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화 데이터셋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OK-KGD:Open-domain Korean Knowledge Grounded Dialogue Dataset (OK-KGD:오픈 도메인 한국어 지식 기반 대화 데이터셋 구축)

  • Seona Moon;San Kim;Jinyea Jang;Minyoung Jeung;Saim Sh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342-345
    • /
    • 2023
  • 최근 자연어처리 연구 중 오픈 도메인 지식 기반 대화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연구를 위해서는 오픈 도메인 환경을 갖추고 적절한 지식을 사용한 대화 데이터셋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오픈 도메인 환경을 갖춘 한국어 지식 기반 대화 데이터셋은 존재하지 않아 한국어가 아닌 데이터셋을 한국어로 기계번역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를 사용할 경우 두 가지 단점이 존재한다. 먼저 사용된 지식이 한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아 한국인이 쉽게 알 수 없는 대화 내용이 담겨있다. 그리고 번역체가 남아있어 대화가 자연스럽지 않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자연스러운 대화체와 대화 내용을 담기 위해 새로운 오픈 도메인 한국어 지식 기반 대화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오픈 도메인 환경 구축을 위해 위키백과와 나무위키의 지식을 사용하였고 사용자와 시스템의 발화로 이루어진 1,773개의 대화 세트를 구축하였다. 시스템 발화는 크게 지식을 사용한 발화, 사용자 질문에 대한 답을 주지 못한 발화, 그리고 지식이 포함되지 않은 발화 3가지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축한 데이터셋을 통해 KE-T5와 Long-KE-T5를 사용하여 간단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 PDF

Constructing Korean Dialogue Natural Inference Dataset through Pseudo Labeling (Pseudo Labeling을 통한 한국어 대화 추론 데이터셋 구축)

  • Young-Jun Lee;Chae-Gyun Lim;Yunsu Choi;Ji-Hui Lm;Ho-Jin Cho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205-209
    • /
    • 2022
  • 페르소나 대화 시스템이 상대방의 개인화된 정보에 일관된 응답을 생성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많은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PersonaChat 데이터셋에 대해 수반/중립/모순 관계를 라벨링한 DialoguNLI 데이터셋이 제안되었으며, 일관성 측정, 페르소나 속성 추론 태스크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한국어로 된 대화 추론 데이터셋은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로 번역된 페르소나 대화 데이터셋과 한국어 자연어 추론 데이터셋에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한국어 대화 추론 데이터셋(KorDialogueNLI)를 구축한다. 또한, 사전학습된 언어모델을 학습하여 한국어 대화 추론 모델 베이스라인도 구축한다. 실험을 통해 정확도 및 F1 점수 평가 지표에서 KLUE-RoBERTa 모델을 미세조정(fine-tuning)시킨 모델이 가장 높은 성능을 달성하였다. 코드 및 데이터셋은 https://github.com/passing2961/KorDialogueNLI에 공개한다.

  • PDF

Development of Korean Dialogue Dataset for Restaurant Reservation System (식당 예약 대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한국어 데이터셋 구축)

  • Kim, GyeongMin;Lee, DongYub;Hur, YunA;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267-269
    • /
    • 2017
  • 대화 시스템(dialogue system)은 사용자의 언어를 이해하고 그 의도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인간과 비슷한 수준의 대화를 위해서는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하며 데이터의 양질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진다. 최근 페이스북에서 End-to-end learning 방식을 기반으로 한 영어로 구성된 식당 예약 학습 대화 데이터셋(The 6 dialog bAbI tasks)을 구축하여 해당 모델에 적용한 연구가 있다. 대화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영어 기반의 데이터와는 다르게 식당 예약 시스템에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 목적으로 공유한 한국어 데이터셋은 아직까지도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페이스북에서 구축한 영어로 구성된 식당 예약 학습 대화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한국어 기반의 식당 예약 대화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한국어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일상생활에서 발생 가능한 발화(utterance)에 따른 형태 변화를 통해 한국어 식당 예약 시스템 데이터셋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Korean Dialogue Dataset for Restaurant Reservation System (식당 예약 대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한국어 데이터셋 구축)

  • Kim, GyeongMin;Lee, DongYub;Hur, YunA;Lim, HeuiSeok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267-269
    • /
    • 2017
  • 대화 시스템(dialogue system)은 사용자의 언어를 이해하고 그 의도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인간과 비슷한 수준의 대화를 위해서는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하며 데이터의 양질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진다. 최근 페이스북에서 End-to-end learning 방식을 기반으로 한 영어로 구성된 식당 예약 학습 대화 데이터셋(The 6 dialog bAbI tasks)을 구축하여 해당 모델에 적용한 연구가 있다. 대화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영어 기반의 데이터와는 다르게 식당 예약 시스템에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 목적으로 공유한 한국어 데이터셋은 아직까지도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페이스북에서 구축한 영어로 구성된 식당 예약 학습 대화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한국어 기반의 식당 예약 대화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한국어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일상생활에서 발생 가능한 발화(utterance)에 따른 형태 변화를 통해 한국어 식당 예약 시스템 데이터셋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 PDF

KMSS: Korean Media Script Dataset for Dialogue Summarization (대화 요약 생성을 위한 한국어 방송 대본 데이터셋 )

  • Bong-Su Kim;Hye-Jin Jun;Hyun-Kyu Jeon;Hye-in Jung;Jung-Hoon J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198-204
    • /
    • 2022
  • 대화 요약은 다중 발화자와 발화문으로 이루어진 멀티턴 형식의 문서에 대해 핵심내용을 추출하거나 생성하는 태스크이다. 대화 요약 모델은 추천, 대화 시스템 등에 콘텐츠, 서비스 기록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는 데 유용하다. 하지만 모델 구축에 필요한 한국어 대화 요약 데이터셋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성 기반 대화 요약을 위한 데이터셋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내 방송사의 대용량 콘텐츠로 부터 원천 데이터를 수집하고, 주석자가 수작업으로 레이블링 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셋 규모는 6개 카테고리에 대해 약 100K이며, 요약문은 단문장, 세문장, 2할문장으로 구분되어 레이블링 되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의 특성을 내재화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대화 요약 레이블링 가이드를 제안한다. 이를 기준으로 모델 적합성 검증에 사용될 디코딩 모델 구조를 선정한다. 실험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의 몇가지 특성을 조명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벤치마크 성능을 제시한다. 데이터와 모델은 aihub.or.kr에 배포 되었다.

  • PDF

A Dataset for Persona-based Korean Dialogue Modeling (페르소나 기반 한국어 대화 모델링을 위한 데이터셋)

  • Yohan Lee;Hyun Kim;Jonghun Shin;Minsoo Cho;Ohwoog Kwon;Youngkil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512-516
    • /
    • 2022
  • 페르소나 기반의 대화 시스템은 일관적인 대화를 수행할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영어권에서 구축된 페르소나 대화 데이터셋은 서로의 페르소나를 알아가기 보다는 자신의 페르소나에 대해서만 말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여 관련 대화를 진행하는 대화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사 방문객이 안내 시스템과 대화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안내 시스템이 주도적으로 방문객의 페르소나를 묻고 관련 대화를 수행하는 데이터셋을 구축함과 동시에 목적지향 대화 시스템의 대화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시스템 주도적인 대화를 모델링하는 페르소나 대화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대화 관리 모델의 대화 이해 및 정책 성능을 검증하고 방문객의 페르소나를 예측할 때 대화 정책의 성능이 향상됨을 보임으로써 구축한 데이터셋이 이해와 정책이 포함된 대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을 확인한다.

  • PDF

Dataset for Interactive Recommendation System (인터랙션 기반 추천 시스템 개발을 위한 데이터셋 연구)

  • Chung, Euisok;Kim, Hyun Woo;Oh, Hyo-Jung;Song, Hwa Je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481-485
    • /
    • 2020
  • AI와 사용자간의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해당 요구사항에 적합한 상품을 추천하는 형상을 인터랙션 기반 추천 시스템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우리는 해당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의상 코디셋 추천을 위한 대화 기반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데이터셋은 대화와 의상 추천 절차를 반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의상셋을 찾아가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AI의 코디셋 추천 기술 검증을 위해 두가지 의상 추천 평가셋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대화 데이터셋 및 관련 평가셋의 개발 절차 및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관련된 실험 결과 일부를 보여준다.

  • PDF

Building a multimodal task-oriented dialogue task for panic disorder counseling (공황장애 상담을 위한 멀티모달 과제 지향 대화 태스크 구축)

  • Subin Kim;Gary Geunbae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258-262
    • /
    • 2023
  • 과제 지향 대화 시스템은 발화 의도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과제를 달성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대화 상태 추적은 과제 지향 대화 시스템의 핵심 모듈이며, 최근에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시각 정보까지 활용하여 대화 상태를 추적하는 멀티모달 대화 상태 추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모달 공황장애 상담 대화 속 내담자의 상태를 추적하는 과제를 제안하였다. ChatGPT를 통한 멀티모달 공황장애 상담 과제 지향 대화 데이터셋 구축 프레임워크와, 구축한 데이터셋의 품질을 증명하기 위한 분석도 함께 제시하였다. 사전학습 언어 모델인 GPT-2를 벤치마크 데이터셋에 대해 학습한 성능을 측정함으로써 향후 멀티모달 대화 추적 성능이 능가해야 할 베이스라인 성능을 제시하였다.

  • PDF

KOMUChat: Korean Online Community Dialogue Dataset for AI Learning (KOMUChat :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 대화 데이터셋 연구)

  • YongSang Yoo;MinHwa Jung;SeungMin Lee;Min So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2
    • /
    • pp.219-240
    • /
    • 2023
  • Conversational AI which allows users to interact with satisfaction is a long-standing research topic. To develop conversational AI, it is necessary to build training data that reflects real conversations between people, but current Korean datasets are not in question-answer format or use honorifics, making it difficult for users to feel closen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versation dataset (KOMUChat) consisting of 30,767 question-answer sentence pairs collected from online communities. The question-answer pairs were collected from post titles and first comments of love and relationship counsel boards used by men and women. In addition, we removed abuse records through automatic and manual cleansing to build high quality dataset. To verify the validity of KOMUChat,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generative language model learning KOMUChat and benchmark dataset. The results showed that our dataset outperformed the benchmark dataset in terms of answer appropriateness, user satisfaction, and fulfillment of conversational AI goals. The dataset is the largest open-source single turn text data presented so far and it has the significance of building a more friendly Korean dataset by reflecting the text styles of the online community.

Data Augmentation for Alleviating Toxicity of Open-Domain Dialogue System using LLM (LLM을 활용한 오픈 도메인 대화 시스템의 유해성을 완화하는 데이터 증강 기법)

  • San Kim;Gary Geunbae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346-351
    • /
    • 2023
  • 오픈 도메인 대화 시스템은 산업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유해한 응답을 출력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지적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언급된 위험성을 완화하기 위해 데이터 측면에서 대화 시스템 모델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대화 모델의 유해한 응답을 유도하도록 설계된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모델이 올바르지 못한 응답을 생성하게 만들고, 이를 LLM을 활용하여 안전한 응답으로 수정한다. 또한 LLM이 정확하게 수정하지 못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추가적인 필터링 작업으로 데이터셋을 보완한다. 생성된 데이터셋으로 추가 학습된 대화 모델은 기존 대화 모델에 비해 대화 일관성 및 유해성 면에서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