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데이터관리정책

검색결과 935건 처리시간 0.041초

해외 인문사회분야 연구데이터 관리정책 활용사례 분석 (An Foreign Case Analysis of Humanities and Social Research Data Management Policies)

  • 심새봄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6년도 제2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6
    • /
    • 2016
  • 현존하는 모든 데이터의 90%가 지난 2년 내 생산된 것이지만, 보존되는 데이터의 비율은 매년 17% 하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 연구데이터 관리 정책을 살펴보고자 한다. 자연과학 분야에 비해 데이터 관리의 제도적 기반이 미약한 인문사회 분야의 연구데이터 정책 사례를 살펴보았다. 미국의 ICPSR, 캐나다의 SSHRC, 영국의 AHRC의 웹사이트에서 데이터 관련 정책을 참고하여 조사하였다.

  • PDF

국외 정부연구비지원기관의 연구데이터 관리정책 분석 -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Data Management Policies of Governmental Funding Agencies in the U.S., the U.K., Canada and Australia)

  • 김지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1-274
    • /
    • 2013
  • 본 연구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의 15개 정부연구비지원기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관리 정책을 분석하여 국내 데이터 정책 개발을 위한 참고사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데이터 정책의 내용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 데이터의 정의, 2) 데이터관리 원칙, 3) 데이터관리 계획, 4) 데이터관리 실행, 5) 법적 윤리적 측면의 5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이러한 내용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정책은 존재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기관들이 분석기준으로 제시된 내용들을 정책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데이터 정책 개발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비를 지원하는 학문 분야의 데이터 생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정의와 유형을 제시하여 관리대상을 명확히 한다. 둘째, 국내 연구데이터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관리 원칙을 수립하고 이를 정책에 제시한다. 셋째, 연구자들의 데이터관리에 대한 책임을 강화할 수 있는 데이터관리계획 도입을 검토한다. 넷째, 연구자들의 데이터 공유를 촉진하고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관리 실행 내용을 정책에 명시한다. 다섯째, 데이터 공유의 근거가 되는 법제도의 적용 및 개선방안을 검토하여 데이터 공유와 관련된 법적 윤리적 문제를 최소화하는 정책을 마련한다.

오픈 연구데이터 정책 동향 및 국내 현황 (Open Research Data Policy Trends and Domestic Status)

  • 최명석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년도 제2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97-97
    • /
    • 2017
  • 최근 연구 환경과 연구 패러다임이 데이터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공공 연구성과의 개방과 공유에 기반한 오픈 사이언스(Open Science)가 과학 연구의 글로벌 어젠더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OECD는 오픈 사이언스를 정책의제로 채택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호주 등 세계 선진국에서는 공공자금이 투입된 연구과제로부터 생산된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쉬운 접근, 재사용을 통한 가치 창출을 위해 데이터 관리 계획(Data Management Plan)을 비롯한 오픈 연구데이터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연구데이터를 공유 활용하기 위한 법제도적 기반과 관련 인프라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오픈 연구데이터를 위한 세계 각국의 정책 동향을 소개한다. 그리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 22개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국내 20개 대학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데이터 생산, 관리, 활용 현황과 데이터 공유 활용을 위한 시사점과 개선방향을 살펴본다.

  • PDF

보안정책 서버의 경보 데이터 분석 모듈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lert Analyzer of Security Policy Server)

  • 문호성;김은희;신문선;류근호;장종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59-62
    • /
    • 2002
  • 최근 네트워크 구성이 복잡해짐에 따라 정책기반의 네트워크 관리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네트워크 보안관리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책기반의 네트워크 관리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보안정책 서버는 새로운 정책을 입력하거나 기존의 정책을 수정, 삭제하는 기능과 보안정책 결정 요구 발생시 정책결정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보안정책 실행시스템에서 보내온 경보 메시지에 대한 분석 및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정책기반 네트워크 보안관리 프레임워크의 구조 중에서 보안정책 서버의 효율적인 보안정책 수림 및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경보데이터 관리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그리고 경보 데이터 저장과 분석을 위해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하고 저장된 경보데이터를 분석하는 모듈을 구현한다. 또한 불량사용자나 호스트의 관리를 위하여 블랙 리스트 매니져를 구현하며 블랙리스트 매니져는 위험한 불량사용자와 호스트를 탐지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현된 경보 관리기나 고수준 분석기는 효율적인 보안정책관리를 지원하게 된다.

  • PDF

보안정책 서버의 경보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엔진의 구현 (Implementation of Data Mining Engine for Analyzing Alert Data of Security Policy Server)

  • 정경자;신문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41-149
    • /
    • 2002
  • 최근 네트워크 구성이 복잡해짐에 따라 정책기반의 네트워크 관리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네트워크 보안관리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책기반의 네트워크 관리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보안정책 서버는 새로운 정책을 입력하거나 기존의 정책을 수정, 삭제하는 기능과 보안정책 결정 요구 발생시 정책결정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보안정책 실행시스템에서 보내온 경보 메시지에 대한 분석 및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정책기반 네트워크 보안관리 프레임워크의 구조 중에서 보안정책 서버의 효율적인 보안정책 수립 및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경보데이터 관리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경보 데이터 관리기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경보 관리기나 고수준 분석기가 효율적으로 경보데이터를 분석하고 능동적인 보안정책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전자기록관리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designing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 이승억;설문원
    • 기록학연구
    • /
    • 제52호
    • /
    • pp.5-37
    • /
    • 2017
  • 이 연구는 기록관리의 내외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전자기록관리정책이 전면 재설계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재설계 영역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 그간의 전자기록관리정책조사를 통해 전자기록관리대상의 포괄성, 프로세스의 기술 친화성, 전자기록의 증거력 보장, 전자기록의 장기보존이 주요 추진목표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그러한 정책목표 추구과정에서 새롭게 조성되고 있는 환경 변화를 검토하였다. 셋째, 앞에서 정리한 정책목표와 기록관리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현행 전자기록관리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국가기록원의 관련 문서와 보고서, 데이터를 토대로 검토하였다. 넷째, 정책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재설계되어야할 정책 영역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특히 '데이터형 전자기록'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전자기록을 핵심 관리대상으로 설정할 것을 강조하면서 정책 재설계 영역을 관리 패러다임의 전환, 절차적 관점에서의 신뢰 보장, 지속가능한 관리체계의 조성으로 잡고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U-헬스케어를 위한 무선 매쉬 네트워크에서 고 신뢰성 있는 응급 생체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정책기반의 신원 인증 및 전송 구조 (Policy-Based Identity Authentication and Transmission Architecture for Highly Reliable Emergency Bio-Data Management in Wireless Mesh Network for U-Healthcare)

  • 천승만;우연경;박종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0호
    • /
    • pp.21-2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U-헬스케어를 위한 무선 매쉬 네트워크에서 고 신뢰성 있는 응급 생체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정책기반의 신원 인증 및 전송 구조를 제시한다. U-헬스케어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모니터링 되는 응급 생체 데이터는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고 신뢰성 있는 생체 데이터 관리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 관리가 요구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측정된 생체 데이터의 신원 인증 기술과 인증된 생체 데이터의 개인 맞춤형 응급 상태 진단 기술, 응급 데이터 전송 기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선 매쉬 네트워크 환경에서 IEEE 11073 PHD를 확장한 정책기반 신원 인증 관리 구조 및 프로토콜, 고 신뢰성 있는 관리를 위한 정책 기반 응급 데이터 관리 구조,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매쉬 네트워크 기반의 Resilient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방안 (A Study on Managing Dataset Records in Government Information Systems)

  • 왕호성;설문원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47
    • /
    • 2017
  • 최근 조사에 의하면 공공기관이 사용하고 있는 전체 행정정보시스템의 수는 18,000여 종이 넘는다.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은 모든 행정정보 데이터세트를 기록이라고 선언하고 있지만, 현행 전자기록관리정책으로 데이터세트 기록을 관리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논문은 데이터세트 기록을 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세트 기록의 진본성은 기록의 내용, 구조, 맥락뿐 아니라 외형과 기능을 함께 보존함으로써 확보되며, 데이터세트를 전자객체가 아니라 전자기록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재현성이 전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데이터세트 기록의 재현 및 장기보존 전략으로서 에뮬레이션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 모형과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IP 이동 망에서 종단 사용자를 위한 QoS 정책 관리 구조 (QoS Policy Management Architecture for End-Users in Distributed Network)

  • 김진석;장경아;김태윤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3)
    • /
    • pp.661-663
    • /
    • 2001
  •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통한 사용자의 급속한 증가는 이동 단말의 증가 및 멀티미디어 응용이 가능한 이동 장치의 성능 증가, 높은 데이터율의 무선 액세스 기술 등 다양한 환경을 변화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IP 이동망에서의 종단 사용자(End-User)의 서비스 보장을 위해 QoS(Quality of Service) 제어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QoS 정책 관리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구조는 유선과 IP 이동망과의 복합적인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정책 기반 통합 지원 구조로 구성되며, 해당 자원에 대한 서비스를 구분하여 사용자 정책을 관리하며, 팀 이동망을 고려하여 단위 네트워크의 QoS 관리 서버를 중하여 종단 사용자의 QoS 정책을 관리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구조는 종단 사용자 정책을 관리하는데 있어 응용 서비스 고유의 특성을 보장하며 사용자 정책에 따른 서비스 자원을 통함 관리할 수 있다.

  • PDF

국가 차원의 연구데이터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로드맵 제안 - 영국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Developing a Roadmap for National Research Data Management Govern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United Kingdom's Case)

  • 심원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5-378
    • /
    • 2015
  • 최근 미국, 영국, 호주 등의 국가에서는 국가 연구비 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된 연구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를 시행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구체적인 관련 정책이 부재하다. 또한 연구데이터의 공유 및 보존을 지원하는 관련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아 막대한 국가 R&D 예산이 투입되어 생산된 연구데이터가 관리되지 않고 유실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데이터의 수집, 관리 및 공유는 전통적인 성과관리상의 필요를 넘어 연구성과의 확산 및 경제발전의 견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데이터의 공개는 연구수행에 있어서 연구윤리가 당연히 지켜져야 하는 것과 같으며 데이터 공개를 통해 보다 윤리적이고 효과적인 연구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개별 정책 차원에서 연구데이터의 공유 현황이 조사되었던 것에 반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어떤 정책이나 도구를 통해 연구데이터가 수집되고 공유되고 있는지를 사례조사의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영국의 경우 연구데이터의 공유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의 공통 원칙과 더불어 학문분야별로 다양한 정책 및 시행 방법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교적 넓은 폭의 정책수단에 대한 장단점 분석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영국의 연구데이터 공개와 관련된 법률적 기반을 살펴보고 국가연구비 지원기관인 RCUK(Research Councils UK) 산하 7개 연구비 지원기관과 산하 데이터센터, 그리고 관련 지원 기관의 기능을 중심으로 정책과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국가 차원에서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공유체계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