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형 경유트럭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8초

경유자동차 입자상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희석장치 개발 (Development of Dilution System for Measuring the Diesel Exhaust Particles)

  • 정정선;권순박;이규원;류정호;엄명도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9-300
    • /
    • 2001
  • 디젤엔진을 이용한 자동차는 연료의 효율성 및 경제성 등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버스, 트럭 등의 대형 경유자동차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디젤 입자상 물질(DPM; Diesel Particulate Matter), NOx 등이 대기 환경을 크게 악화시키고 있다. 경유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입자상 물질과 NOx등의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켜 근본적으로 오염물질을 줄이는 방법과 후처리 장치를 개발하는 방법이 있다. (중략)

  • PDF

Euro 5 경유 대형트럭의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Air Pollutants from Diesel Heavy duty Trucks for Euro 5)

  • 홍희경;문선희;서석준;김정화;정성운;정택호;홍유덕;성기재;김선문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4-80
    • /
    • 2018
  • Emission characteristics of regulated pollutants (CO, NOx, HC and PM) and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from diesel heavy duty trucks equipped with EGR+pDPF and SCR for Euro 5 emission standards were investigated using a chassis dynamometer. In the case of regulated pollutants, diesel heavy duty trucks with EGR+pDPF emitted 79% less CO than those with SCR. Also, those with the SCR emitted 36% less NOx than those with the EGR+pDPF. The results of VOCs have show that alkanes emissions for heavy duty trucks with the EGR+pDPF and the SCR have been higher than alkenes, cycloalkanes and aromatics. In the case of individual VOCs, the highest of propene emissions for 11.3~16.1% occupied. For aromatics group, benzene emissions are the highest percentage for 4.4~15.5%.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to set up HAPs emissions inventory for mobile source.

대형 경유트럭의 NOx 저감장치에 따른 배출가스 특성비교 (Comparison on Exhaust Gas of Heavy Duty Diesel Trucks; THC and CO Emission Affected by NOx Control Devices (EGR, SCR))

  • 문선희;유흥민;손지환;윤창완;박규태;김정수;이종태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9-155
    • /
    • 2015
  • With increasing of GDP, the registration number of passenger cars has exceeded 20 million last year in Korea. Especially, the registration number of the diesel engine vehicles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has reported that diesel engine exhaust gas is an one of HAPs, which has carcinogenic for human, and they have designated it to Group 1. To solve this problem, exhaust gas from diesel engines has to be controlled. Thus, it has been controlling by European regulatory standard in Korea.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eet the enhanced emission regulations, all manufacturing company applied $NO_x$ control device to vehicles such as EGR (Exhaust Gas Recirculation), 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and so on. However, these devices (EGR, SCR) were operated by difference reaction mechanism respectively, and the composition of exhaust gas would be differenced from that of them.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to evaluate variety characteristics on changing of exhaust gas composition by each $NO_x$ control device, and the heavy duty diesel trucks were chosen as experimental vehicles. From the result, it revealed that vehicles (with EGR) were discharged higher THC as 52.5% than that of others (with SCR). However, it did not followed that trend, in the case of CO; it was discharged as 57.2% lower than that of others (with SCR). In the future, these data would be used to apply to efficient $NO_x$ control device for meeting to EURO 6.

Euro 2 기준 LNG-경유 혼소엔진의 배출가스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LNG-diesel Dual-fuel Engine for Euro 2 Standard)

  • 조규백;김종민;김동식;김홍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4
    • /
    • 2011
  • 대형 디젤엔진은 주행거리가 길고 배기량이 크기 때문에 차량의 대수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시내를 주행하는 시내버스의 경우 한일 월드컵을 계기로 CNG 버스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대형트럭과 장거리 시외버스의 경우 주행거리가 길고 CNG 충전소가 대도시의 시내버스 차고지 위주로 설치되어 있어 이용이 불가능하였다. 단열용기의 적용으로 천연가스를 압축상태가 아닌 액체 상태로 보관이 가능해져 주행거리가 긴 대형트럭이나 장거리 시외버스로의 적용이 가능해졌으며, 혼소엔진의 경우 LNG 충전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디젤로 운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석유 의존도를 크게 낮출 수 있어 에너지원의 다변화가 가능하며, 디젤차의 고질적인 단점으로 여겨왔던 매연 및 질소산화물뿐만 아니라 저탄소 연료를 사용함으로서 대표적인 온실가스중의 하나인 이산화탄소도 10%이상 저감할 수 있었다.

석유제품의 가격 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ce Asymmetries in Local Petroleum Markets)

  • 김진형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6권4호
    • /
    • pp.833-854
    • /
    • 2007
  • 본 연구는 국제유가와 대미환율이 변동할 경우에 국내 석유제품의 가격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가격변동에 대한 완전조정오차수정모형(full adjustment error correction model)을 설정한 후, 실증분석을 통해 휘발유와 경유, 등유의 세 가지 제품에 대한 정유사의 생산가격과 주유소 판매가격의 비대칭성을 각각 추정하였다. 추정결과는 원유 현물가격이 변동할 경우 국내 정유사는 제품별 출고가격을 3개월에 걸쳐 조정하되 즉각적인 반응, 즉 해당 월의 조정액은 예상과는 달리 원유가격이 올라갈 때보다 오히려 내려갈 때에 더 크게 나타난다. 하지만 조정이 끝난 후, 누적 상승폭이 하락폭보다 크게 나타나 세 제품가격 모두 양적 비대칭을 보인다. 또한 환율상승에 대한 가격조정은 2개월이 소요되는 반면 하락시에는 1개월이 더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유와 등유는 누적 상승폭이 하락폭보다 훨씬 크게 나타나지만 휘발유는 상승폭과 하락폭이 동일하게 나타난다. 한편 주유소에 대한 정유사의 공급가격이 변동될 경우, 주유소 판매가격은 전형적인 'Rockets and Feathers' 현상을 보인다. 정유사 공급가격이 리터당 1원 상승 또는 하락할 경우, 휘발유가격은 0.99원의 인상과 0.91원의 인하를, 경유가격은 0.96원의 인상과 0.88원의 인하를 보여 휘발유가격이 경유가격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승용차 연료인 휘발유가 대형승합차와 트럭의 연료로 사용되는 경유보다 소비자들에게 더 노출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등유가격은 0.81원의 상승과 0.83원의 하락을 보여 검정 결과 양적 대칭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난방용 연료인 등유의 수요가 계절별로 편중되어 있고 또한 주유소판매량이 비교적 소량임에 따라 공급가격 변동에 대해 주유소가 즉각적으로 반응할 유인이 타 유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 PDF

국내외 물류환경 변화에 따른 부산 신항의 항만물류상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Challenges and Possible Ways to Facilitate Busan New Port Logistics)

  • 김정수;신계선;최학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9-99
    • /
    • 2008
  •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의 모든 항만들이 해운환경의 급변속에서 생존하기 위한 개별전략을 모색하고 있으며, 특히 신항의 경우 개발 중에 있는 항만으로 6개의 선석을 운영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예상물동량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물동량 확보를 위한 신항만의 물류전략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신항의 물류상의 활성화 방안으로 첫째, 기존항만과 신항이 연계성을 갖고 선사에게 제공되는 인센티브의 경우 동일한 요율을 적용하는 방안 둘째, 정부의 트럭화물운송에 대한 보조금을 늘리는 방안 셋째, 수출입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자체물동량 창출 넷째, 신항에 상주해 있는 선사와의 접촉을 통해 북미-일본-한국-중국을 경유하는 화물뿐만 아니라 유럽, 중동, 러시아를 경유하는 화물에 대한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인 환적화물 창출을 위한 마케팅전략 수립 다섯째, 대형 외국선사와 연계된 중소형 외국 선사와의 연계프로그램 네트워크운영 등을 들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