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대학광장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서울시 자치구별 주택가격과 인프라 데이터를 통한 동네 특성 분석 (Analysis of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through Housing Prices and Infrastructure Data for Each Autonomous District in Seoul)

  • 김지훈;백재순;김성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149-152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자치구별 집 가격과 인프라 데이터를 통한 분석을 기반으로, 저렴한 주택 지역에 입주하는 사람들의 우려와 관련하여 좋은 동네와 안좋은 동네의 차이를 다각도로 조망하고자 한다. DataSet은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과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 시스템에서 수집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한다. dependent variable로는 자치구별 인프라 데이터셋을 사용하였으며, independent variable는 자치구별 집 가격을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모델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토대로 동네의 특징과 주거 환경의 차이를 명확히 도출하여 결론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 PDF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의료복지서비스 지원 방안 연구 (Researching how open data can be used to support health and social services.)

  • 손민지;박윤동;김선조;김현성;김하원;송병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40-541
    • /
    • 2024
  • 본 연구는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료 복지 서비스 지원 방안을 조사한다. '올해 의료비로 인한 가계 부담 정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료비 부담이 일반 가구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조사하였다. 이 데이터는 응답자들이 느끼는 의료비 부담의 다양한 정도(전혀 부담 안 됨, 부담 안 됨, 보통, 약간 부담됨, 매우 부담됨)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별, 성별, 연령별, 소득별 의료비 부담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각 그룹별로 상이한 의료비 부담감을 보여주며, 이는 향후 의료 서비스 접근성 개선과 정책적 지원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제안을 포함하며, 공공 데이터를 활용한 의료 자원의 최적화를 목표로 한다. 이러한 분석은 보다 효율적인 의료복지 서비스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 정문 진입부 재구성을 통한 캠퍼스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경남 소재 U대학의 주차 및 복합시설 구성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Reconstruction Project for the Main Gate Area of the U University Campus)

  • 이광희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1호
    • /
    • pp.1-9
    • /
    • 2011
  • In order to solve the current shortage of parking spaces, and redesign the main gate area of the U University, the research investigated some cases of other schools located in Seoul which actively constructed multi-purpose building structures. Those schools are considered to be good samples showing their efforts to fulfill the needs of more parking spaces in their campuses, and to cover with the growing needs of multi-functioned facilities accommodating services of academic affairs, reading room spaces, and amenities. With the investigation, the research finded out the current trends of campus developments from the sample schools, such as underground parking facilities connected with multi-purpose buildings along the main arteries of campuses. Following the trends the research thoroughly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s of our school and tried to make some possible alternatives for the facilities. Under the conditions, the research suggested 1)to construct underground parking lots accepting around 1,000 cars under the ivory tower square located in front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Building, 2)to develop a big-scaled open square at the university main gate, and 3)to build a multi-purpose structure along the main street of the campus, which included administration services, studying spaces, and some commercial facilities.

노후화된 학교건물의 적정시설투자비 산정모델 적용사례 (Estimating Optimum Investment Cost for Obsolete School Buildings)

  • 허영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1호
    • /
    • pp.10-25
    • /
    • 2011
  • Area Offices of Education in Korea assign and execute government budget based on the evaluation of school buildings' safety rating and degree of their deterioration. However, it is never easy to estimate the most appropriate investment amount for old buildings under consideration of their service lives and residual values together. A model of estimating optimum investment cost for obsolete school building is developed taking its life cycle cost into account. The model is also applied to six old buildings in five different schools and found that some of the facilities hardly needed further investment and were better to be rebuilt. The study results will be a great beneficial for officers to make right decision on maintaining obsolete school buildings and to maximize tax payers' money.

대학교 담장개방 녹화사업 유형에 따른 이용 만족도 비교 분석 - 서울 소재 대학 캠퍼스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Opened-Fencing in Campus Afforestation Project Types - Focused on University in Seoul -)

  • 이세미;김동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7-66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서 시행한 대학교 담장개방 녹화사업 대상 학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현재까지 담장개방이 시행된 총 24개의 대학교 중 담장개방 형태를 유형화하여 분류한 후, 각 유형별 대학 중, 시설이 다양하고 이용자가 많아 활성화 된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현장관찰과 문헌조사, 설문조사의 방법을 실시하여 연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담장개방 녹화사업 만족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 유형별 이용실태에 대한 빈도분석, 전체만족도와 공간환경 및 시설물에 대한 회귀분석, 유형별 차이검증을 위한 One-way ANOVA를 각각 실시하였다. 유형별 이용실태 분석결과, 법제상에서의 개념인 설치위치, 이용자 특성, 이용목적 등 3가지 분석기준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별 전체만족도는 전원형 근린소공원 유형의 서울여자간호대학을 제외한 도시형 근린소공원의 감리교신학대학, 광장형 도심소공원의 건국대학교, 녹지형 도심소공원의 세종대학교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분수/수경시설, 체력단련시설, 광장시설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교 담장개방 녹화사업 시 시설물에 대한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공간 환경에 대한 전체만족도는 전원형 근린소공원 유형의 서울여자간호대학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시형 근린소공원의 감리교신학대학, 광장형 도심소공원의 건국대학교, 녹지형 도심소공원의 세종대학교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 개의 공원이 대체적으로 시설이용 편리성과 개인사생활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로변에 위치한 도심소공원들은 소음정도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담장개방 녹화사업 시 가장고려해야 할 점으로 사료된다.

디지털시대 대학도서관의 경영기법에 관한 연구 (Management Skills for Academic Libraries in the Digital Age)

  • 이용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3-309
    • /
    • 2002
  • 이 연구는 디지털시대에서 대학도서관을 보다 원활히 운영하고 사서들이 서비스를 향상하기 위해 어떠한 경영기법이 필요한가를 모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미국 대학도서관의 여러 사서들과 의견을 교환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경영기법들은 학습조직, 지식경영, 팀 관리, 고객지향적 서비스, 변화관리 둥과 같이 주로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에서 활용되는 개념들로부터 나온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 대학도서관이 서비스를 향상하고 대학사회에서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이러한 경영기법을 활용하는 것은 별다른 무리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대학도서관 사서진은 디지털시대에서도 학술광장이자 비영리조직인 대학도서관의 핵심적 가치를 염두에 두고 도서관을 경영하며 서비스의 지평을 넓혀갈 필요가 있다.

지역거점으로서의 캠퍼스 외부공간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ampus Outdoor Spaces as a Regional Hub)

  • 이을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3-40
    • /
    • 2016
  • The campus outdoor space in each city is a very important space for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Especially, for students, indoor space such as classroom is the main place to learn knowledge. But the outdoor space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people in other sectors and it also gives an opportunity that can make students sense the flow of the times. Moreover,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integrate knowledge of the other fields in the outdoor space. The campus also provides an important resting place for residents. Therefore the campus should be convenient for both local residents and students, and should be designed to let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outdoor spac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outdoor space in such a point. The high scores of campus evaluation indexes are as follows: First, the lighting in the favorite space and installing seats in a green space of the vestibule get the highest score. Also, separation of a sidewalk and a roadway, the ease of holding events, simple food and beverage near the entrance, the interacting place of people, the resting place near the porch in cold winter, the lighting in a bus stop and parking lot also get good evaluations.

대학(大學) 캠퍼스 광장(廣場)의 시대적(時代的) 변천(變遷) : 시각적(視覺的) 사례(事例) 분석(分析) (An Open Space of College Campu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 A Visual Analysis of Cases)

  • 민창기
    • 교육시설
    • /
    • 제9권2호
    • /
    • pp.25-35
    • /
    • 2002
  • This paper is to evaluate an open space on university campuses enclosed within buildings, with respect to building elevation a wall of an open space including outer wall materials and window forms and an open space itself. It uses case study methods to periodically know specific details about open spaces and surrounding buildings elevation. It was found, at first, that it was emphasized vertical elements on window frames as well as building elements in an era of the 1910's to the 1930's. It, however, was changed into emphasizing on horizontal features in the era of the 1960's to the 1970's. Meanwhile the period from the 1940's to the 1950's was a turning point. The horizontal style was continued until the 1980s and the style was changed into various style mixed with various types. Secondly, an open space was recognized as a valuable design criteria for a construction of buildings in the 1930s to the 1970s. It was, however, a forgotten criteria during the late 1970's and the 1980's because of short age of the construction budget of the government. In the 1990's, the importance of open space design reappeared on the design of a block plan. Thirdly, a design style of an open space was authoritarianism using symmetrical and magnificent style in the 1910's to the 1930's. The time of 1945 to the 1950's was a turning point from authoritarianism to an idea of efficiency. In the 1960's and the 1970s, an idea of efficiency emphasizing their functions was prevalent to the design of buildings and open spaces and this trend was continued until the 1980's. A romanticism was realized on the design of an open space and surrounded building's.

한반도 신석기시대 주거의 변천과 구조적 양상 (The Dwelling Transitions and Structural Features in the Neolithic Age of the Korean Peninsula)

  • 이상균
    • 고문화
    • /
    • 61호
    • /
    • pp.3-44
    • /
    • 2003
  • 한반도에서의 주거 평면구조는 일반적으로 원형$\rightarrow$방형$\rightarrow$장방형의 순으로 변천하고 있다. 주거의 출입구조는 계단식과 돌출되어 있는 경우, 주거 벽면에서 경사진 구조 등이 있고, 주거바닥은 주로 생토층과 모래바닥을 이용하며, 진흙이나 조개껍질을 깐 경우도 있다. 저장시설은 화덕자리의 주변이나 주거의 벽가에 두고 있으며, 화덕자리는 중앙의 1개소가 일반적이다. 기둥구멍은 벽가를 따라 배치되거나, 각 모서리에 배치되는 경우, 혹은 주거지의 내부와 외부에 동시에 존재하기도 한다. 지붕구조는 낮은 원추형에서 기둥을 걸쳐서 만드는 양면경사의 방형이나 장방형으로 변하며, 주거의 내부공간은 수면이나 취사 이외에도 작업장, 의례 등 여러 기능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거는 기본적으로 1기에 1칸의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내부에서 남녀의 공간적 사용범위가 정해져 있다. 신석기시대의 취락은 환상이나 호상형태로 중앙에 광장이 있으며, 주거 밀집지역에 공공장소가 존재한다.

  • PDF

카니발의 광장: 알모도바르 영화 속의 마드리드 (La plaza pública carnavalesca: Madrid en el cine de Pedro Almodóvar)

  • 임호준
    • 이베로아메리카
    • /
    • 제12권1호
    • /
    • pp.349-374
    • /
    • 2010
  • En realidad ningún otro cineasta español que Pedro Almodóvar ha centrado tan obsesivamente en Madrid. Casi todas sus obras se ocupan de la capital de España como espacio cinematográfico. Como uno de los protagonistas de La Movida, Almodóvar es un producto de Madrid de la Transición que dió luz a la nueva sociedad democrática. En principio, Madrid en las películas de Almodóvar se convierte en un espacio carnavalesco desde la perspectiva bajtiniana. El crítico ruso ha exaltado la plaza pública de los pueblos medievales europeos como el espacio carnavalesco en el que los contactos libres y familiares se realizan y el principio de lo corporal y lo material predomina. Para Bajtín, el carnaval es básicamente un rito político en el que el individuo parece dotado de una segunda vida que le permite establecer nuevas relaciones verdaderamente humanas con sus semejantes sin ninguna represión. Así que en el mundo carnavalesco todo lo sagrado, lo oficial y lo privilegiado se destronan, y en cambio lo grosero, lo extra-oficial y lo bajo se reivindican. Como los participantes del carnaval, los personajes de Almodóvar disfrutan de una segunda vida en un Madrid del mundo al revés. Por otra parte, la representación carnavalesca de Madrid tiene una tradición rica y larga en el arte español. Entre muchos artistas Goya, Arniches, Valle-Inclán y Buñuel son los antecedentes destacados de esta tradición. Así pues se puede concluir que la estética del cine de Almodóvar está anclada en la tradición hispánica del carnavalismo más bien que la estética global de la posmodernid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