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 불균형 문제

Search Result 211, Processing Time 0.068 seconds

EUS SVMs: Ensemble of Under-Sampled SVMs for Data Imbalance Problems (데이터 불균형 해결을 위한 Under-Sampling 기반 앙상블 SVMs)

  • Gang Pil-Seong;Jo Se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91-298
    • /
    • 2006
  • 패턴인식 문제에서 한 범주에 속한 데이터의 수가 다른 범주에 속한 데이터의 수보다 극히 많거나 적으면 데이터 불균형이 발생했다고 한다. Support Vector Machine(SVM)은 다른 기계 학습 알고리즘들과 마찬가지로 학습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범주간 비율이 거의 비슷하다는 가정 하에서 학습을 하고 예측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 문제에서는 데이터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모델의 성능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데이터 불균형이 SVM의 분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2차원 인공 데이터를 통하여 알아본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Under-Sampling 기반 앙상블 SVM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두 가지 인공 데이터에 적용하여 본 결과, 제안된 방법은 데이터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방법들에 비하여 소수 범주에 속하는 데이터의 수가 매우 적고 데이터의 불균형이 매우 심한 경우에도 높은 성능과 안정성을 갖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 PDF

Attention-Based Ensemble for Mitigating Side Effects of Data Imbalance Method (데이터 불균형 기법의 부작용 완화를 위한 어텐션 기반 앙상블)

  • Yo-Han Park;Yong-Seok Choi;Wencke Liermann;Kong Joo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546-551
    • /
    • 2023
  • 일반적으로 딥러닝 모델은 모든 라벨에 데이터 수가 균형을 이룰 때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특정라벨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불균형 데이터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오버샘플링과 가중치 손실과 같은 데이터 불균형 기법이 연구되었지만 이러한 기법들은 데이터가 적은 라벨의 성능을 개선하는 동시에 데이터가 많은 라벨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완화시키고자 어텐션 기반의 앙상블 기법을 제안한다. 어텐션 기반의 앙상블은 데이터 불균형 기법을 적용한 모델과 적용하지 않은 모델의 출력 값을 가중 평균하여 최종 예측을 수행한다. 이때 가중치는 어텐션 메커니즘을 통해 동적으로 조절된다. 그로므로 어텐션 기반의 앙상블 모델은 입력 데이터 특성에 따라 가중치를 조절할 수가 있다. 실험은 에세이 자동 평가 데이터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로는 제안한 모델이 데이터 불균형 기법의 부작용을 완화하고 성능이 개선되었다.

  • PDF

SVM Ensemble Techniques for Class Imbalance Problem (데이터 불균형 문제에서의 SVM 앙상블 기법의 적용)

  • 강필성;이형주;조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706-708
    • /
    • 2004
  • 대부분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학습 데이터에서 각각의 범주간의 비율이 동일하거나 비슷하다는 가정 하에 문제를 풀게 된다. 그러나 실제 문제에서는 그 비율이 동일하지 않으며 매우 큰 차이를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분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데이터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SVM 앙상블 기법을 적용한 샘플링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 불균형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보였다.

  • PD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Based Data Augmentation to Address Medical Data Imbalances (의료 데이터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생성적 적대 신경망 기반 데이터 증강)

  • Choe, Jae-Hong;Lee, Seung-Lee;Seo, Young-Jae;Seo, Won-Jin;Hou, J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350-352
    • /
    • 2022
  • 발병률이 낮은 병은 데이터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의료계에서 겪는 원초적인 문제이다. 이런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자 Pix2Pix 로 생성적 적대 신경망 기반 의료 이미지 증강 기법을 설계하여 데이터 불균형 문제 해결 및 성능을 향상시켰다. 합성 데이터의 추가 및 기하학적 데이터 증강의 유무에 대한 4 가지 시나리오로 성능을 비교하여 제안된 기법이 가장 효과적임을 보인다.

Learning Behavior Analysis of Bayesian Algorithm Under Class Imbalance Problems (클래스 불균형 문제에서 베이지안 알고리즘의 학습 행위 분석)

  • Hwang, Doo-S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5 no.6
    • /
    • pp.179-186
    • /
    • 2008
  • In this paper we analyse the effects of Bayesian algorithm in teaming class imbalance problems and compare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The teaming performance of the Bayesian algorithm is evaluated over the class imbalance problems generated by priori data distribution, imbalance data rate and discrimination complexity.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calculated by the AUC(Area Under the Curve) values of both ROC(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and PR(Precision-Recall) evaluation measures and compared according to imbalance data rate and discrimination complexity. In comparison and analysis, the Bayesian algorithm suffers from the imbalance rate, as the same result in the reported researches, and the data overlapping caused by discrimination complexity is the another factor that hampers the learning performance. As the discrimination complexity and class imbalance rate of the problems increase, the learning performance of the AUC of a PR measure is much more variant than that of the AUC of a ROC measure. But the performances of both measures are similar with the low discrimination complexity and class imbalance rate of the problem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4hat the AUC of a PR measure is more proper in evaluating the learning of class imbalance problem and furthermore gets the benefit in designing the optimal learning model considering a misclassification cost.

An Study on Decision Tree Analysis with Imbalanced Data Set : A Case of Health Insurance Bill Audit in General Hospital (의사결정나무 분석에서 불균형 자료의 분석 연구 : 종합병원의 건강보험료 청구 심사 사례)

  • Heo Jun;Kim J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67-1676
    • /
    • 2006
  • 다른 산업과 달리 병원/의료 산업에서는 건강 보험료 심사 평가라는 독특한 검증 과정이 필수적으로 있게 된다. 건강 보험료 심사 평가는 병원의 수익 문제 뿐 아니라 적정한 진료행위를 하는 병원이라는 이미지와도 맞물려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특히 대형 종합병원일수록 이 부분에 많은 심사관련 인력들을 투입하여, 병원의 수익과 명예를 위해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건강보험료 청구 심사 과정에서, 사전에 수많은 진료 청구 건 중 심사 평가에서 삭감이 될 수 있는 진료 청구 건을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서 발견하여, 사전의 대비를 철저히 하고자 하는 한 국내의 대형 종합병원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데이터 마이닝을 적용함에 있어, 주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바로 지도학습 기법을 적용하기에 곤란한 데이터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비교 조건 중에 가장 효율적인 삭감 예상 진료 건 탐지 모형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데이터 불균형 문제의 기본 해법인 과, Sampling 오분류 비용의 다양하고 혼합적인 적용을 통하여, 적합한 조건을 가지는 의사결정 나무 모형을 도출하였다.

  • PDF

Kernel Perceptron Boosting for Effective Learning of Imbalanced Data (불균형 데이터의 효과적 학습을 위한 커널 퍼셉트론 부스팅 기법)

  • 오장민;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304-306
    • /
    • 2001
  • 많은 실세계의 문제에서 일반적인 패턴 분류 알고리즘들은 데이터의 불균형 문제에 어려움을 겪는다. 각각의 학습 예제에 균등한 중요도를 부여하는 기존의 기법들은 문제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불균형 데이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퍼셉트론에 기반한 부스팅 기법을 제안한다. 부스팅 기법은 학습을 어렵게 하는 데이터에 집중하여 앙상블 머신을 구축하는 기법이다. 부스팅 기법에서는 약학습기를 필요로 하는데 기존 퍼셉트론의 경우 문제에 따라 약학습기(weak learner)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커널을 도입한 커널 퍼셉트론을 사용하여 학습기의 표현 능력을 높였다. Reuters-21578 문서 집합을 대상으로 한 문서 여과 문제에서 부스팅 기법은 다층신경망이나 나이브 베이스 분류기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인공 데이터 실험을 통하여 부스팅의 샘플링 경향을 분석하였다.

  • PDF

Combined Application of Data Imbalance Reduction Techniques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한 데이터 불균형 해소 기법의 조합적 활용)

  • Jang, Young-Sik;Kim, Jong-Woo;Hur, Joon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3
    • /
    • pp.133-154
    • /
    • 2008
  • The data imbalance problem which can be uncounted in data mining classification problems typically means that there are more or less instances in a class than those in other classes. In order to solve the data imbalance problem, there has been proposed a number of techniques based on re-sampling with replacement, adjusting decision thresholds, and adjusting the cost of the different classes. In this paper, we study the feasibility of the combination usage of the techniques previously proposed to deal with the data imbalance problem, and suggest a combination method using genetic algorithm to find the optimal combination ratio of the techniques.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a minority class, we determine the combination ratio based on the F-value of the minority class as the fitness function of genetic algorithm. To compare the performance with those of single techniques and the matrix-style combination of random percentage, we performed experiments using four public datasets which has been generally us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methods for the data imbalance problem.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s, we can fin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 PDF

Handling Method of Imbalance Data for Machine Learning : Focused on Sampling (머신러닝을 위한 불균형 데이터 처리 방법 : 샘플링을 위주로)

  • Lee, Kyunam;Lim, Jongtae;Bok, Kyoungsoo;Yoo, Ja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1
    • /
    • pp.567-577
    • /
    • 2019
  • Recently, more and more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faced by academia and industry through machine learning. Accordingly,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o solve non-general situations through machine learning, such as deviance, fraud detection and disability detection. A variety of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solve the non-normal situation in which data is distributed disproportionately, generally resulting in errors. In this paper, we propose handling method of imbalance data for machine learning. The proposed method to such problem of an imbalance in data by verifying that the population distribution of major class is well extracted. Performance Evaluations have proven the proposed method to be better than the existing methods.

Adversarial Training Method for Handling Class Imbalance Problems in Dialog Datasets (대화 데이터셋의 클래스 불균형 문제 보정을 위한 적대적 학습 기법)

  • Cho, Su-Phil;Choi, Yong Su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434-439
    • /
    • 2019
  • 딥러닝 기반 분류 모델에 있어 데이터의 클래스 불균형 문제는 소수 클래스의 분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클래스 불균형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적대적 학습 기법을 제안한다. 적대적 학습 기법의 성능 향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총 4종의 딥러닝 기반 분류 모델을 정의하였으며, 해당 모델 간 분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대화 데이터셋을 이용한 모델 학습 시 적대적 학습 기법을 적용할 경우 다수 클래스의 분류 성능은 유지하면서 동시에 소수 클래스의 분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