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참조모델

Search Result 27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omain adaptation of Korean coreference resolution using continual learning (Continual learning을 이용한 한국어 상호참조해결의 도메인 적응)

  • Yohan Choi;Kyengbin Jo;Changki Lee;Jihee Ryu;Joonho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320-323
    • /
    • 2022
  • 상호참조해결은 문서에서 명사, 대명사, 명사구 등의 멘션 후보를 식별하고 동일한 개체를 의미하는 멘션들을 찾아 그룹화하는 태스크이다. 딥러닝 기반의 한국어 상호참조해결 연구들에서는 BERT를 이용하여 단어의 문맥 표현을 얻은 후 멘션 탐지와 상호참조해결을 동시에 수행하는 End-to-End 모델이 주로 연구가 되었으며, 최근에는 스팬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시작과 끝 표현식을 통해 상호참조해결을 빠르게 수행하는 Start-to-End 방식의 한국어 상호참조해결 모델이 연구되었다. 최근에 한국어 상호참조해결을 위해 구축된 ETRI 데이터셋은 WIKI, QA, CONVERSATION 등 다양한 도메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규 도메인의 데이터가 추가될 경우 신규 데이터가 추가된 전체 학습데이터로 모델을 다시 학습해야 하며, 이때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호참조해결 모델의 도메인 적응에 Continual learning을 적용해 각기 다른 도메인의 데이터로 모델을 학습 시킬 때 이전에 학습했던 정보를 망각하는 Catastrophic forgetting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Continual learning의 성능 향상을 위해 2가지 Transfer Techniques을 함께 적용한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베이스라인 모델보다 개발 셋에서 3.6%p, 테스트 셋에서 2.1%p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Modeling of Data References with Temporal Locality and Popularity Bias (시간 지역성과 인기 편향성을 가진 데이터 참조의 모델링)

  • Hyokyung Bah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3 no.6
    • /
    • pp.119-124
    • /
    • 2023
  • This paper proposes a new reference model that can represent data access with temporal locality and popularity bias. Among existing reference models, the LRU-stack model can express temporal locality, which is a characteristic that the more recently referenced data ha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ing referenced again. However, it cannot take into account differences in popularity of the data. Conversely, the independent reference model can reflect the different popularity of data, but has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model changes in data reference trends over time. The reference model presented in this paper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se two models and has the feature of reflecting both the popularity bias of data and their changes over time.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che replacement algorithm and the reference model, and shows the optimality of the proposed model.

Korean Coreference Resolution at the Morpheme Level (형태소 수준의 한국어 상호참조해결 )

  • Kyeongbin Jo;Yohan Choi;Changki Lee;Jihee Ryu;Joonho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329-333
    • /
    • 2022
  • 상호참조해결은 주어진 문서에서 상호참조해결 대상이 되는 멘션(mention)을 식별하고, 동일한 개체(entity)를 의미하는 멘션들을 찾아 그룹화하는 자연어처리 태스크이다. 최근 상호참조해결에서는 BERT를 이용하여 단어의 문맥 표현을 얻은 후, 멘션 탐지와 상호참조해결을 동시에 진행하는 End-to-End 모델이 주로 연구가 되었다. 그러나 End-to-End 방식으로 모델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모든 스팬을 잠재적인 멘션으로 간주해야 되기 때문에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고 시간 복잡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브 토큰을 다시 단어 단위로 매핑하여 상호참조해결을 수행하는 워드 레벨 상호참조해결 모델을 한국어에 적용하며, 한국어 상호참조해결의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워드 레벨 상호참조해결 모델의 토큰 표현에 개체명 자질과 의존 구문 분석 자질을 추가하였다. 실험 결과, ETRI 질의응답 도메인 평가 셋에서 F1 69.55%로, 기존 End-to-End 방식의 상호참조해결 모델 대비 0.54% 성능 향상을 보이면서 메모리 사용량은 2.4배 좋아졌고, 속도는 1.82배 빨라졌다.

  • PDF

Korean End-to-End Coreference Resolution with BERT for Long Document (긴 문서를 위한 BERT 기반의 End-to-End 한국어 상호참조해결)

  • Jo, Kyeongbin;Jung, Youngjun;Lee, Changki;Ryu, Jihee;Lim, Joon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259-263
    • /
    • 2021
  • 상호참조해결은 주어진 문서에서 상호참조해결 대상이 되는 멘션(mention)을 식별하고, 동일한 개체(entity)를 의미하는 멘션들을 찾아 그룹화하는 자연어처리 태스크이다. 최근 상호참조해결에서는 BERT를 이용하여 단어의 문맥 표현을 얻은 후, 멘션 탐지와 상호참조해결을 동시에 진행하는 end-to-end 모델이 주로 연구되었으나, 512 토큰 이상의 긴 문서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512 토큰 이하로 문서를 분할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길이가 긴 문서에 대해서는 상호참조해결 성능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512 토큰 이상의 긴 문서를 위한 BERT 기반의 end-to-end 상호참조해결 모델을 제안한다. 본 모델은 긴 문서를 512 이하의 토큰으로 쪼개어 기존의 BERT에서 단어의 1차 문맥 표현을 얻은 후, 이들을 다시 연결하여 긴 문서의 Global Positional Encoding 또는 Embedding 값을 더한 후 Global BERT layer를 거쳐 단어의 최종 문맥 표현을 얻은 후, end-to-end 상호참조해결 모델을 적용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기존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면서(테스트 셋에서 0.16% 성능 향상), GPU 메모리 사용량은 1.4배 감소하고 속도는 2.1배 향상되었다.

  • PDF

The Process Reference Model for the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Assessment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평가를 위한 프로세스 참조모델)

  • Kim, Sunho;Lee, Changso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8 no.4
    • /
    • pp.83-105
    • /
    • 2013
  • There are two ways to assess data quality : measurement of data itself and assessment of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Recently maturity assessment of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is used to ensure and certify the data quality level of an organization. Following this trend, the paper presents the process reference model which is needed to assess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maturity. First, the overview of assessment model for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maturity is presented. Second, the process reference model that can be used to assess process maturity is proposed. The structure of process reference model and its detail processes are developed based on the process derivation approach, basic principles of data quality management and the basic concept of process reference model in SPICE. Furthermor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model are described compared with ISO 8000-150 processes.

Korean End-to-end Neural Coreference Resolution with BERT (BERT 기반 End-to-end 신경망을 이용한 한국어 상호참조해결)

  • Kim, Kihun;Park, Cheonum;Lee, Changki;Kim, Hyun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181-184
    • /
    • 2019
  • 상호참조해결은 주어진 문서에서 상호참조해결 대상이 되는 멘션(mention)을 식별하고, 같은 개체(entity)를 의미하는 멘션을 찾아 그룹화하는 자연어처리 태스크이다. 한국어 상호참조해결에서는 멘션 탐지와 상호참조해결을 동시에 진행하는 end-to-end 모델과 포인터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한 방법이 연구되었다. 구글에서 공개한 BERT 모델은 자연어처리 태스크에 적용되어 많은 성능 향상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상호참조해결을 위한 BERT 기반 end-to-end 신경망 모델을 제안하고, 한국어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KorBERT를 이용하고, 한국어의 구조적, 의미적 특징을 반영하기 위하여 의존구문분석 자질과 개체명 자질을 적용한다. 실험 결과, ETRI 질의응답 도메인 상호참조해결 데이터 셋에서 CoNLL F1 (DEV) 71.00%, (TEST) 69.01%의 성능을 보여 기존 연구들에 비하여 높은 성능을 보였다.

  • PDF

Coreference Resolution for Korean Using Random Forests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한 한국어 상호참조 해결)

  • Jeong, Seok-Won;Choi, MaengSik;Kim, HarkSo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5 no.11
    • /
    • pp.535-540
    • /
    • 2016
  • Coreference resolution is to identify mentions in documents and is to group co-referred mentions in the documents. It is an essential step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pplications such as information extraction, event tracking, and question-answering. Recently, various coreference resolution models based on ML (machine learning) have been proposed, As well-known, these ML-based models need large training data that are manually annotated with coreferred mention tags. Unfortunately, we cannot find usable open data for learning ML-based models in Korean. Therefore, we propose an efficient coreference resolution model that needs less training data than other ML-based models. The proposed model identifies co-referred mentions using random forests based on sieve-guided features. In the experiments with baseball news articles, the proposed model showed a better CoNLL F1-score of 0.6678 than other ML-based models.

Development of a Data Reference Model for Joint Utilization of Biological Resource Research Data (생물자원 연구데이터의 공동 활용을 위한 데이터 참조모델 개발)

  • Kwon, Soon-chul;Jeong, Seung-ryul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9 no.4
    • /
    • pp.135-150
    • /
    • 2018
  • The biological resources research data around the world are not only very critical themselves but should be shared and utilized. Up to now, the biological resources have been compiled and managed individually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without any clear standard. So, in this study, the data reference model would be suggested which is applicable in the phase ranging from the start of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system and which can be commonly used. For this purpose, the data model of the related information system would be expanded based on the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and data control policy so that the data reference model which can be commonly applicable to individual information system would be developed and its application procedure would be suggested.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proving the excellence of the suggested data reference model, the quality level would be verified by applying the Korgstie's data model evaluation model and its level of data sharing with the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would be compared. The test results of this model showed that this model is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data model in classifying the data into 4 levels of resources, target, activities and performances and that it has higher quality and sharing level of data in the data reference model which defines the derivation and relation of entity.

BERT-based Data Augmentation Techniques for Korean Coreference Resolution (한국어 상호참조해결을 위한 BERT 기반 데이터 증강 기법)

  • Kim, Kihun;Lee, Changki;Ryu, Jihee;Lim, Joon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249-253
    • /
    • 2020
  • 상호참조해결은 문서 내에 등장하는 모든 멘션 중에서 같은 의미를 갖는 대상(개체)들을 하나의 집합으로 묶어주는 자연어처리 태스크이다. 한국어 상호참조해결의 학습 데이터는 영어권에 비해 적은 양이다. 데이터 증강 기법은 부족한 학습 데이터를 증강하여 기계학습 기반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며, 주로 규칙 기반 데이터 증강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규칙 기반으로 데이터를 증강하게 될 경우 규칙 조건을 만족하지 못했을 때 데이터 증강이 힘들다는 문제점과 임의로 단어를 변경 혹은 삭제하는 과정에서 문맥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BERT의 MLM(Masked Language Model)을 이용하여 기존 규칙기반 데이터 증강 기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한국어 상호참조해결 데이터를 증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실험 결과, ETRI 질의응답 도메인 상호참조해결 데이터에서 CoNLL F1 1.39% (TEST)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a XML Based Product Description Model (XML 기반 상품 표현 모델의 구현 및 분석)

  • Kim, Kyoung-Rea;Ha,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167-1170
    • /
    • 2001
  • 인터넷 중심의 정보화 사회가 되면서 B2C간 또는 B2B간에 상품 정보의 교환이 활발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품정보 교환을 위한 한 표준으로 이미 제안된 바 있는 XML 기반 통합 상품 표현 모델을 참조하고 구현한다. 이 모델은 다양한 상품정보를 XML에 기반하여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표현할 수 있다. 구현은 Java의 컴포넌트 기술인 Java Bean과 EJB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참조 모델을 사용하면 모든 상품에 공통된 데이터와 본질적인 데이터로 구분하여 기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품의 공통된 정보를 통합하여 기술함으로써 데이터의 중복을 피한 수 있다. 논문에서는 참조 모델이 갖는 데이터 중복 제거 효과를 웹 상의 다양한 상품 정보를 대상으로 분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