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데이타 모델

검색결과 730건 처리시간 0.029초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 체계의 보안성 질의 관리 (Secure Queury Management for Object-Oriented Database Systems)

  • 최용구;문송천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5-56
    • /
    • 1996
  • 본 논문의 목적은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object-oriented database : OODB)의 보안성 확보를 위하여 OODB에 관련된 보안 모델과, 질의 처리시에 보안성 확보를 위한 참조제약 규칙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철학은 데이타베이스 모델의 제약사항을 최소화여 융통성을 최대한으로 확보하고, 이들의 보안성 보장은 질의 처리시에 담당하게 함으로서 풍부한 데이타 객체 모델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낙관적인 보안성 확보를 통하여 융통성 있는 질의처리를 도모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실세계의 모든 개체의 특징과 행위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추상화 단위로 정의되는 객체를 기밀성에 따라 비밀등급으로 보안 분류하여 보관된 다단계 보안 객체의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대부분 기존의 보안성 연구의 대상은 수동적인 데이타(passive data)이라면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는 능동적인 객체(active object)가 보안성 연구의 대상이 된다.

  • PDF

객체그룹화에 기반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설계 (The Desig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Object Grouping)

  • 강신봉;주인학;최윤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5-54
    • /
    • 1995
  • 관계 데이타모델은 관계(relations)의 수학적인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잘 정형화되어 있으며 실용분야에서 많은 검토가 되었으나, 대부분의 지리객체의 특징인 복합 계층구조를 표현하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에 객체지향 데이터모델은 복합 계충구조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었으나, 현재 대부분의 상용 GIS시스템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관계데이타모델과의 데이타 공유가 어려우며, 표준화된 구조(format)의 표준 질의어가 정립되어 있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RDBMS를 기반으로 하여 기존의 관계 데이타모델의 데이타를 사용할 수 있으면서 객체지향 데이타모델의 각종 개념을 지원할 수 있는 객체그룹화(Object Grouping)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OQL/Geo : 지리 정보 시스템을 위한 객체지향 공간 질의어 (OQL/Geo : An object- oriented spatial query language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김양희;김명선;권석형;정창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91-204
    • /
    • 1995
  • 데이타 모델(data model)이란 실세계에 대한 공간 및 비공간적 특성(feature)을 추상화한 시스템 모델이다. 각 시스템들을 고유한 데이타 모델을 통해 외부 세계에 대한 내부 표현및 외부 세계와의 접속관계에 대한 틀(framework)을 정의하게 되며, 공간 질의어는 지리 정보시스템에서 정의하고 있는 외부 세계화의 접속 관계를 우한 효과적인 틀의 하나이다. 기존의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는 관계형 데이타 모델에 기반한 공간 데이타 모델들이 주로 사용되었으므로 데이타 추상화(abstraction)및 상속 (inheritance)을 통한 복합 객체의 표현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ODMG의 객체 모델을 기반으로 평면 위상 모델 (planar topological model)을 수용하여 객체지향 데이타 모델인 위상 객체 모델(Topological Object Model : TOM)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객체지향 공간 질의어인 OQL/Geo을 설계하였다. OQL/Geo은 ODMG에 의해 개발된 질의어인 OQL을 기반으로 하여 위상 객체 모델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으며, 기하연산, 위상연산및 가시연산등의 풍부한 연산자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복잡한 공간 분석에 대한 요구 뿐 아니라 질의 결과에 대한 출력 형식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FDDI 음성/데이타 집적 전송에서의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for the Integrated Voice/Data Transmission with FDDI)

  • 홍성식;박호균;이재광;류황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77-287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음성 트래픽을 동기 모드로, 데이타 트래픽을 비동기 모드로 집적시켜 전송하는 FDDI 통신망에 대하여 수학적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성능을 분석 한다. 음성과 데이타의 평균 패킷 대기 시간을 구하기 위하여, 음성은 Marcov 모델에서 발음 부분과 묵음 부분이 교대로 나타나는 모델로 하며, 데이타는 TRT와 TTRT의 차이 시간동안 전송하는 모델로 하는 경우, 음성과 데이타의 패킷 대기 시간을 구하여 동기모드와 비동기 모드 사이의 전송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동기/ 비동기 집적 방식으로 음성과 데이타를 집적하여 전송하여도 음성 채널 용량의 제약없이 데이타를 집적 시킬 수 있었으며, 데이타 전송도 작은 대기 시간내에 신속하게 전송할 수가 있었다.

  • PDF

스트림 데이타 예측을 위한 슬라이딩 윈도우 기반 점진적 회귀분석 (Incremental Regression based on a Sliding Window for Stream Data Prediction)

  • 김성현;김룡;류근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4권6호
    • /
    • pp.483-492
    • /
    • 2007
  • 최근 센서 네트워크의 발달로 실세계의 많은 데이타가 시간 속성을 갖고 실시간으로 수집되고 있다. 기존의 시계열 데이타 예측 기법은 모델 갱신 없이 예측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스트림 데이타는 매우 빠르게 수집이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데이타의 특성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시계열 예측 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와 점진적인 회귀분석을 이용한 스트림 데이타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스트림 데이타를 다중 회귀 모델에 입력하기 위해 차원 분열을 통해 여러 개의 속성으로 분열(Fractal)하고, 변화되는 데이타의 분포를 반영하기 위해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을 사용하여 점진적으로 회귀 모델을 갱신한다. 또한 고정 크기 큐를 이용하여 최근의 데이타로만 모델을 유지한다. 이전 데이타의 유지 없이 최소 정보를 갖는 행렬을 통해 모델을 갱신하므로 낮은 공간 복잡도를 갖고 점진적으로 모델을 갱신함으로써 에러율의 증가를 방지한다. 제안된 기법의 타당성은 RME(Relative Mean Error)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실험 결과 다른 기법에 비해 우수하였다.

웹 데이타베이스에서 하이퍼텍스트 모델 확장 및 데이타베이스 게이트웨이의 동적 서버 할당 (Hypertext Model Extension and Dynamic Server Allocation for Database Gateway in Web Database Systems)

  • 신판섭;김성완;임해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7권2호
    • /
    • pp.227-237
    • /
    • 2000
  • 웹 데이타베이스는 웹 환경에서 하이퍼텍스트 모델을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처리를 위한 부가적인 구조와 관계형 또는 객체지향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접목하여 구축하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타베이스 응용 시스템이다. 그러나 기존의 하이퍼텍스트 모델링 기법과 DBMS 통로 형태로는 웹 서비스 고급화에 필수적인 다양한 표현능력과 DBMS 연동과정에서의 병목발생으로 인한 동시성 기능이 제한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텍스트 모델링 측면에서 암시적 질의 수행 기능을 지원하고 동적으로 생성되는 항해 모델과 가상 그래프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항해 유형 분류를 통해 노드와 링크의 생성 규칙을 유도하고 제안된 모델과 웹 데이타베이스 시스템 후위에 위치하는 관계형 모델과의 상호 사상기법을 연구한다. 그리고 데이타베이스 통로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중치를 기반으로 질의처리 서버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하여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개선하고, 제안된 기법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잡도를 갖는 동시 질의 요구에 적합함을 보인다.

  • PDF

VLSI /CAD 소프트웨어의 데이타 관리를 위한 계층적 인터페이스 시스템 (Hierarchy Interface System for a Data Management of VLSI/CAD Software)

  • 안성욱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15-121
    • /
    • 1995
  • 기존의 상업용 데이타베이스 시스템들은 복잡한 오브젝트 들의 계층 구조에 의존하며 방대한 양의 데이타를 반복적으로 접근하는 CAD 데이타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지 못하여 CAD 데이타베이스의 중요성과 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CAD 데이타베이스의 효율적인 관리와 설계 도구들의 통합을 위한 좋은 환경을제공하기 위하여, 계층적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의 구현을 위해 CAD 데이타베이스의 특성을 고려한 GROCO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배치기와 변환기의 두 개의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된 계층적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CAD 데이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빠른 실용화를 위해 기존의 상업용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CAD 도구들을 인터페이스 시키는시스템으로 개발되어 실제 CAD 도구들에 적용하고자 한다. GROCO 모델은 데이타의 의미들을 나타내기 위한 5개의 노드 타입들이 연결되어 방향 주기 그래프를 구성하고 있다. 이 모델은 이질적인 데이타들의 다양한 형태의 모임으로 구성된 복잡한 오브젝트들의 계층구조에 의해 이루어진 CAD 데이타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

  • PDF

동적 프레디킷 : 허포크라테스 XML 데이타베이스를 위한 효율적인 액세스 통제 방법 (Dynamic Predicate: An Efficient Access Control Mechanism for Hippocratic XML Databases)

  • 이재길;한욱신;황규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5호
    • /
    • pp.473-486
    • /
    • 2005
  • 최근에 Agrawal 등이 제안한 히포크라테스 데이타베이스는 관계형 데이타베이스에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을 추가한 데이타베이스 모델이다. 본 논문의 저자들은 히포크라테스 데이타베이스 모델을 XML 데이타베이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한 히포크라테스 XML 데이타베이스 모델[4]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프레디킷(dynamic predicate)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고, 히포크라테스 XML 데이타베이스 모델에서의 액세스 통제에 이 개념을 적용한다. 동적 프레디킷은 권한에 의해 액세스가 허용되는지를 결정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 질의 처리 도중에 동적으로 생성되는 조건을 나타낸다. 동적 프레디킷은 권한 검사를 질의 계획에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액세스가 허용되지 않은 엘리먼트들이 질의 처리 과정에서 일찍 제외될 수 있게 해준다. 합성 데이타와 실제 데이타를 사용하여 기존의 액세스 통제 방법과 질의 처리 시간을 비교하는 다양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액세스 통제 방법은 하향식 액세스 통제 방법에 비하여 최대 219배, 상향식 액세스 통제 방법에 비하여 최대 499배 성능을 향상시킴을 보였다. 본 논문의 주요 공헌은 히포크라테스 XML 데이타베이스 모델 상에서 동적 프레디킷을 사용하여 액세스 통제 방법을 질의 계획에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Retrieval a System)

  • 노승민;황인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5호
    • /
    • pp.494-506
    • /
    • 2003
  • 최근 들어 멀티미디어 정보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멀티미디어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오디오나 비디오, 이미지 둥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찾아내는 멀티미디어 검색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주석 및 내용 기반 검색 기법을 상호 보완하고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타 검색을 지원하는 XML 기반의 새로운 검색 기법과 이를 위한 데이타 모델을 제시한다. 이미지 및 비디오에 대한 데이타 모델은 MPEG-7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기술 구조(MDS)와 기술 정의 언어인 XML Schema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특성 및 계층구조를 표현하였고 오디오 데이타의 경우 음향 특징들로부터 추출된 음높이를 분석하여 UDR 스트링으로 변환하고 자주 검색된 멜로디의 관리를 통해 검색 성능을 향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모델을 기반으로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성능 평가를 하였다.

XML Schema기반 시맨틱 데이타 통합 (An XML Schema-based Semantic Data Integration)

  • 김동광;정갑주;신효섭;황선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9호
    • /
    • pp.563-573
    • /
    • 2006
  • 과학 공학 분야의 사이버 인프라스트럭쳐는 다양한 도메인에서 수행되는 연구 활동을 통해서 얻어지는 다양한 형식의 데이타들뿐만 아니라 이런 데이타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이질적인 저장소들의 통합이 요구되고 있다. 데이타 통합 작업의 어려움은 다음과 같다: (1) 시스템 독립적인 다중 데이타 스키마 지원, (2) 다양하게 변화하는 스키마들의 쉬운 관리, (3) 직관적인 스키마 맵핑.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XML Schema를 이용해서 과학 분야의 데이타 모델을 정의하고 RDF기반의 스키마 맵핑을 이용해서 의미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XML Schema기반의 데이타 모델 정의 방법은 실험 데이타들을 과학자들이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표현 할 수 있게 해주며, 이 데이타 모델은 많은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XML DBMS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키마 맵핑을 위해서 RDF로 구축된 온톨로지를 이용해서 XML Schema로 정의되어 있는 스키마의 구조적인 관계를 정의하고, 맵핑 정보를 이용해서 통합 질의를 수행한다. 우리는 제안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토목 공학 분야 프로젝트인 KOCED에 적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