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댐 상태평가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for Management Skill and Manures Treatment in Pig Farms (양돈농가의 경영관리 및 분뇨처리실태 분석)

  • Kim, Gye-Woong;In, Kwang-Kyo;Shin, Yeun-Ho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18 no.1
    • /
    • pp.35-44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management skill such as participation of consulting, vaccination program, financial projects, etc, and manures treatment system in pig farms. Data surveyed from a total of 100 farms including reproductive sow and fattening pi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Farmers participated in consulting education of 4.56 times per a year. Evaluation of vaccination program was 3.86 of 5 points. The control of hygiene and disinfection was evaluated with the average of 3.27 points. Financial management showed the low level with 2.82 points. And then, the level of technical skill on raising was evaluated with average of 3.21 points. 2. The fields of competitive strength in farms, first of all, were the disease disinfection and therapy for pigs (43.4%). Secondly, farmers answered the productive skill for environmental-friendly animal products (37.4%). 3. Collection systems of manures were mainly used the slurry system (44.0%), and scraper method (43.0%) in pig farms, respectively. 4. Manures collected from farms have been treated and utilized with form of land-return after organic matters resolution (32.3%).

Proposing a Technique for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Bayesian-GLS Regression (국내 지역 홍수빈도해석을 위한 기법 제안: Bayesian-GLS 회귀)

  • Jeong, Dae-Il;Stedinger, Jery R.;Kim, Young-Oh;Sung, J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41-245
    • /
    • 2007
  • 국내 홍수빈도 분포의 매개변수 추정에서 지점추정(at-site estimate) 방법은 유량 자료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표본오차(sampling error)가 크기 때문에 충분한 유량 자료를 보유한 지점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안으로 동질성을 가진 유역의 유량 자료를 모아 지역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지수홍수법(Index Flood Method)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질성이 큰 우리나라의 유역특성 때문에 적용이 쉽지 않다. Stedinger와 Tasker가 1986년 제안한 GLS(Generalized Least Square) 기법은 유역을 동질지역으로 구분할 필요가 없으며 지점들간의 상관관계와 이분산성을 고려할 수 있어, 국내 홍수빈도 해석을 위해서 꼭 도입해야할 기법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GLS 기법의 단점을 보완한 Bayesian-GLS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대유역에 골고루 위치하며 댐의 영향을 받지 않는 31개 지점의 연최대 일유량 시계열의 L-변동계수(L-moment coefficient variation)와 L-왜도계수(L-moment coefficient skewness)를 추정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제안하였다. 위 회귀모형을 구성하기 위한 유역특성으로는 유역면적, 유역경사, 유역평균강우 등을 사용하였다. Bayesian-GLS (B-GLS) 적용 결과를 OLS(Ordinary Least Square) 및 Bayesian-GLS 기법에서 지점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Bayesian-WLS(Weighted Least Square)와 비교 평가하여 그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B-GLS에 의한 지역회귀모형은 국내의 미계측유역이나 또는 관측 길이가 짧은 계측유역의 홍수빈도분석을 위해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년 홍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 인구밀도가 높고 1인당 가용 수자원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국지적 물 부족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최근 국제적으로도 농업용수의 물 낭비 최소화와 절약 노력 및 타 분야 물 수요 증대에 대한 대응 능력 제고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2006년 3월 멕시코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 물 포럼에서 국제 강 네트워크는 "세계 물 위기의 주범은 농경지", "농민들은 모든 물 위기 논의에서 핵심"이라고 주장하고, 전 프랑스 총리 미셀 로카르는 "...관개시설에 큰 문제점이 있고 덜 조방적 농업을 하도록 농민들을 설득해야 한다. 이는 전체 농경법을 바꾸는 문제..."(segye.com, 2006. 3. 19)라고 주장하는 등 세계 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관리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여건 및 정책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물 분쟁에 따른 갈등해소 전략 수립과 효율적인 물 배분 및 이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농업용수 수리권과 관련된 법 및 제도를 분석하였다.. 삼요소의 시용 시험결과 그 적량은 10a당 질소 10kg, 인산 5kg, 및 가리 6kg 정도였으며 질소는 8kg 이상의 경우에는 분시할수록 비효가 높았으며 특히 벼의 후기 중점시비에 의하여 1수영화수와 결실율의 증대가 크게 이루어졌다. 3. 파종기와 파종량에 관한 시험결과는 공시품종선단의 파종적기는 4월 25일부터 5월 10일경까지 인데 이 기간중 일찍 파종하는 경우에 파종적량은 10a당 약 8${\ell}$이고 늦은 경우에는 12${\ell}$ 정도였다. 여기서 늦게 파종한 경우 감수의 가장 큰 원인은 1수영화수가 적어지기 때문이었다. 4. 건답직파에 대한 담수상태로 관수를 시작하는 적기는 파종후

  • PDF

Is that possible to simulate daily runoff with one parameter? (하나 매개변수로 유출 모의 가능한가?)

  • Noh, Jaekyoung;An, Hyunuk;Lee, Jae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9-29
    • /
    • 2017
  • 유역의 물수지를 강수, 증발산, 토양수분저류, 유출 등 성분으로 구성하고, 토양수분저류 상태에 따라 증발산과 유출이 변화하는 식을 기본식으로 구성하였으며, 물수지를 개선하는 매개변수를 변수화하는 개념을 도입하여 다음 식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여기서, ETa는 실제증발산량, ETo는 잠재증발산량, Q는 유출량, S는 토양수분저류량이고, C1은 증발산, C2, ${\alpha}$는 유출반응, C3, C4는 매개변수 ${\alpha}$를 변수화시키는 데 관련한 매개변수이다. $$ETa(i)=(1-e^{-c1{\times}s(i)}){\times}ETo_{(i)}$$ $$Q_{(i)}=S_{(i)}{\times}(1-e^{-c2{\times}s(i)})^{[(c3+e^{-c4{\times}s(i)}){\times}a]}$$ 모형의 검증을 위해 Monte Calro 기법으로 최적 매개변수를 결정한 결과 수많은 매개변수 조합이 최적영역에 분포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매개변수 하나만 남겨 놓고 나머지 매개변수는 상수화시켜도 모의결과가 똑같다는 결과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나 매개변수만으로 일 유출 모의가 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하나의 매개변수는 ${\alpha}$를 우선 추천하고, C1도 유역의 토지이용에 따라 증발산이 변화하기 때문에 의미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하나의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방법은 유출 자료가 있으면 유출량으로, 없으면 유출률을 맞추는 방법이며, 일반화하기 쉽고 실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유역면적 $209km^2$인 보령댐의 2007년부터 2009년까지 Monte Calro 기법으로 매개변수를 결정한 결과 C1=0.0196, C2=0.0023, C3=0.3230, C4=0.0051, ${\alpha}=2.3304$ 이었으며, 이 때 연평균 강우량 1221.2mm, 유출량 651.2mm, 유출률 53.3%이었으며, $R^2=0.833$, RMSE=2.073, NSE=0.831이었고, 관측 유출량 610.8mm, 유출률 50.0%였다. 매개변수 C1, C2, C3, C4를 고정시키고 유출률 50%에 이를 때 ${\alpha}$는 2.6946이었으며, 이 때 $R^2=0.831$, RMSE=2.102, NSE=0.826이었고, 매개변수 C2, C3, C4, ${\alpha}$를 고정시키고 유출률 50%에 이를 때 C1은 0.0255이었으며, 이 때 $R^2=0.833$, RMSE=2.083, NSE=0.829이었다. 한편 똑같은 자료로 탱크모형은 $R^2=0.79$, RMSE=2.43, NSE=0.77이었고, SWAT 모형은 $R^2=0.56$, RMSE=3.97, NSE=0.40으로 나타난 것과 비교할 때, 개발된 모형의 성능이 우수한 것이라 결론내릴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assessment and uncertainty analysis of ensemble-based hydrologic data assimilation using airGRdatassim (airGRdatassim을 이용한 앙상블 기반 수문자료동화 기법의 비교 및 불확실성 평가)

  • Lee, Garim;Lee, Songhee;Kim, Bomi;Woo, Dong Kook;Noh, Seong J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0
    • /
    • pp.761-774
    • /
    • 2022
  • Accurate hydrologic prediction is essential to analyze the effects of drought, flood, and climate change on flow rates, water quality, and ecosystems. Disentangling the uncertainty of the hydrological model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research. Hydrologic data assimilation (DA), a technique that updates the status or parameters of a hydrological model to produce the most likely estimates of the initial conditions of the model, is one of the ways to minimize uncertainty in hydrological simulations and improve predictive accuracy. In this study, the two ensemble-based sequential DA techniques, ensemble Kalman filter, and particle filter are comparatively analyzed for the daily discharge simulation at the Yongdam catchment using airGRdatassi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s of Kling-Gupta efficiency (KGE) were improved from 0.799 in the open loop simulation to 0.826 in the ensemble Kalman filter and to 0.933 in the particle filter. In addition, we analyzed the effects of hyper-parameters related to the data assimilation methods such as precipitation and potential evaporation forcing error parameters and selection of perturbed and updated states. For the case of forcing error conditions, the particle filter was superior to the ensemble in terms of the KGE index. The size of the optimal forcing noise was relatively smaller in the particle filter compared to the ensemble Kalman filter. In addition, with more state variables included in the updating step, performance of data assimilation improved, implicating that adequate selection of updating states can be considered as a hyper-parameter. The simulation experiments in this study implied that DA hyper-parameters needed to be carefully optimized to exploit the potential of DA methods.

Spatio-temporal Fluctuations with Influences of Inflowing Tributary Streams on Water Quality in Daecheong Reservoir (대청호의 시공간적 수질 변화 특성 및 호수내 유입지천의 영향)

  • Kim, Gyung-Hyun;Lee, Jae-Hoon;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5 no.2
    • /
    • pp.158-173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ongitudinal gradient and tempor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Daecheong Reservoir in relation to the major inflowing streams from the watershed, during 2001~2010. For the study, we selected 7 main-stream sites of the reservoir along the main axis of the reservoir, from the headwater to the dam and 8 tributary streams. In-reservoir nutrients of TN and TP showed longitudinal declines from the headwater to the dam, which results in a distinct zonation of the riverine ($R_z$, M1~M3), transition ($T_z$, M4~M6), and lacustrine zone ($L_z$, M7) in water quality, as shown in other foreign reservoirs. Chlorophyll-a (CHL) and BOD as an indicator of organic matter, were maximum in the $T_z$. Concentration of total phosphorus (TP) was the highest (8.52 $mg\;L^{-1}$) on March in the $R_z$, and was the highest (165 ${\mu}g\;L^{-1}$) in the $L_z$ on July. Values of TN was the maximum (377 ${\mu}g\;L^{-1}$) on August in the $R_z$, and was the highest (3.76 $mg\;L^{-1}$) in the $L_z$ on August. Ionic dilution was evident during September~October, after the monsoon rain. The mean ratios of TN : TP, as an indicator of limiting factor, were 88, which indicates that nitrogen is a surplus for phytoplankton growth in this system. Nutrient analysis of inflowing streams showed that major nutrient sources were headwater streams of T1~T2 and Ockcheon-Stream of T5, and the most influential inflowing stream to the reservoir was T5, which is located in the mid-reservoir, and is directly influenced by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The key parameters, influenced by the monsoon rain, were TP and suspended solids (SS). Empirical models of trophic variables indicated that variations of CHL in the $R_z$ ($R^2$=0.044, p=0.264) and $T_z$ ($R^2$=0.126, p=0.054) were not accounted by TN, but were significant (p=0.032) in the $L_z$. The variation of the log-transformed $I_r$-CHL was not accounted ($R^2$=0.258, p=0.110) by $I_w$-TN of inflowing streams, but was determined ($R^2$=0.567, p=0.005) by $I_w$-TP of inflowing streams. In other words, TP inputs from the inflowing streams were the major determinants on the in-reservoir phytoplankton growth. Regression analysis of TN : TP suggested that the ratio was determined by P, rather than N. Overall, our data suggest that TP and suspended solids, during the summer flood period, should be reduced from the eutrophication control and P-input from Ockcheon-Stream should be controlled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