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댐 수위

Search Result 61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Rating Curve of Goan Station for Calibration of Discharge of Paldang Dam (팔당댐 방류량 검정을 위한 고안지점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작성)

  • 서규우;허준행
    • Water for future
    • /
    • v.28 no.6
    • /
    • pp.169-181
    • /
    • 1995
  • No correction has been made for the rating curve of Goan Station since 1986 even though there has been a severe bed degradation until now. Furthermore, it was informed to Han River Flood Control Center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discharge released from Paldang dam and the discharge observed at Goan station during 1990 flood. By considering such river bed changes, hydraulic model experiment with 1/100 scale was performed for the range of 2.2 km, which covers from Paldang dam to the downstream of Goan station. From this experiment, the rating curve was obtained by considering the discharges from Paldang dam and the corresponding water levels at Goan station. Also, the exsitingand the proposed rating curves were compared with those by computational method of RMA-2V.

  • PDF

Development of Float Water Level Meter Portable Calibration System (부자식 수위계 이동형 교정시스템 개발)

  • Hong, Sung-taek;Kim, Il-han;Choi, Jong-woong;Shin, G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411-414
    • /
    • 2016
  • K-water institute is a calibration and test institute accredited by international standard calibration center for water-level meters. Due to the absence of on-site calibration system and procedure for Float Water Level Meter, the calibration was performed only in the standard calibration laboratory. In this study, mobile calibration system and procedure were developed to calibrate Float Water Level Meter on site using scale bar and camera. It is possible to obtain reliable water-level data and achieve consistent data management.

  • PDF

Controlling Gates of Dams by a Dynamic Fuzzy Inference Method (동적 퍼지 추론 기법을 이용한 댐 수문 제어)

  • Moon, Tae-Hoon;Kim, Min-Suk;Kim, Kwang-Baek;Woo, Young-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317-320
    • /
    • 2008
  • 댐의 수문 제어는 유입량이 변하는 동안 이루어지는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제어이다. 이 논문에서는 퍼지 기법을 이용하여 유입량이 변하는 동안의 수문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단순히 수문 제어에만 머물지 않고 가뭄 때를 대비하여 적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보완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적인 퍼지 함수를 이용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함수 값이 변하는 동적 퍼지 추론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실험을 실시한 결과 수문 제어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지정한 적정 수위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Example Of Gunwi-Dam Small Hydro Power's Improvement On Construction and Operation (군위댐 소수력발전기 시공 및 운영개선 사례)

  • Jung, Pil-Seung;Seo, Su-Sang;Min, Hun-Jin;Kim, Chang-Bu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44-1345
    • /
    • 2011
  • 경북 군위군 고로면에 위치한 저수용량 48,000천톤의 군위 다목적댐에 설치된 소수력발전기에 대한 설치공사 중 수차 설계도면 해석오류에 의한 Guide Vane(이하 G/V로 함.) 과다개방으로 인한 설비고장 및 개선사례, 년 중 댐 수위 변동을 감안한 정격수위와 저수위 시의 수차효율 시험을 통한 댐 수위별 최적의 발전설비 운영방안을 검토하여 저탄소 녹색에너지원인 군위다목적댐 소수력의 발전수익 증대를 도모하였다.

  • PDF

Analysis of river water level and flow behavior according to inflow, outflow, and rainfall : For Ungcheoncheon (유입·유출·강우에 따른 하천 수위·유량 거동 분석 : 웅천천을 대상으로)

  • Yongje Park;Seonghun Kim;Chaehyeon Kim;Seungho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0-260
    • /
    • 2023
  • 일반적으로 수위·유량 거동은 시간에 따른 수위·유량의 변화량으로 분석이 가능하며, 이를 토대로 연간, 특정 기간의 수위·유량을 분석 및 예측하여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재해 예방에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위·유량의 거동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며, 대부분의 경우 해당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산재하여 각 요인의 영향이 중첩되어 수위 거동을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웅천천 보령시(노천교) 지점을 대상으로 강우, 유출, 유입에 따른 수위·유량의 거동분석을 실시하였다. 보령시(노천교) 지점은 다양한 외부 요인들이 존재하며, 각 요인이 비교적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가정을 하여 지점의 수위·유량의 요인별 거동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금강홍수통제소에서 제공되는 보령시(노천교) 10분 수위 자료와 일 강수량을 비교하여 강우에 따른 수위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후 보령시(노천교) 10분 수위 자료를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에서 개발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해 10분 단위 유량으로 환산하고, 이를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제공하는 보령댐 10분 단위 총방류량 자료 중 하천 방류량(소수력, 관개(몽리), 하천유지, 등)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추출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하천의 기저유량은 방류량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강우량에 따른 수위상승은 비교적 직접적인 요인으로 일어났다. 1순위 수위(2.52m)는 강우에 의해 영향을 받고, 2순위 수위(2.24m)는 방류량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4~5월 기간에는 기저수위 이하로 떨어지는데, 이는 농업용수 취수의 영향으로 기저수위 이하의 수위거동을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하천수위 거동을 요인별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향후 물수지적 관점으로의 추가분석이나 강우에 따른 댐 방류량 조절을 수위로 치환해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Effect of the Yeongcheon Dam Waterway Tunnel, Korea, on Local Groundwater Levels (영천댐 도수터널 주변지역 지하수위 영향 분석)

  • Gyu-Han Kim;Seong-Woo Moon;Yong-Seok Se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3 no.3
    • /
    • pp.461-474
    • /
    • 2023
  •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Hyeonseo-myeon and Andeok-myeon of Cheongsong-gun, Korea around the Yeongcheon dam waterway tunnel, and in this paper, it is analyzed whether the groundwater level is recovered or not compared to groundwater level before waterway tunnel construction by measuring the groundwater level of 156 wells which were installed in areas near and away from the waterway tunnel. From September 2017 to August 2018, the groundwater level of the well was measured at least once a month, and as a result of groundwater level observation survey, the groundwater level of wells distributed in the directly affected zone by the waterway tunnel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indirectly affected zone apart from the waterway tunnel. These results are estimated to be predominantly affected by the effect of waterway tunnel acting on geologic discontinuities rather than by terrain conditions, i.e. groundwater flows being leaked to the waterway tunnel through direct or indirect channels. Continuous monitoring and further investigation will be required to maintain groundwater facilities and preserve groundwater environments in the future.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s from a Multi-purpose Dam Watershed Using SWAT Model (SWAT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가 다목적 댐 유역에 미치는 영향 평가)

  • Ha, Rim;Jeong, Hyeon-Gyo;Park, Jong-Yoo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21-42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다목적 댐 유역의 방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 대상 유역은 북동부 산악지역에 위치한 충주댐 및 충주조정지댐을 유역 출구로 하는 다목적댐유역(충주댐 유역: $8360km^2$)이다. 모형유역의 32개 AWS와 10개 기상관측소의 강우 및 기상자료를 입력 하였으며, 모형의 검보정을 위해 댐 상 하류 4개 지점(영월1, 영월2, 충주댐, 충주조정지댐) 수위, 방류량 측정자료를 이용하였다. 미래 기후변화가 댐유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하여 IPCC (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공하는 SRES (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s) MIROC3.2 hires 모델 AIB와 B1 시나리오를 사용하였으며, LARS-WG (Long Ashton Research Station Weather Generator)를 사용하여 유역 규모의 기후자료를 상세화 하였다. 모형의 결과를 토대로 미래 2040s(2020년-2059년)와 2080s(2060년-2099년)의 환경유지유량을 추정하고, 미래 댐 유입량과 수위 관리의 시계열 변화를 예측하여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Flood Inflow Estimation of Hwang-gang Dam in North Korean Border Area using Remote Sensing Information and Parameter Regionalization (원격탐사정보와 매개변수 지역화를 통한 북한접경지 황강댐 유입량 추정)

  • Kim, Jin Gyeom;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51-551
    • /
    • 2016
  • 북한과의 대표적 공유하천인 임진강 유역은 유역의 2/3를 차지하고 있는 북한지역내에서 신뢰할만한 강우 및 수문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임진강 중류에는 북한에서 운영하는 황강댐의 예고없는 수문운영에 따라 수시로 하류 홍수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며, 이에 대비하여 우리나라에는 군남 홍수조절지를 건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임진강 상류에 대한 수문정보를 취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까운 수위관측소의 수위변화와 저류함수 모형 등을 이용하여 댐 운영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유역에서의 수문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레이다강우 등 원격탐사정보와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황강댐 유입량을 산정할 수 있는 수문모형을 구축하였다. 황강댐유역의 수문모형 실매개변수를 보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근 한탄강댐유역의 매개변수를 지역화를 통하여 전이하여 활용하였다. 산정된 수문곡선은 동시간대 한탄강댐 유입량의 면적비적용, 강수의 공간전이후 산정된 한탄강댐 유입량의 면적비적용등의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모의된 수문곡선과의 비교를 수행하여 본 기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군남홍수조절지 유입수문곡선과의 비교를 통하여 황강댐과 4월 5일댐의 수문운영현황 및 잔유역유입량을 역추정코자 하였다.

  • PDF

Empirical recommendation for planning the observation density of water level in a reservoir (Case study on Hwacheon Dam in Korea) (저수지 수위 관측밀도 제안: 화천댐 중심으로)

  • Hwang-Bo, Jong Gu;Hong, Jun Hy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0
    • /
    • pp.835-841
    • /
    • 2022
  • The water level of the dam reservoir is an important data in the operation of the dam. reservoir storage can be calculated by using water levels or prepared for disasters such as drought and floods. However, the water level is measured near the dam, making it difficult to represent a reservoir with a large area,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water surface will be distorted due to discharge.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is irregular rather than constant, and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is repeatedly falling and rising by section. In order to calculate such a complex and irregular representative water level, the water level observation density of the reservoir must be increased. In this study, we tried to derive the optimum water level observation density for Hwacheon Dam. A reasonable water level measurement density was derived by investigating the water level elevation of the reservoir and statistically analyzing it. The observation density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reservoir, so the sam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oesan Dam and Boseonggang Dam. According to the results, four Hwacheon dams, three Goesan dams, and seven Boseong River dams are needed for observation density.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by the construction of subsurface dam (지하댐 설치에 의한 수자원 개발량 평가)

  • Kim, Sang J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11
    • /
    • pp.795-802
    • /
    • 2017
  • This study shows the assessment methodology for the water resources of subsurface dams. The study area is SSangcheon subsurface dam. It is at the estuary of SSangcheon watershed forming the unconfined alluvial aquifer. there are several candidate area which are geologically similar to it at East coast. The groundwater level was computed by a 2-D FDM model, where the watershed discharge is the input as the infiltration term. The baseflow computed as the mean value of 3 watershed dischrge model is $0.5m^3/sec$. And considering the inflow near the baseflow as the dry season inflow, The groundwater level according to the change of inflow and pumping rate was computed. Specifically, Using the real pumping rate $28000m^3/day$ which is equal to the supply amount of drinking water to Sokcho city, The inflow which induce the descended groundwater level to the bottom of aquifer or the ascended groundwater level that cause the surface flow was eatimated. The simulation for increased pumping rate and additional well construction to increase the water resources, was executed. And at the extreme dry season, available pumping rate was estim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