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 댐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valuation of Fish Habitat Condition Considering Dam Operations (댐운영을 고려한 어류서식환경 평가)

  • Park, Sang-Young;Kim, Jeong-Kon;Seo, Se-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38-204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댐건설에 따른 유황 변동이 어류서식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금강 수계를 대상으로 하천 생태환경 평가 도구인 RAP(River Analysis Package)를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문헌조사와 어류 모니터링자료를 기반으로 대표어종을 선정하고 산란기 서식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계열 서식처 활용성을 분석하기 위한 유량데이터는 KModSim모델을 이용하여 생성된 1984년부터 2006년까지 23년간의 유량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산란기 어류의 서식처 조건은 성어기에 비하여 민감하고, 유황변화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하류하천의 생태적인 특성을 보다 세밀하게 고려한 저수지 운영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Settlement Prediction of Concrete-faced Rockfill Dam Using Measured Data During Construction and After Impounding (시공 중 및 담수 후 계측데이터를 이용한 CFRD의 침하량 예측 연구)

  • Lee, Chungwon;Kim, Yongs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6 no.2
    • /
    • pp.5-13
    • /
    • 2015
  • In the present study, the prediction methods of the crest settlement after impounding and the maximum internal settlement during dam construction were proposed through the analysis on settlement data at 38 monitored points of 36 Concrete-Faced Rockfill Dams (CFRDs). The results from this analysis provided that the crest settlement and the maximum internal settlement a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am height and the void ratio.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settlement and dam height for each void-ratio range plotted in semi-logarithmic scale is the nearly same. Also, the prediction of the crest settlement of the CFRD is possible through the maximum internal settlement during dam construction.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valley shape highly affects the dense dam body with high construction modulu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useful tool for the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CFRDs.

Utilization of sensor-based on-site measurement data to improve the accuracy of reservoir turbid water simulation (저수지 탁수모의 정확도 개선을 위한 센서기반 현장 계측자료 활용)

  • Jong Min Kim;Gwang Soo Kim;Se Woong Chung;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6-136
    • /
    • 2023
  • 우리나라의 강우 특성은 하절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최근 이상강우와 기상이변에 따른 집중호우 발생으로 여를철 탁수 문제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 '02년 태풍 루사', '03년 태풍 매미', '06년 에위니아'부터 20년 마이삭, 하이선과 같은 태풍 및 장마에 의해 탁수 유입이 급증되어 수중 탁도가 높아지며 저수지 탁수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경우 하천 및 저수지에서 물 사용량의 대부분을 이용하고 있기에 탁수 문제가 장기화 될 시 댐 하류 지역의 농업, 공업, 수생태 등 사회적, 비용적, 환경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파악, 대응을 위한 탁수 모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탁수를 모의하기 위해서는 유량, 수온, SS, 탁도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국가측정망에서 하천 및 댐 저수지 내 SS를 측정하여 탁수를 측정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측정의 경우 채수를 통한 점단위의 측정으로 데이터 해상도가 낮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 취득의 한계로 기존 조사를 통한 탁도-SS 관계식을 통해 탁수를 예측하고 있으나 과거 2003년 이후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된 식으로 불확도가 존재한다. 탁수 모의 정확도 개선을 위한 데이터 해상도 및 탁도-SS 관계식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기존 데이터 분석을 통한 미계측 기간에 대한 보간을 필요로 하며 현장 계측을 통한 탁도, SS 자료를 취득하여 탁도-SS 관계식을 최신화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탁도를 측정 센서 YSI와 SS 측정센서 레이저부유사측정기(LISST: Laser In-Situ Scattering and Transmissometry)를 활용하여 자료를 취득하고 탁도-SS 산정식을 최신화 하였다. 또한 기존 국가 수질 측정망 데이터 및 기상 자료 데이터를 취득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계측 기간에 대한 데이터를 보간하여 탁수 모의 입력자료를 개선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탁수 모의 정확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 PDF

Calculation of Reservoir Capacity by Combination of GPS and Echo Sounder (GPS와 음향측심기의 조합에 의한 저수용량 산정)

  • Seo, Jeong-Hoon;Seo, Dong-Ju;Lee, Jong-Cho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0 no.1 s.19
    • /
    • pp.27-35
    • /
    • 2002
  • The dam made reservoir, a major means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water resource's uneven supply by time and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particularly, of water supply. The role of water supply will get more important, considering the usage of water resource becomes more intensive. Therefore, it is continuously required to construct new dams securing water supply and to study on effective operation plans of the dam. The size of reservoir needs to be measured according to possible supply estimation in the pre-design stage. The depth of water, at this point, should be taken. Among many ways of sounding, echo sounding has been frequently used recently. This study, therefore, presents a new way of sounding that takes less time with stronger accuracy, uniting GPS and echo sounder to apply a means of obtaining three dimensional position data. This enables the designer to escape from the conventional way of sounding in the estimation of reservoir to design and redesign a new dam.

  • PDF

Estimate Soil Moisutre Using Satelite Image and Data Mining (위성영상과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토양수분 산정)

  • Kim, Gwang-Seob;Park, Han-Gyun;Cho, S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15-1619
    • /
    • 2010
  • 토양수분은 토양입자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표면과 대기간의 에너지 균형과 물 순환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수분 산정을 위하여 2003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의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위성관측 자료로부터 획득한 정규식생지수(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자료와 지표면 온도자료, 우리나라 76개소 기상관측소 중에 자료의 보유기간이 30년 이하인 관측소와 섬 지역들을 제외한 57개 지점의 강수량, 토양온도 자료 및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토지피복, 유효토심자료를 이용하여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법의 하나인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기법을 이용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였다. 먼저 신뢰성 높은 토양수분 관측 자료를 가진 용담댐 유역의 6개 지점에 대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여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3개 지점의 토양수분 관측치는 토양수분 산정 모형 수립에 사용하였으며 검증에 사용된 1개 지점의 토양수분의 관측치와 추정치 간의 상관계수를 확인한 결과 전체적인 토양수분의 거동을 잘 나타내고 있어 토양수분 추정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용담댐 유역의 토양수분 분포와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토양수분 분포도를 추정하였다. 신뢰할 수 있는 지상관측 토양수분 관측치가 다양한 지상조건에 대하여 존재하지 않는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시된 토양수분산정 방법은 제한된 가용자료를 사용한 우리나라 전역의 토양수분 산정에 있어 합리적인 접근법이라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Float Water Level Meter Portable Calibration System (부자식 수위계 이동형 교정시스템 개발)

  • Hong, Sung-taek;Kim, Il-han;Choi, Jong-woong;Shin, G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411-414
    • /
    • 2016
  • K-water institute is a calibration and test institute accredited by international standard calibration center for water-level meters. Due to the absence of on-site calibration system and procedure for Float Water Level Meter, the calibration was performed only in the standard calibration laboratory. In this study, mobile calibration system and procedure were developed to calibrate Float Water Level Meter on site using scale bar and camera. It is possible to obtain reliable water-level data and achieve consistent data management.

  • PDF

A Study on Dam Exterior Inspection and Cost Standards using Drones (드론을 활용한 댐 외관조사 및 대가기준에 대한 연구)

  • Kim, Tae-Hoon;Lee, Jai-Ho;Kim, Do-Seon;Lee, Suk-B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3
    • /
    • pp.608-616
    • /
    • 2021
  • Purpose: Safety inspections by existing personnel have been limited in evaluation and data securing due to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technicians or difficulty in accessing them, and are becoming a bigger problem as the number of maintenance targets increases due to the aging of facilities. As drone technology develops,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personnel, secure visual data, and diagnose quickly, and use it is increasing as safety inspection of facilities by drones was introduced recently. In order to further enhance utilization,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base a consideration standard for facility appearance investigation by drones, and in this paper, research was conducted on dams. Method: To calculate the quality, existing domestic safety inspection and drone-related consideration standards were investigated, and procedures related to safety inspection using dron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review work procedures and construction types. In addition,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rone photography and elevation image production for the actual dam. Result: Work types for safety inspection of facilities using drones were derived, and empirical survey results were collected for two dams according to work types. The existing guidelines were applied for the adjustment ratios for each structural type and standard of the facility, and if a meteorological reference point survey was necessar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y of the construction work standard was applied. Conclusion: The finer the GSD in appearance investigation using drones, the greater the number of photographs taken, and the concept of adjustment cost was applied as a correction to calculate the consideration standar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 of maximum GSD indicating limit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maintain the safe distance.

Evaluation of the Coverage Assessment of Rainfall-Runoff Model for Data Length (데이터 길이에 대한 강우-유출 모델 적용범위 평가)

  • Jeon Seong Jae;Shin Mun Ju;Jung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83-383
    • /
    • 2023
  • 오늘날 수문학 분야에서는 유역에 대한 강우-유출 시뮬레이션을 머신 러닝(ML: Machine Learning)을 활용하여 다양한 연구를 실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별 강우-유출 예측 모델인 GR4H(Génie Rural à 4 paramètres Horaires)를 사용하여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역의 속성에 따라서 모델의 성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하여 특성에 맞는 모델을 알아내고. 또한 이 과정에서 기상 및 유출 데이터의 보정 길이를 가지고 어느 정도의 데이터 기간이 모델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는지 파악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델에 필요한 선행기간의 데이터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선행기간은 얼마나 필요한지 연구를 통하여 알아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충주댐 유역에 대한 모델의 적용성 및 성능을 파악하고 수문 모형 구축에 제한이 있는 유역에 대해서도 사용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실험 유역의 관측 값을 모델에 입력한 후 각 모델에 해당하는 매개변수의 최적값을 찾아내는 과정을 거쳐 시뮬레이션을실 행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강우-유출 모델인 GR4H는 프랑스의 INRAE-Antony(Institut National de la recherche agronomique-Antony)에서 만들어진 airGR의 일종으로, 시간별 강우-유출 예측을 위해 개발된 공정 기반(process-based)의 집중적, 개념적 수문학 모델이다. 4개의 매개변수(parameter)가 있으며 이는 유역의 특정 속성을 나타낸다. GR4H를 시뮬레이션 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의 최적화를 위해 적절한 보정 길이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4년, 5년, 6년 등 1년씩 데이터의 양을 늘려가며 매개변수를 최적화한다. 이 과정에서 기상 및 유출 데이터의 적절한 보정 길이를 찾아낸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관측 값과 비교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고 다른 관측 값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검증을 거친다.

  • PDF

Application of recurrent neural network for inflow prediction into multi-purpose dam basin (다목적댐 유입량 예측을 위한 Recurrent Neural Network 모형의 적용 및 평가)

  • Park, Myung Ky;Yoon, Yung Suk;Lee, Hyun Ho;Kim, Ju 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12
    • /
    • pp.1217-1227
    • /
    • 2018
  •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dam inflow prediction model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 theory. To achieve this goal,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and the Elman Recurrent Neural Network(RNN) model were applied to hydro-meteorological data sets for the Soyanggang dam and the Chungju dam basin during dam operation period. For the model training, inflow, rainfall, temperature, sunshine duration, wind speed were used as input data and daily inflow of dam for 10 days were used for output data. The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through dam inflow prediction between July, 2016 and June,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diction performance between ANN model and the Elman RNN model in the Soyanggang dam basin but the prediction results of the Elman RNN model are comparatively superior to those of the ANN model in the Chungju dam basin. Consequently, the Elman RNN prediction performance is expected to be similar to or better than the ANN model.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Elman RNN was notable during the low dam inflow period. The performance of the multiple hidden layer structure of Elman RNN looks more effective in prediction than that of a single hidden layer structure.

Debris Yield Prediction of Gangwon Mountain Region in Korea (강원 산간지역의 토석유출량 예측)

  • Kwon, Hyuk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82-182
    • /
    • 2020
  • 최근 지구 온난화나 기상이변으로 인해 세계각지에서 많은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최근 전국 각지에서 국지성호우에 의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국지성호우로 인해 발생하는 산간지역의 토석류는 많은 재산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최근 토석, 토사, 혹은 부유 잡목 등의 유출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많은 사방댐을 축조하고 있으나 표면침식에 의해서 유출되는 토석량 혹은 토사량을 정확히 예측하지 못한다면 축조된 사방댐은 금방 제구실을 못할 수 있거나 혹은 과대 설계 및 시공되어 건설비를 낭비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사방댐 건설을 위해 정확한 토석량의 산정은 매우 중요한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군 산간지역 4곳의 사방댐유역에 대해 토석량 예측모형 MSDPM(Multi-Sequence Debris Prediction Model)과 LADMP(Los Angeles District Method for Prediction of sediments yield)를 이용하여 산정한 토석량과 실제 준설량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 산간지역에 맞도록 예측모형을 보정하였으며 토석류 유발 강우강도(Threshold Maximum 1-hr Rainfall Intensity)와 토석류 유발 최소강우량(Total Minimum Rainfall Amount)개념을 도입하여 예측모형식을 적용하였다. 위 식이 갖고 있는 대표적 특징 중 하나인 산불계수를 사용해야 하지만 본 연구지역은 산불 피해규모가 미미하여 산불의 영향은 고려하지 않고 토석량을 산정하였다. 두 예측모형의 계산결과와 실제 준설량을 비교해본 결과, MSDPM의 결과가 LADMP의 결과보다 준설량과 더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준설량과 MSDPM의 계산결과는 평균 17.37%의 차이를 나타냈고 LADMP의 계산결과는 평균 41.87%의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토석량 예측 모형은 앞으로 많은 산지유역의 토석량 예측에 사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제한성 때문에 앞으로 많은 실측 준설자료를 통하여 예측모형식을 보정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 많은 산지유역의 토석량을 장시간 실측하여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토석량 예측모형을 검보정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