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댐 공사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tudy on Comparison of Methods for Estimation of Shear Wave Velocity in Core Zone of Existing Dam (기존 댐 코어죤의 전단파속도 산정기법 비교 연구)

  • Ha, Ik-Soo;Oh, Byu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4 no.10
    • /
    • pp.33-43
    • /
    • 2008
  •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shear wave velocity in core zone, cross-hole test, down-hole test, MASW (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 and seismic reflection survey were carried out on the crest of the existing 'Y' dam. The results of field tests were compared one another. Furthermore, the field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 by the Sawada's empirical recommendation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four kinds of field tests for evaluation of shear wave velocity in core zone of existing dam, to verify applicability of the empirical method which was recommended by Sawada and Takahashi, and to recommend a reasonable method for evaluation of shear wave velocity which is needed to evaluate tile maximum shear modulus of core zone. From the results of four kinds of field tests such as cross-hole test, down-hole test, MASW, and seismic reflection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shear wave velocity distributions were similar within 18 m in depth and the results obtained by MASW and seismic reflection survey were almost the same by 30 m in depth. For evaluation of shear wave velocity in core zone of the existing dam, in consideration that it is not easy to bore the hole ill the core zone of existing dam, surface surveys such as MASW and seismic reflection method are recommended as realistic methods. On condition that it is impossible to conduct the field test and it is preliminary investigation, it is recommended that Sawada's low bound empirical equation be used.

Effects of Stiffness of Face Supporting Zone on Face Slab Behaviors of CFRD (CFRD 차수벽지지죤 강성이 콘크리트차수벽 거동에 미치는 영향)

  • Ha, Ik Soo;Seo, Min Woo;Kim, Hyoung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5C
    • /
    • pp.351-35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the simulation method and procedure of behaviors of CFRD(Concrete Faced Rockfill Dam) concrete face slab with impoundment by centrifuge tes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lexural rigidity of the concrete face slab on the face slab deformation from the centrifuge test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tiffness of face supporting zone on the displacement and moment of face slab by numerical analysis which is verified by the centrifuge tests. In this study, the centrifuge tests on the two model dams with the concrete face slab of different flexural rigidity were carried out. Also, the centrifuge tests were simulated by numerical analysis of which input material properties were obtained by the triaxial tests on the model materials. The validity of numerical analysis was evaluated by comparison between the results of centrifuge tests and numerical simulation. The deformation pattern of the concrete face slab was examined with the various stiffness of the face supporting zone by numerical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centrifuge tests, the effects of face slab thickness on the deformation of face slab were negligible. From the results of centrifuge tests and nume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mplitude of the maximum displacement of face slab and the position where the maximum displacement was mobilized with impoundment were affected by the stiffness of face supporting zone rather than the flexural rigidity of concrete face slab.

Reservoir Sizing for Irrigation to Upland Area with Sparse Data (자료 부족 지역의 밭 관개용수 공급을 위한 저수지 규모 결정)

  • Noh, Jae-Kyoung;Lee, Jae-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72-372
    • /
    • 2012
  • 해외 사업에서 지구에 따라 기상 자료가 부족한 지역이 많다. 여기서는 에티오피아의 밭 관개 용수 공급을 위해 일 강우 자료와 월평균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일 증발 자료를 생산하여 적정 저수지 위치와 규모를 정한 결과 다음과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구글지도와 DEM을 이용하여 6개의 댐 후보지를 선정하였고, 표고별 저수면적, 저수량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상자료 수집의 어려움으로 한국 자료를 분석하여 현지의 장기간 기상 자료를 가공, 모의하여 적용하였다. 셋째, 현지 유량측정 자료와 한국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현지의 합리적인 일 유입량 자료를 생산하였다. 넷째, 현지의 토양조건을 고려하고, 토양수분 물수지 모형을 개발하여 토양수분 부족량 공급 기준의 합리적 관개용수 필요수량을 산정하였다. 다섯째, 저수지 일 물수지 모형을 구축하여, 저수량 일별 모의에 의해 적정 댐 저수지 규모를 결정하였다. 여섯째,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실적 공사비 내역 자료를 참고하여 합리적 수준의 개략 공사비와 총 사업비를 산출하였다. 일곱째, 최적 저수지 위치와 규모로 유역면적 $739.57km^2$인 위치와 만수위 EL. 1,660 m, 총 저수량 3,529만 $m^3$인 규모를 제시하였다.

  • PDF

Evaluation of Aseismic Performance for Reservoir Dams in Korea (국내 저수지 댐의 내진 성능 평가)

  • Park, Innjoon;Kim, Seungwook;Jang, Woonghee;Kim, Hyuntae;Yoo, Chan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7 no.6
    • /
    • pp.89-100
    • /
    • 2006
  • Recently, lots of lives and properties have been lost because comparatively large magnitude earthquakes were occurred in relatively safe regions and nations. It has been reported that number of earthquakes was increased rapidly in Korea. Hence, recently civil constructions were ensured against risks about earthquake not only large-scale structures but also comparative small-scale structures such as reservoir dams and life line by systematic aseismic desig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eismic stability was ensured to evaluate aseismic performance for major planned reservoir dams in Korea. The seismic respons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HAKE program on new reservoir dams under short-period, long-period and artificial seismic wave. The liquefaction potential for reservoir dams was assessed by using results from seismic response analysis (simplified assessment method for liquefaction potential). Also, fully coupled analysis--interaction of pore-pressure and soil--was performed to investigate both the development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and the characteristic of dynamic shear strain.

  • PDF

Assessment of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from Andong Lake(I):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Pollution of Sediments from Andong Dam (안동댐 퇴적물의 오염도 평가(I): 안동댐 퇴적물의 오염 특성 연구)

  • Kim, Young Hun;Park, Jae Chung;Shin, Tae Cheon;Kim, Jeong Jin
    •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 /
    • v.33 no.4
    • /
    • pp.377-389
    • /
    • 2020
  • In this study, pollu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the Andong Dam sediments in the Nakdong River.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middle, left, and right points of the lake up to 40km upstream of the Andong Dam at intervals of about 5km by stratification and turnover period. In the case of nutrients and total organics such as loss of ignition,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low, but heavy metals of arsenic and cadmium is very high. The contamination level of sediments in the dam area is higher than that of the branch of river and the control group, and concentration of chromium, copper, and lead are higher in the stratification period, and that of zinc is higher in turnover period. Arsenic, cadmium, manganese, and zinc showed contamination variation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but chromium, copper, mercury, iron and lead didn't show the variation.

Validation of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Evapotranspiration Hypothesis Using In-situ Measurements (관측자료 기반의 용담댐 유역 증발산 보완관계 가설 검증)

  • Eunji Kim;Boosik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4-264
    • /
    • 2023
  • 물순환 과정에서의 증발산은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수자원 계획 수립 시 중요한 요소이다. 증발산은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 등 기상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증발표면, 식생분포 등 다양한 인자의 복합작용에 의해 일어나므로, 유역 단위에서 발생한 실제증발산(Actual evapotranspiration, AET)을 측정하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증발산 보완관계(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evapotranspiration, CRE) 가설을 활용하면, 수문요소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모델링을 거치지 않고도, 비교적 간단하게 AET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증발산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유역 단위에서의 CRE를 검증하고자 하며, 플럭스 타워 등 다양한 관측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용담댐 시험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다. 용담댐 유역 내 산지에 위치한 덕유산 플럭스 타워에서 측정된 증발산을 AET로 보았으며, 유역 인근에 위치한 전주 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되는 팬 증발량(Epan)을 잠재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으로 보았다. Epan 계측시, 증발팬의 가열 등 주변환경 변화로 인해 과다하게 추정되는 값을 보완하기 위해 FAO Penman-Monteith 식을 활용해 팬 증발량 보정계수(Coefficient of pan evaporation, kp)를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습윤증발산량(Wet evapotranspiration, WET)은 대기가 완전히 포화되었을 때 발생하는 증발산량으로, 댐 수표면에서 계측되는 수면증발량을 WET로 보았다. CRE 검증을 위해 AET와 PET를 각각 WET로 나누어 AET+와 PET+로 무차원화하였으며, 습윤지수(Moisture Index, MI)는 AET를 PET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CRE 가설은 MI에 따른 AET+와 PET+가 서로 보완관계를 갖는다는 것인데, 용담댐 유역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CRE를 검증한 결과 AET+와 PET+ 간의 비대칭계수(b)가 1.2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의 평균제곱오차(MSE)는 0.599, 결정계수(R2)는 0.631로 나타나 CRE의 b가 적합하게 추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와 같이 검증된 CRE를 통해 증발산 관측지점이 없거나, 조밀하지 않은 유역의 AET를 간접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보다 정확한 댐의 장기유출 모의와 용수공급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ensor-based measurement data to improve turbidity prediction accuracy (탁수예측 정확도 개선을 위한 센서기반 측정자료의 활용방안 연구)

  • Kim, Jong Min;Lee, Sang Ung;Chung, Se Woong;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44
    • /
    • 2022
  •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량의 2/3 정도가 하절기에 집중되는 강우특성상 해마다 여름철 홍수기의 탁수 문제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상강우와 기상이변에 의한 집중강우가 증가 추세이며, '02년 태풍 루사', '03년 태풍 매미', '06년 에위니아'부터 20년 마이삭, 하이선 까지 장마와 태풍에 의한 유입량이 급증하는 시기 탁수의 유입으로 수중 탁도가 급상승하며 댐 저수지 내 탁수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연 평균 물사용량의 대부분을 하천 및 댐 저수지를 이용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탁수 문제가 장기화될 경우 댐 하류 해당 지역 농업, 공업, 수생태 등 사회적, 환경적으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탁수 예측을 통한 대응을 위해 탁수 모델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탁수를 모델링을 위해서는 유량, 수온, SS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가측정망에서 하천 및 댐 저수지 내 SS를 측정하여 탁수를 측정 하고 있으나 설비가 미흡하여 데이터 해상도가 낮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주요 댐 저수지 내에서는 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는 자동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높은 데이터 해상도를 유지 하고 있으나 댐 별, 기상 조건에 따라 미측정 기간이 존재한다. 탁도를 측정을 위한 센서로는 Optical Backscatter Sensor(OBS), YSI 등이 있으며 SS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는 레이저부유사측정기(LISST: Laser In-Situ Scattering and Transmissometry) 등의 장비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첨단 센서의 경우 또한 수중 고정하여 측정하기에는 장비의 안정성 등의 이유로 한계가 있음에 따라 취득된 유량, 수온, SS, 탁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을 통해 미측정 기간에 대한 보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측정망 데이터 및 강우시 유량에 따른 탁수 유입의 증가와 탁수 유입에 따른 항목별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량, 수온, SS 미측정 기간을 보간하여 입력자료로 탁수를 모의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 PDF

Flood Runoff Simulation Using GIS-Grid Based K-DRUM for Yongdam-Dam Watershed (GIS격자기반 K-DRUM을 활용한 용담댐유역 홍수유출모의)

  • Park, Jin Hyeog;Hur, Young Teck;Ryoo, Kyong Sik;Lee, Geun Sa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1D
    • /
    • pp.145-151
    • /
    • 2009
  • Recently, the rapid development of GIS technology has made it possible to handle a various data associated with spatially hydrological parameters with their attribute information. Therefore, there has been a shift in focus from lumped runoff models to distributed runoff models, as the latter can consider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discharge.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GIS based distributed model using radar rainfall which can express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in actual dam watershed during flood runoff period. K-DRUM (K-water hydrologic & hydaulic Distributed flood RUnoff Model) which was developed to calculate flood discharge connected to radar rainfall based on long-term runoff model developed by Kyoto- University DPRI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Institute), and Yondam-Dam watershed ($930km^2$) was applied as study site. Distributed rainfall according to grid resolution was generated by using preprocess program of radar rainfall, from JIN radar. Also, GIS hydrological parameters were extracted from basic GIS data such as DEM, land cover and soil map, and used as input data of distributed model (K-DRUM).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a base for building of real-time short-term rainfall runoff forecast system according to flash flood in near future.

Establishment of hydraulic/hydrological models in the Mekong pilot area using global satellite-based water resources data II - focusing on HEC-RTS/RAS model application (글로벌 위성기반 수자원 데이터 활용 메콩지역 수리/수문모델 시범 구축 II - HEC-RTS/RAS 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 Cho, Younghyun;Noh, Joonwoo;Park, Sang Young;Park, Jin Hy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21-121
    • /
    • 2022
  • 한국과 미국은 2018년 8월에 발표한 메콩우호국(Friends of the Lower Mekong, FLM) "메콩지역 수자원 데이터 관리 및 정보공유 강화에 관한 공동성명"을 계기로 메콩유역의 실시간 수자원 변동 모니터링 및 분석과 수자원 데이터 공동활용 역량을 강화하여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수자원관리 지원과 함께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고자 메콩 주변국 재해경감 및 수자원 데이터 활용 역량강화를 위한 글로벌 위성기반 수문자료의 생산·활용 및 홍수·가뭄 등의 수재해 분석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는 한국 K-water의 물관리 기술과 미국 NASA, USACE의 위성활용 및 수자원분석 기술을 접목하여 메콩지역의 체계적인 물관리 및 재해로부터 안전성 확보 기여에 목표를 두고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미공병단(USACE, U.S. Army Corps of Engineers)의 HEC software 프로그램을 메콩 시범지역(pilot area)에 적용하여 수리/수문모델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구축되는 모형은 유역 상류 댐의 연계 모의운영 및 하류 홍수분석이 동시 가능한 HEC-RTS(Real-Time Simulation)로 이는 HEC-HMS, -ResSim, -RAS와 -FIA 모형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수리/수문 모델링 시스템이다. 모형의 시범적용 지역은 현지 메콩위원회(MRC, Mekong River Comission)의 의견 등을 반영, 메콩강 하류지역(Lower Mekong) 본류 유역에 위성자료 활용 및 준실시간(near real-time)으로 댐 모의운영 등을 고려할 수 있는 JingHong댐(중국 란창강 최하류)에서 라오스 Xayaburi댐(메콩강 최상류)까지의 구간을 선정하였으며, 전년도에는HEC-RTS 중 HMS(Hydrologic Modeling System) 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가용한 위성자료(GPM IMERG)를 활용하여 과거 홍수사상에 대한 모의를 고려한 강우-유출모형의 구축을 완료하였다. 이에 연속하여 금년도에는 동일유역 내 하천 단면 등이 확보된 Chiang Saen 지점에서 Xayaburi 댐까지의 구간에 대해 RAS(River Analysis System)을 구축할 예정으로 구축된 RAS 모형은 HEC-RTS에 포함되어 메콩 시범지역의 종합적 수리/수문분석에 적용될 예정이다.

  • PDF

Use of the Tunnel Seismic Prediction Method for Construction of Spillways at Juam Dam (터널 내 탄성파탐사(TSP)기법의 주암댐 보조여수로 적용 사례 연구)

  • Bae, Jongsoem;Chang, Chando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3 no.1
    • /
    • pp.67-77
    • /
    • 2013
  • We conducted a Tunnel Seismic Prediction (TSP) survey in a spillway tunnel at Juam Dam to predict the locations of major discontinuities ahead of the tunnel face.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TSP survey with those from pre-construction inspections (including a surface resistivity survey and borehole investigations) as well as with direct tunnel-face mapping during excavation. The TSP method predicted the locations of major fracture zones that were unnoticed in the pre-construction inspections. The reinforcement patterns planned on the basis of pre-construction inspections were changed on the basis of the TSP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SP surveys are a cost-effective and reliably accurate method of predicting the locations of fracture zones. Although the TSP method has some limit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thod is generally useful for predicting geological conditions prior to tunnel face 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