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 모니터링

Search Result 2,67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romoting Self-Reliant Islands Using Ocean Energy (해양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 섬 구축방안)

  • Lee, Woong Ky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1 no.2
    • /
    • pp.1-7
    • /
    • 2023
  •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y direction for energy self-reliant islands using marine energy. In other words, it was suggested that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ocean should be considered by conducting a strategic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hen establishing an energy-independent island project plan. It was also suggested to proceed with preemptive site selection. In particular, it was emphasized that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marine environment should be carried out during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marine energy development project. In addition, I emphasized the need to seek ways to expand marine environmental impact data and to actively participate and support the residents of the island, which is important in promoting self-reliant islands using ocean energy. This can be said to have a high probability of success when the government-led smart grid project group and KEPCO collaborate with each o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re as follows. First, active participation and support for initiatives led by residents are needed. second,. KEPCO must collaborate with specialized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Smart Grid Project Group. Third, a strategic marine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hould be introduced. Fourth, continuous marine environmental impact investigations should be conducted.

Deep Learning-based Approach for Visitor Detection and Path Tracking to Enhance Safety in Indoor Cultural Facilities (실내 문화시설 안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 방문객 검출 및 동선 추적에 관한 연구)

  • Wonseop Shin;Seungmin, Rho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v.11 no.4
    • /
    • pp.3-12
    • /
    • 2023
  • In the post-COVID era, the importance of quarantine measures is greatly emphasized, and accordingly, research related to the detection of mask wearing conditions and prevention of other infectious diseases using deep learning is being conducted. However, research on the detection and tracking of visitors to cultural facilities to prevent the spread of diseases is equally important, so research on this should be conducted. In this paper,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object detection model is trained through transfer learning using a pre-collected dataset. The weights of the trained detection model are then applied to a multi-object tracking model to monitor visitors. The visitor detection model demonstrates results with a precision of 96.3%, recall of 85.2%, and an F1-score of 90.4%. Quantitative results of the tracking model include a MOTA (Multiple Object Tracking Accuracy) of 65.6%, IDF1 (ID F1 Score) of 68.3%, and HOTA (Higher Order Tracking Accuracy) of 57.2%. Furthermore, a qualitative comparison with other multi-object tracking models showcased superior results for th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The research of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the hygiene systems within cultural facilities in the post-COVID era.

  • PDF

Application of ISMN method for quality control of soil moisture data (토양수분 측정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한 ISMN 방식 적용)

  • Shin, Hyung Jin;Lee, Jae Nam;Hwang, Seon Ah;Ok, Jung hun;Lee, Ki Won;Park, Chan Gi;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54-254
    • /
    • 2022
  • 밭 용수관리 및 가뭄 대응을 위한 토양수분 실측자료의 품질관리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토양수분 자료의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국제 토양수분 네트워크(International Soil Moisture Network; ISMN)가 설립되었고, 전세계 1,400여개 지점의 토양수분량 자료의 품질관리하고 있다. ISMN 품질관리 방식은 토양특성, 강우에 대한 반응, 토양온도, 시계열특성을 이용한다. 지표면 최상 토층에 저장되어있는 수분인 토양수분은 기후 예측, 홍수 예보, 농업가뭄평가, 수자원 관리, 온실가스 산정, 인프라 보전, 수인성 전염병 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Dorigo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기기를 이용한 토양수분 측정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해 ISMN에서 제시한 총6개의 단계별 품질관리 체계를 적용하였다. 단계는 1) 토양수분이 0 m3m-3보다 작은지, 2) 또는 0.6 m3m-3보다 큰지, 3) 토양수분값이 공극률보다 큰지, 4) 토양온도가 영하인지, 5) 토양수분이 강우 이벤트 없이 증가하는지, 그리고 5) 토양수분 시계열 자료에 spike 가 있는지 6) break나 plateau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Quality Flag를 설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토양수분 데이터 자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상치를 보정하였다. 향후, ISMN의 Quality Flag (QF1-QF10)를 적용하여 모니터링 자료의 품질관리 자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SIEM Solutions for Network Security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SIEM 솔루션 비교 분석)

  • Lee, Jong-Hwa;Bang, Jiwon;Kim, Jong-Wouk;Choi, Mi-Jung
    • KNOM Review
    • /
    • v.22 no.1
    • /
    • pp.11-19
    • /
    • 2019
  • As technology develops, the latest security threats on the network applied to users are increasing. By attacking industrial or corporate systems with malicious purposes, hackers cause many social problems such as confidential information leakage, cyber terrorism, infringement of information assets, and financial damage. Due to the complex and diversified threats, the current security personnel alone are not enough to detect and analyze all threats. In particular, the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used in industrial infrastructures that collect, analyze, and return static data 24 hours a day, 265 days a year, is very vulnerable to real-time security threats. This paper introduces 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SIEM), a powerful integrated securi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monitor the state of the system in real time and detect security threats. Next, we compare SIEM solutions from various companies with the open source SIEM (OSSIM) from AlienVault, which is distributed as an open source, and present cases using the OSSIM and how to utilize it.

Landslide Analysis Using the Wetting-Drying Process-Based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and Field Monitoring Data (현장 함수비 모니터링과 습윤-건조 함수특성곡선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 Lee, Seong-Cheol;Hong, Moon-Hyun;Jeong, Sang-Seom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9 no.5
    • /
    • pp.13-26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SWCC), considering the volume change, using wetting curves on the field monitoring data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evaluating the landslide vulnerability by deriving a matric suction suitable for the actual site during the wetting process. Laboratory drying SWCC and shrinkage laboratory tests were used to perform the combined analysis of landslide and debris flo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fety factor of the wetting curve, considering the volume change of soil, was lower than that of the drying curve. As a result of numerical analyses of the debris flow simulation, more debris flow occurred in the wetting curve than in the drying curve. It was also found that the landslide analysis with the drying curve tends to overestimate the actual safety factor with the in situ wetting curve. Finally, it is confirmed that calculating the matric suction through SWCC considering the volume change is more appropriate and reasonable for the field landslide analysis.

Displacement Evaluation of Cable Supported Bridges Using Inclinometers (경사계를 이용한 케이블교량의 변위 산정)

  • Kong, Min Joon;Yun, Jung Hyun;Kang, Seong In;Gil, Heungba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3
    • /
    • pp.297-308
    • /
    • 2023
  • Displacement of structures i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 for safety and performance assessment and is measured to use for diagnosis and maintenance of bridges. Usually LVDT, Laser and GNSS are used for displacement measurement but these measurement instruments have problems in terms of field condition and cost. Therefore, in this study, displacements were evaluated using rotational angle measured by inclinometers and the proposed algorithm was experimentally verified. As the result, vertical displacements of cable supported bridges with traffic and temperature load were properly evaluated through the proposed algorithm.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used for displacement measurement by vehicle load test and long term displacement monitoring.

River management technology using Drone (하천관리를 위한 드론활용기술)

  • Kim, Young Joo;Lee, Geun Sang;An, Min Hyeok;Kim, Jin 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5-345
    • /
    • 2020
  • 우리나라는 물산업 강국 도약을 위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2015년 세계물포럼 이후 복합 수재해 대응과 능동적 하천관리 분야가 중요시되고 있다. 기존의 하천관리는 수위관측소 및 하도계획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최근에는 항공측량, 드론 등 원격관리시스템에 기반을 둔 하천 통로에 대한 입체적인 3차원 관리로의 인식 전환이 고려되는 추세이다. 대부분 수위 및 하도를 중심으로 한 조사방식은 계측장비, 인력, 시간 등 많은 소요비용이 필요하게 되어 급변하는 하천 공간 조사 기술로 제한적 요소가 많아 현재의 하천조사 시스템으로는 하천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환경변화에 맞추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득하기가 어려운 실정으로 하천관리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적기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한 실정이다. 사회 환경의 발달로 급변하는 환경에 맞는 적정한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유역 및 하천에 대한 수문정보 생산 및 하상변동조사가 필요하고 첨단기술(ICT)을 활용하여 조사의 효율성, 안전성 및 정확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한편, 하천유역조사는 하천유역에 대한 다양한 정보 수집을 목표로 하나 그간 유역조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수요자의 요구 자료 제공이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수심, 하상, 하천재료 등 하천법에 규정된 측량은 현장 직접계측을 통해 실시되고 있으며 측량의 공간적·시간적 범위의 변동으로 기존 방식의 비용이 급증하게 되어 신기술을 통한 효율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하천조사를 위해 위성 및 유인항공기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고빙용을 수반하고 위성영상은 공간해상도가 낮아 폭이 좁은 하천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 하천의 특성상 항공측량 보다 드론이 효율적으로 드론에 레이저 광선으로 지형을 측량하는 장비를 탑재해 3차원 지형을 측량하는 방법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 상류 하천을 대상으로 드론을 활용할 경우 투입인력 및 소요시간 절감, 장비 및 인력 진입 불가지역에 대한 정보획득, 높은 공간해상도, 항공측량 대비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드론을 활용하여 하천지형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유역관리 및 수질모델링에 필요한 지도 생성 및 유역의 공간 정보를 획득하여 향후 유역관리 모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Temporal Analysis of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urface Area using Remote Sensing and CNN (위성영상 및 CNN을 활용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수표면적 시계열 분석)

  • Yang, Mi-Hye;Nam, Won-Ho;Lee, Hee-Jin;Kim, T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8-118
    • /
    • 2021
  •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폭염의 빈도 및 강도 상승에 따른 가뭄 피해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농업 가뭄은 강수량 부족, 토양 수분 부족, 저수량 부족 등 농업분야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과 관련되어 있어 농작물 생육 및 수확량 감소를 야기한다. 우리나라는 논농사가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 농업 가뭄은 주수원공인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으로 판단 가능하다. 따라서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수리시설물의 모니터링, 공급량 등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농업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 파악이 필요하다. 수자원 분야에서 지점자료의 시·공간적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자료 및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농업용 저수지 수표면 탐지 및 시계열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위성영상 자료는 5일 주기 및 10 m 공간해상도를 가진 Sentinel-2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딥러닝에 적용하기 위하여 100장 이상의 영상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으로는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활용하였으며, CNN은 주로 이미지 분류나 객체 검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모델로 최근 픽셀 단위로 분류가 가능한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높은 정확도의 수표면 탐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NN 기반 수표면 탐지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Sentinel-2 영상 기준 경기도 안성시를 대상으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수표면적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algae bloom characteristics in Andong reservoir based on hyperspectral images (초분광영상 기반 안동호 조류발생 특성 분석 연구)

  • Kim, Gwang Soo;Kyun, Yeong Hwa;Kim, Dong Soo;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9-119
    • /
    • 2021
  • 최근 국내에서는 이상기후변화로 인해 수환경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인해 하천이나 저수지에 조류의 과대성장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조류의 과대성장으로 인해 조류가 생산하는 독성물질, 이취미 물질은 수질을 악화 및 생태계에 큰영향을 미치는 실정이다. 또한, 조류는 하천, 저수지에 넓은 분포로 발생하게 되며, 현재 조류 조사방법은 다양한 계측장비를 통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나, 조류를 직접 채취하여 검경하거나, 보트 또는 조사선에 센서를 부착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점 또는 선단위의 간혈적 조사가 진행된다. 따라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국내에선 인력과 시간을 줄이기 위해 최근 위성영상과 드론을 활용한 조류 원격탐사 모니터링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 인근 예안교에서 드론과 초분광센서를 이용하여 초분광데이터를 수집 및 조류 맵핑을 진행하였다. 사용된 드론은 DJI사의 RGB드론과 M-600Pro를 사용하였으며, 초분광 센서는 CORNING사의 microHSITM 410 SHARK를 이용하였으며, 파장 400-1000 nm에서 NIR(visNIR)파장을 분석할 수 있다. 드론에 짐벌을 장착하여 초분광센서를 수표면과 평행하게 두고 촬영 및 영상을 수집하였다. 방사보정을 하기위해 영상을 촬영 구간에 방사 보정용 반사천을 두고 동시간에 같이 촬영 하여 방사보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분광센서와 드론을 활용하여 조류 맵핑에 대한 연구를 하기위해 시료를 채취하여 검경결과와 비교분석을 하였으며, 초분광영상 분석을 통해 조류 최적밴드비를 산정하고 조류 맵핑을 진행하여 촬영구간에 대한 2차원 조류 맵핑 제시하여 하천에 적용하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Water Quality of Z acco platypus by Region (권역단위 피라미 수질 서식처적합도지수 산정)

  • Hong, Rok Gi;Park, Jin Seok;Jang, Seong Ju;Hong, Joo Pyo;Song, I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8-458
    • /
    • 2021
  • 하천의 환경기능과 생태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며 생태를 고려한 하천 유지 유량의 산정이 필요하다. 수문 특성의 물리적 서식처에 관한 연구는 PHABSIM, River2D 등의 소프트웨어 적용을 통한 유지유량증분법(IFIM), 수문 인자별 서식처적합도지수(HSI)를 기반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하천의 수질을 고려한 서식처 연구는 각 수질 인자별 서식처적합도지수 자료의 부족으로 하천유지유량 산정에 반영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하천의 수질·생태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수온, DO 등의 수질 인자에 대한 피라미의 서식처적합도지수를 권역 단위로 산정했다. 수질 및 어류조사 자료는 물환경정보시스템의 최근 10년 수질측정망, 생물측정망 조사자료를 이용해 구축하였다. 피라미의 수질별 서식 적합도는 일반화가법모형(GAM)을 적용하여 수질 인자별 어류 개체 밀도 분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지수화하였다. 특히, 어류의 서식 특성은 수계별로 상이할 수 있어 가용 데이터의 범위를 고려하여 권역별 수질 인자에 따른 피라미의 서식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 제시된 권역단위 피라미의 수질 서식처 적합도 지수는 생태를 고려한 하천사업의 계획, 평가의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피라미 외 각 하천의 주요 생태 어종 평가를 위한 수질 서식처 적합도지수 산정의 자동화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적용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