%를 차지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기 위해서 IT 분야 자체의 에너지 절감은 물론 IT 기술을 활용한 가정 및 산업 분야의 에너지를 절감하려는 노력이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IT 분야의 총아로 불리며 정보 제공 및 데이터웨어 하우스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센터와 관련하여 더욱 주목해야할 것은 데이터센터가 전기먹는 하마처럼 엄청난 양의 전력을 소비한다는 것이다. 데이터센터는 그 용량 뿐만 아니라 그 수도 급증하고 있어 에너지 절감은 데이터센터의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적이면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센터, 즉 그린 IDC(Internet Data Center) 분야의 표준화 동향 및 전망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먼저 1장에서는 그린 IDC 연구에 대한 필요성과 국내외 유관 표준화 기구의 현황을 소개한다. 2장에서는 그린 IDC의 정의와 그린 IDC관련 표준화 동향을 살펴본다. 특히 ISO, ITU-T를 비롯한 국제 표준화 기구의 동향과 산업체 표준을 살펴본다. 한다. 3장은 2장에서 살펴본 국제 표준화 기구 및 산업체 표준을 바탕으로 향후 그린 IDC 표준화 추진을 위한 국제 및 국내표준화 추진 방향을 전망해본다.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의 표준화 동향

  • Baek, Du-Gwon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9
    • /
    • pp.20-25
    • /
    • 2002
  • 정보공유를 위한 표준화된 데이터 관리 및 이들에 대한 관리 메카니즘를 지원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ISO/IEC JTC1 WG2 - 데이터 관리 및 교환(Data Management and Interchange)에서는 데이터 공유 및 교환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Metadata Registry : MdR)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 PDF

국제 개인정보보호 표준화 동향 분석 (2019년 4월 이스라엘 텔아비브 SC27 WG5 회의 결과를 중심으로)

  • Youm, Heung Youl
    • Review of KIISC
    • /
    • v.29 no.4
    • /
    • pp.35-42
    • /
    • 2019
  • 데이터 중심 사회가 되면서 데이터의 활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표준화가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개인정보보호 국제표준화를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표준화 그룹은 국제표준화위원회/전기위원회 합동위원회 1 서브위원회 작업반 5 (ISO/IEC JTC 1/SC 27/WG 5)이다. 본고에서는 이 그룹에서 추진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 관련 국제표준화 동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지난 4월 텔아비브 SC27 WG5 회의에서 논의된 개인정보보호 관련 주요 표준화 이슈와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