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데이터베이스 평가요소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The Analysis of water quality using Satellite Remotely Sensed Imagery (위성사진을 이용한 해양환경분석)

  • Shin, Bum-Shick;Kim, Kyu-Han;Pyun, Chong-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40-1944
    • /
    • 2006
  • 현지관측을 통한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정확하고 정밀하게 조사하여 종합적인 분석과 예측, 결정과정에 있어서, 복잡한 해양의 특성, 여러가지 조사 작업상의 난점, 경제적, 시간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하지만, 위성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해양환경파악기법은 현지관측에서 얻을 수 있는 제한적인 자료이외의 다량의 자료를 정성 및 정량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석함과 동시에 가시화함으로써 해양개발로 인해 불가피하게 초래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장기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고도화된 환경조사 및 평가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자료인 Landsat TM 영상과 NOAA AVHRR 자료를 이용하여 수온 및 클로로필을 추출하였으며, GIS를 이용하여 현지관측자료 및 수치해도를 기초로 공간분포도를 작성함으로서 그 외의 수질환경요소를 산출하였다. 위성영상분석은 현장조사와 같은 시점의 Landsat TM 위성영상을 획득하여, 위성 영상은 지구의 곡률과 자전, 위성체의 자세와 고도 및 속도, 그리고 센서의 기하 특성으로 인하여 실제의 지형에 대하여 기하학적 왜곡을 가지고 있으므로 지형도에서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 GCP)를 추출하여 ERDAS Imagine으로 UTM좌표체계에 따른 기하보정(Geometric Correction)을 실시하였으며, 동일한 시기의 NOAA AVHRR영상을 데이터로 처리하여 수온자료를 추출하였다. 표층수온과 현장관측에 의한 클로로필을 수치 지도화하기 위하여 열적외선영역인 TM band 6의 분광특성값(Digital Number)과 동일한 위치의 수온자료를 기초로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수온추출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분석데이터의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수온, 클로로필, 투명도 등을 위성원격탐사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실시하고, 공간분포도를 작성함으로써 대상해역의 해양환경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분석된 위성자료가 현장조사에 의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영상자료분석을 통한 표층수온 추출은 대기 중의 수증기와 에어로졸에 의한 계산치의 오차가 반영되기 때문에 실측치 보다 낮게 평가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현지관측에 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위성영상해석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해양수질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시화하고, 이를 기초로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요소별 공간분포에 대한 파악을 통해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각종 환경영향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nstructing the Real Time Rail Temperature Database Considering Climatic Element (기후요소를 고려한 실시간 레일온도 DB구축)

  • Bae, Hyun-Ung;Choi, Jin-Yu;Choi, Sang-Hyun;Lim, Nam-Hyo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78.1-78.1
    • /
    • 2010
  • 장대레일 궤도는 재료적인 불확실성 및 구조계의 기하학적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시스템으로 궤도 좌굴의 위험이 상존한다. 그러므로 궤도 환경이 열악한 혹서기 장대레일 궤도의 안정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궤도 좌굴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레일온도는 현재 지역의 대표 대기온도에 따른 추정된 레일온도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기후조건에 따라 레일온도가 변동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확률분포로써 반영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본 연구는 현장 기후요소 및 레일온도 측정 실험을 수행한 자료들을 DB화하여 혹서기 장대레일 궤도의 안정성 향상 및 신뢰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Database Setup for River Infrastructure Maintenance (하천 기반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관한 연구)

  • Kim, Kyoung-Min;Jung, Jae-Hoon;Lee, Tae-Hoon;Kim, Tae-Jeong;Lee, Seu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1-371
    • /
    • 2022
  •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은 하천정보의 표준화 및 전산화를 통한 정보제공과 하천에 관련한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으로 5개의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하천대장 및 부도, 구조물도 등의 다양한 하천 관련 정보를 정보화하여 인허가 및 하천기본계획 등의 하천업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 국가 주요 기반시설을 생애주기 관점에서 관리하고 소요재원의 확보근거를 마련하고자 "지속 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최근에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국토안전관리원에서는 도로·철도·철도 하천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15종)의 노후화에 대비하여 전략적인 투자와 관리방식 도입을 목적으로 인프라 총조사 사업을 진하천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15종)의 노후화에 대비하여 전략적인 투자와 관리방식 도입을 목적으로 인프라 총조사 사업을 진행하고 관리를 위해서 기반터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과 기반터 시스템은 하천 기반시설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뤄진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기반터 시스템은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과 달리 유지관리 측면에 대한 필요한 보수 주기, 필요 예산 등과 같은 정보를 산정할 수 있도록 프레임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하천과 기반시설의 코드를 연결하는 작업들은 현재 상황에서는 미흡한 실정이고, 유지관리와 시설물의 노후화를 가속화하는 홍수와 침수피해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 기반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해 하천, 제방, 인명에 대한 위험지수를 고려한 잠재 인명피해 위험도와 잠재 홍수피해 위험도를 평가기준으로 설정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이를 포함시킨 투자우선순위 평가기법을 도입하여 감가상각과 위험요소 등을 고려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구축 사례 기반 EAI 표준화 방안

  • 오이식;정중훈;임정석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2 no.7
    • /
    • pp.5-12
    • /
    • 2004
  • 급변하는 기업 경영환경에서 기업의 다양한 플랫폼,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패키지 및 레거시 어플리케이션들을 저비용으로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통합하는 것이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필요하기 때문에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는 급변하는 e-Biz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해야 되는 기업의 필수 IT 인프라로서 인식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업에서 ERP나 CRM등의 패키지 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각 패키지 자체의 구축 뿐만 아니라 패키지 시스템과 기존 업무 시스템 간의 원활한 인터페이스 연계가 성공적인 패키지 시스템 구축 평가의 한 요소가 되고 있다.

Image Retrieval scheme using Spatial Similarity and XML (공간유사도와 XML을 이용한 이미지 검색기법)

  • 이수철;황인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1063-1068
    • /
    • 2002
  • 공간 관계는 이미지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오브젝트들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검색 방식과 다르게 이미지에 있는 여러 오브젝트들간의 공간 관계와 각 오브젝트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이미지 데이터 검색기법을 제안한다. 이것은 질의와 데이터베이스 내에 있는 이미지들간의 유사성을 효율적으로 계산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각 오브젝트의 공간정보와 특징들에 대한 정보들이 XML형태로 주석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전 검색 기법보다 정확도가 높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검색기법을 이용한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제 데이터를 검색함으로써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CONTENT PRISM / 게임개발 기술 세미나

  • Kim, Jin-Gyeong
    • Digital Contents
    • /
    • no.8 s.123
    • /
    • pp.87-87
    • /
    • 2003
  • 지난 6월 30일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주최로 국내 게임 산업의 궁극적인 발전방향 제시를 위해 'To Make Better Games'라는 주제의 세미나에 400여명의 개발자가 참여해 성황리에 마쳤다. 국내 게임의 개선을 위해 개발 프로세스 및 매니지먼트에 대한 다양한 리뷰 및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표로 개최된 이번 세미나는 게임 분야의 세미나의 첫 번째 주제로서 게임 제작의 가장 근본적인 요소를 점검하고, 세계 리딩 게임 개발자들의 접근 전략에 대해 청취하고 토의하는 자리라는 평가를 받았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MS Using Web Service (웹서비스를 이용한 NMS설계 및 구현)

  • 이준희;조용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388-39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웹서비스를 이용한 NMS(Network Management System)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OB 서버,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성능 변수들을 통한 실제 사용자의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른 서버 플랫폼,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간의 연관 관계를 평가하고 강력한 통계적 프로세스를 거쳐 웹사이트에 존재하는 많은 성능 요소들에 대해 정상적인 범위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누적된 데이터와 비교, 비정상적인 이벤트 발생시 이를 자동 추적하고 기록된 결과를 통한 자동적인 성능 향상을 도울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 NMS가 각 종 망 자원들을 매우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보였다.

  • PDF

A Research of Enhancing Data Qualit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Data Standardization (데이터표준화 사례를 통한 데이터 품질 향상에 대한 연구)

  • Kim, Jin-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210-213
    • /
    • 2006
  • 데이터품질이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주는 핵심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현 정보시스템 현실에서는 데이터품질 저하라는 심각한 상황을 맞고 있다. 데이터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지만, 대부분 현상 데이터에 대한 품질 평가 및 개선에 한정되거나, 개선방안의 구체성이 부족하여 실무적 적용에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표준화 개념을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구현방안과 사례를 제시하였다. 데이터표준화는 각 단위시스템의 데이터에 대한 명칭 및 도메인에 대한 표준원칙을 수립하여 표준데이터를 구축한 후 전체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의 구현방안은 표준데이터 구축이 선행되지 않은 경우에도 데이터의 구조적 품질수준이 보장된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수행하고자 하는 실무에 기절할 수 있다.

  • PDF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by Freeway Geometric Types (고속도로 선형조건별 교통사고 위험도 평가모형 개발 (호남고속도로를 중심으로))

  • 강정규;이성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4
    • /
    • pp.163-175
    • /
    • 2002
  • Fatalities from traffic accidents constitute one of the major health issues as well as safety ones in Korea. It has been reported that traffic accident is affected by the combined effects of road. vehicle. and human factors. Over the past few decades,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the impact of road geometric factors on traffic saf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ad geometric factors on traffic safety on Korean expressways. Detailed geometric design data were available from Korea Highway Corporation. Five-year traffic accident data on Honam expresswa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t was found that following geometric factors influence traffic safety on expressways : radius of curve, curve length, and length of straight section. Furthermore, the existence of I.C.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raffic safety level. Based on the data analysis several multiple regression forms that relate traffic accident frequencies and geometric factors on expressways are developed.

A Study on Modularization of a Decommissioning Information Evaluation System (해체 정보 평가 시스템의 모듈 연구)

  • Park, Hee-Seoung;Kim, Sung-Kyun;Lee, Kyne-Woo;Oh, Wo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305-308
    • /
    • 2005
  • 해체 준비 작업부터 해체 후 처리까지 가상의 디지털 해체 환경에서 해체 활동의 예측에 필요한 모듈별 기능들을 요소별로 검토 분석하였다. 해체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의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듈을 확립하기위해 해체 데이터베이스와 3D CAD 를 연동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3 차원 dosimetric mapping 기술로 방사능 오염 분포를 입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모듈과 제염 해체 단위 작업별 평가식과 가중치 값을 이용하여 해체 작업자수와 해체 시간을 평가할 수 있는 모듈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의 해체 환경에서 연구로 및 원자력 시설 해체시 경제성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해체 일정과 해체 비용을 평가할 수 있는 단위 모듈들의 기능을 활용하여 해체 통합 관리 시스템의 설계 기준과 요구 조건 및 기능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