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데리다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9초

데리다(Jacques Derrida)의 동물 타자 시선에서 본 현대 형상 예술 표현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dern Shape Art Expression with an Animal Third Perspective of Jacques Derrida)

  • 이희영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0호
    • /
    • pp.299-325
    • /
    • 2018
  • 인류는 오랜 역사에 걸쳐 타자를 만들어내고 그들을 차별, 배제해왔다. '우리'와 '타자'를 구분하는 현대사회의 대립 구조에 대해 데리다(Jacques Derrida)는 그만의 시적 사유를 통해 동물 타자를 향한 인간 존재의 깊은 성찰을 질문한다. 본 논문은 데리다의 "동물, 그러니까 나인 동물(The Animal That Therefore I Am)"을 중심으로 동물 타자의 확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자는 오늘날 동물을 바라보는 현대인의 시선을 통해 '인간-외-동물'의 지위에 관한 메시지를 던지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작품에 등장하는 반려동물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인간-외-동물'의 지위에 관한 고찰을 통해 앞으로 우리 사회가 추구해 나가야 할 공생, 공진화의 길에 대한 방식을 제안하고자한다. 데리다는 샤워 후 밖으로 나온 고양이의 집요한 응시 앞에 느꼈던 '수치심'이라는 정념을 통해 동물 타자를 우리에게 불러내고 그리하여 타자의 영역에서 배제되어왔던 기존 담론의 관행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 수치심이라는 정념은 인간만이 느낄 수 있는데, 여기서 데리다는 이 수치심을 통해 비로소 '인간'이 되는 경험을 한다고 이야기한다. 이에 연구자는 '인간이 되는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문화 속의 인간과 자연 속의 동물의 역설을 '발가벗음'의 양가성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모색은 '우리' 공동체의 바깥에 있는 자는 고통 받아도 괜찮은 집단으로 여기는 종차별주의(Speciesism)를 비판하며 인간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동물 그 자체로 보려는 시도이다. 오늘날 동물 타자의 위치를 도나 해러웨이(Donna Haraway)의 이론 및 제인구달(Jane Goodall), 수잔 손택(Susan Sontag)의 철학을 통해 바람직한 인간과 동물의 관계, 동물에서 인간으로 인간에서 동물로 향하는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데리다의 동물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통해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 논문이 새로운 텍스트로 거듭나 인간중심적 사고의 경직을 완화하고 기존의 이분법적 사유를 탈피하여 인간과 동물 사이의 수평적, 횡단적 관계 시도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역설, 불가능성 혹은 넘침 - 모스, 데리다, 리쾨르의 선물론 - (Paradox, Impossibility or Superabundance - Theories of Gift of Mauss, Derrida and Ricœur)

  • 변광배
    • 비교문화연구
    • /
    • 제52권
    • /
    • pp.1-29
    • /
    • 2018
  • '선물'은 서양 문화의 이해에서 핵심적인 코드 중 하나이다. 이 글에서는 선물에 대한 연구에서 혁혁한 업적을 남긴 모스, 데리다, 리쾨르의 선물론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선물 자체에 대한 이해와 이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용서' 개념의 이해를 위한 초석을 놓고자 한다. 모스에 따르면 선물은 없다. 선물은 주는 것, 받는 것, 갚는 것이라는 세 가지 의무의 지배를 받는 경제적 교환으로 이해된다. 다만 모스는 주는 것이 의무라는 점에 주목하면서 도덕 정립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데리다는 이론적으로 선물 이해의 폭을 최대한 확장시키고 있다. '시간'이라는 요소에 주목하면서 선물은 찰나적으로만 존재하고, 시간이 지나면 결국 경제적 교환이 되고 만다는 점, 곧 선물의 아포리아를 지적한다. 리쾨르는 선물 개념에 적용되는 등가성의 논리와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정의'를 벗어나 넘침의 논리에 입각한 '사랑'과 '초윤리' 정립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리쾨르는 또한 이런 선물 개념을 토대로 '용서' 개념을 제시함으로써 다수의 인간들이 살아가고 있는 이 세상에서 윤리가 힘을 얻고, 도덕과 인간성이 회복되는 사회를 지향하는 기획에의 동참을 촉구하고 있다.

히로미 후지이 건축에 나타난 중층(重層)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layered Space in the Architecture of Hiromi Fujii)

  • 배윤천;이강업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56-6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layered space utilized as strategy for deconstruction in the architecture of Hiromi Fujii. Although the design of Eisenman and Fujii was based on the philosophical theory of Jacques Derrida, there are many different aspects of architecture. At the same time, Hiromi Fujii could construct his concept of multi-layered space to colligate the academic knowledge of Jacques Derrida, Roman Jakobson and Colin Rowe. This kind of concept for multi-layered space is a critical element to be distinct from the characters between two architects, and it is implied such as an significant concept to analyze the architecture for Hiromi Fujii. This multi-layered space contains interesting and researchable value to understand and to analyze the western architecture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Asian architec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find the meaning to establish an theoretical foundation for being under discussion to the architecture of Fujii through the concept of multi-layered space.

현대 니트패션에 나타난 해체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 expressed in the contemporary knit fashion)

  • 이윤미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4호
    • /
    • pp.583-59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analyze the deconstruction phenomena expressed in contemporary knit fashion design, and to analyze the inner meaning of deconstruction based on certain characteristics. As a method of study, literature data for theoretical backgrounds, prior studies, and internet data were analyzed. The scope of this study was restricted to knitwear published in the world's four major collections (Milan, Paris, New York and London) from 2014 F/W to 2018 S/S. Based on prior studies, four concepts of deconstruction were derived: "$Diff{\acute{e}}reance$", "Intertextuality", "Intermeaning of Meaning", "Dis De Phenomen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ff{\acute{e}}reance$" refers to a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These expressions are discursive, unrealistic, and convey freedom through intent that deviates from rules and norms. Second, "Intertextuality" indicates a mixture of different texts, such as styles, materials, and items. These expressions deliver novelty with amusement, and can be entertaining depending on audience expectations. Third, "Intermeaning of Meaning" is accidental category - depending on how the wearer wears the clothing. -; accordingly, free and spontaneous creativity is an emerging trend in fashion. Fourth, the clothing was expressed in deformed and distorted form by the construction and destruction of the structure, a technique we describe as the "Dis De Phenomenon". In this concept, the sense of free design of young emotion appears along with the sense of purity and shock due to intentional inconsistency.

한국영화 검열과 등급분류 제도 변천사에 담긴 비윤리성 탐구 (A Study on Immorality in the Transition of Film Censorship and Rating System in Korea)

  • 정수진
    • 트랜스-
    • /
    • 제2권
    • /
    • pp.39-58
    • /
    • 2017
  • 본 소논문은 자크 데리다의 법과 윤리에 대한 철학들을 바탕으로 정부 검열 시스템에 담긴 한국 영화 정책을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군사독재 시대 이후 우리나라의 영화 정책은 독재 정권의 프로파간디를 널리 알리고, 사회 통합과 안정을 내세우며 국가적 목표에 부합한 작품을 보호하는 데에 중점을 맞춰왔다. 그리하여 모든 영화 관련 정책은 정부의 엄격한 통제와 감시 안에 존재했다. 그러한 정책은 단순히 영화 선택의 자유만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창작의 영역까지 침범한다. 자크 데리다는 정의와 폭력과 법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제기를 해왔다. 데리다의 주장들은 윤리적 고찰과 연결되어 있다. 이 소노문은 데리다의 관점에서 한국 정부의 영화 검열 정책에 담긴 폭력성을 짚어보고 윤리적 검열정책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 PDF

해체주의(Deconstructionism) 경향의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ypography Style by Deconstructionism)

  • 신청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85-196
    • /
    • 1999
  • 문학, 건축 순수미술, 영화 산업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마치고 있는 해체주의(Deconstruction)는 디자인 분야에도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고 그 보여지는 모습도 매우 광범위하며 표현에 있어서도 많은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해체주의 디자인은 포스트 모던한 상황과 다원화된 후기 산업사회, 데리다(J. Derrida)의 해체 이론과의 관계성을 통해 접근하고 있다. 특히 기호와 텍스트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타이포그래피와 시각 디자인 분야는 해체 철학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철학적 영향을 받고 있는 해체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해체 철학이 타이포그래피에 실제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 PDF

헤겔의 공공적 자유 이론과 현대적 공공철학의 가능성 (Hegel's theory of public freedom and a possibility of modern public philosophy)

  • 나종석
    • 철학연구
    • /
    • 제123권
    • /
    • pp.111-134
    • /
    • 2012
  • 이 글은 헤겔 정치철학의 근본적 통찰을 '공공적(public) 자유 이론과 공공철학(public philosophy)'이라는 관점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헤겔의 자유이론을 공공적 자유를 지향하는 것으로 이해하면서 이런 자유이론의 현재적 의미를 드러내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 헤겔의 공공철학에 대한 해석을 통해 비판하고자 하는 대상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원자론적 개인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레비나스(Levinas) 및 데리다(Derrida)가 옹호하는 절대적 타자이론이다. 달리 말하자면 이 글에서 필자는 헤겔의 공공적 자율성 이론이 원자론적 개인주의의 한계를 분명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레비나스-데리다적인 접근방식과 구별되는 타자(other)에 관한 이중적-복합적 이론을 포함하는 주체이론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프로이트와 데리다의 애도이론 -"나는 애도한다 따라서 나는 존재한다." (Freud's and Derrida's Theories of Mourning: "I Mourn Therefore I Am")

  • 왕철
    • 영어영문학
    • /
    • 제58권4호
    • /
    • pp.783-807
    • /
    • 2012
  •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Freud's "work of mourning" which mostly appears in his memorable essay "Mourning and Melancholia" and Derrida's theory of mourning which appears in various works such as MEMOIRES for Paul de Man, The Work of Mourning, and others. Freud maintains that the mourner begins to sever emotional ties to the lost object through a labor of memory and eventually completes the work of mourning. It is a "testing of reality" that motivates the mourner to begin to relinquish emotional attachment to the lost object. Derrida, however, challenges Freudian work of mourning by saying that true mourning lies in "respecting the Otherness of the Other." Derrida suggests that Freud's "normal work of mourning" is "unjust betrayal" of the lost object because it "kills" and "devours" the other and thereby makes it part of the self. So he proposes that work of mourning has "to fail in order to succeed": "success fails" and "failure succeeds." There is an enormous, even epistemological, chasm between Freud who states that mourning, "however painful it may be, comes to a spontaneous end" and Derrida who states that "mourning is interminable. Inconsolable. Irreconcilable." and "I mourn Therefore I am." The former is the voice of "testing of reality" and common sense whereas the latter is that of utopian ethical vision. Yet neither seems to get the upper hand and they are kind of forced to maintain an ongoing dialogue with each other, for true mourning seems to lie somewhere in betw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