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댐체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3초

지상 레이저 스케닝 자료를 활용한 댐체의 변형해석 (Deformation Analysis of Dam Structure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ing System)

  • 김영경;손호웅;임은상;임정열;김기영
    • 지구물리
    • /
    • 제9권4호
    • /
    • pp.333-341
    • /
    • 2006
  • 준공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댐에 대해서 안정성을 판단하거나 관리하는 방법은 극히 제한적이다. 댐체의 변형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침하계와 같이 1 point에 대한 거동만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댐체의 전체적인 변형특성을 파악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상 레이저 스캐닝을 이용하여 댐체의 전체적인 변형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댐체에 설치된 표면 침하계 결과와 비교하였다. 레이저 스캐닝 자료와 표면 침하계 결과를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댐은 댐체의 자중에 의한 변형거동을 보이고 있다고 판단 할 수 있었고, 현시점에서의 댐체는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고분해능 탄성파 반사법을 이용한 댐체 내부구조 모니터링 연구 (A study on monitoring the inner structure of dam body using high resolution seismic reflection method)

  • 김중열;김형수;오석훈;김유성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20
    • /
    • 2005
  • 댐체 안정성 문제는 무엇보다 투수 내지 누수 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댐체 내부 결함(예: 균열)에 귀결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댐체 내부 결함은 댐 붕괴를 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적절한 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그에 대한 위치 및 규모가 파악되어야 하며 그 결과에 따라 그라우팅에 의한 보수 작업 및 그에 대한 성과 검증 작업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이 된 댐은 중심 코어형 흙 댐으로 댐 소단 사면에는 누수로 인한 여러 형태의 결함이 관찰되고 있어 그에 대한 진단 및 보수 보강이 필요한 상태였다. 본 연구에서는 댐체 진단 및 그라우팅 성과 판단을 위해 그라우팅 이전(2001년 8월) 및 이후(2004년 11월)에 댐 마루 측선 상에서 고분해능 탄성파 반사법 탐사를 수행하였다. 탐사 자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파를 약화시키고 P파 반사파 에너지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발생원 에너지 방사형 변조 기법(P빔 발생원)도 응용되었다. 그라우팅 이전 탐사 결과(탄성파 중합단면도)에서는 댐체 내부 균열로 판단되는 강한 반사파가 일부 구간에서 인식되었으며, 그라우팅 이후 탐사 결과에서는 상기 강한 반사파가 인식되지 않음으로써 3년의 시차를 둔 두 개의 탄성파 탐사 결과는 댐체 진단 및 그라우팅 성과 판단을 위한 기본 자료로 반영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분해능 탄성파 반사법 탐사는 댐 모니터링을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탐사 기법으로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분해능 탄성파 반사법을 이용한 댐체 내부구조 모니터링 연구 (A study on Monitoring the Inner Structure of Dam Body Using High Resolution Seismic Reflection Method)

  • 김중열;김형수;오석훈;김유성
    • 지구물리
    • /
    • 제8권1호
    • /
    • pp.1-6
    • /
    • 2005
  • 댐체 안정성 문제는 무엇보다 투수 내지 누수 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댐체 내부 결함(예: 균열)에 귀결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댐체 내부 결함은 댐 붕괴를 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적절한 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그에 대한 위치 및 규모가 파악되어야 하며 그 결과에 따라 그라우팅에 의한 보수 작업 및 그에 대한 성과 검증 작업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이 된 댐은 중심 코어형 흙 댐으로 댐 소단 사면에는 누수로 인한 여러 형태의 결함이 관찰되고 있어 그에 대한 진단 및 보수 보강이 필요한 상태였다. 본 연구에서는 댐체 진단 및 그라우팅 성과 판단을 위해 그라우팅 이전(2001년 8월) 및 이후(2004년 11월)에 댐 마루 측선 상에서 고분해능 탄성파 반사법 탐사를 수행하였다. 탐사 자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파를 약화시키고 P파 반사파 에너지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발생원 에너지 방사형 변조 기법(P빔발생원)도 응용되었다. 그라우팅 이전 탐사 결과(탄성파 중합단면도)에서는 댐체 내부 균열로 판단되는 강한 반사파가 일 부 구간에서 인식되었으며, 그라우팅 이후 탐사 결과에서는 상기 강한 반사파가 인식되지 않음으로써 3년의 시차를 둔 두개의 탄성파 탐사 결과는 댐체 진단 및 그라우팅 성과 판단을 위한 기본 자료로 반영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분해능 탄성파 반사법 탐사는 댐 모니터링을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탐사 기법으로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증고에 따른 기존 CFRD 댐체의 변형거동 (Deformation Behavior of Existing Concrete-Faced Rockfill Dam due to Raising)

  • 신동훈;조성은;전제성;이종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77-8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이미 사용 중인 콘크리트표면차수벽형석괴댐(이하 CFRD)에 대하여 저수용량 확대 또는 수리 수문학적 안정성을 증대할 목적 등으로 하류측에 추가 축조하여 댐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에 대하여 추가 축조과정에 기존 댐체 및 추가 축조 부분의 변형거동을 유한요소해석법으로 검토하였다. 해석결과 기존 댐체의 하류측에 덧붙여 추가 축조할 경우 기존 댐체 전반에 걸쳐 추가 변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류사면은 침하(댐마루측)와 융기(댐체 하부측)가 동시에 발생하며, 이 경우CFRD의 특성상 상류사면에 시공되어 있는 콘크리트 차수벽에는 휨모멘트에 의한 인장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 CFRD에 증고를 하는 경우에는 시공전에 반드시 기존 차수벽의 변형량과 휨모멘트 발생량 등을 검토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적절한 보완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댐체 관개용수를 활용한 초소수력발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micro-hydropower used surplus water resources on the dam)

  • 이동희;양현식;홍영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342-1343
    • /
    • 2011
  • 댐체를 통해 하류 관개용수로 무효방류되는 수자원을 활용한 초소수력 발전가능성에 관한 고찰을 통해 개발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 발굴 및 경제성과 타당성에 대하여 검증해 보고자 한다.

  • PDF

필댐 제체 재료의 동적 물성치 평가 : I. 현장 전단파 속도 주상도 (Estimation of Dynamic Material Properties for Fill Dam : I. In-situ Shearwave Velocity Profiles)

  • 김종태;김동수;박헌준;권혁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2호
    • /
    • pp.69-85
    • /
    • 2009
  • 댐체의 내진설계를 위해서 각 부분의 정확한 동적 물성치 산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댐체의 내진 설계시 현장 시험결과 없이 가정 물성을 이용하거나 문헌연구를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여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현장 실험을 통하여 댐체의 전단파속도로 대표되는 동적물성치를 효율적으로 획득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표면파 탐사 기법을 적용하여 락필댐 심벽부와 사력부의 전단파 속도를 도출하였다. 대표적인 표면파 기법인 SASW기법과 새롭게 개발된 HWAW 기법을 이용하여 6개 댐에서 수행하여 전단파 속도를 획득하였으며, 기존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댐체의 깊이별 전단파 속도의 D/B와 구속압-전단파속도 관계식를 구축하였다. 획득한 D/B와 관계식은 기존에 사용되었던 Sawada와 Takahashi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비균질 재료로 숭상(嵩上)한 흙 댐의 변형 특성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Earth Dam Raised by Non-Homogeneous Fill Materials)

  • 장옥성;이종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8호
    • /
    • pp.167-180
    • /
    • 2004
  • 기존 흙댐의 저수 용량 확대를 위하여 댐의 높이를 숭상(嵩上)하는 경우 기존 댐체의 축조 재료와 동일한 재료가 아닌 콘크리트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CfRD)의 차수벽 지지층에 대응하는 조립의 재료로 추가 성토를 수행하였다. 이를 가칭 콘크리트 표면 차수벽형 흙댐(CFED)이라 하고, 이런 형식의 댐에 대한 응력 및 변형 특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Hyperbolic 모델을 이용한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 해석에 의한 예측치와 현장 계측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비교적 서로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댐체의 응력-변형 거동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결과는 신뢰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해석 결과 나타난 최대 변위와 응력의 발생 지점 및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되거나 하중전이가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부분 등을 중심으로 댐체 시공시 정밀 현장 계측 관리를 수행한다면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시공 관리 및 품질 관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구조물의 밀도분포 파악을 위한 고정밀중력탐사

  • 임형래;박영수;임무택;구성본;권병두;오석훈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7-152
    • /
    • 2005
  • 인공구조물인 댐체의 밀도 분포를 밝히기 위하여 사력댐에서 고정밀중력탐사를 수행하였다. 얻어지는 중력이상값이 매우 작은 양이므로 정밀한 지형보정을 위하여 삼각요소법을 도입하였다. 역산을 위해서도 댐체의 모양을 그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임의 다면체로 구성하였고, 글로벌 역산인 ASA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해석결과는 댐의 코어 부분과 모래와 암석으로 채워진 부분이 명확히 구분되었고, 댐의 중앙부에 상대적인 저밀도가 존재하는 수평적인 밀도 변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