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피위험도

Search Result 20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 Study on the Design of Artificial Intelligent Exit Light (인공지능형 피난유도등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Dong-Ook;Lee, Ki-Yoen;Kim, Dong-Woo;Gil, Hyoung-Jun;Kim, Hyang-Kon;Chung, You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200-2202
    • /
    • 2008
  • 최근 건축구조물의 복잡화, 다양화로 인하여 화재발생시 유독가스의 심각성과 공간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대형 참사가 발생될 위험이 더욱 커짐에 따라 인명피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피난탈출에 있어서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존 방식의 고정식 단방향을 표시하는 피난유도등은 효율적인 인명 대피 및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빠른 피난이 가능하도록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위험에 처한 피난자들을 탈출시키고 화재의 발생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ID를 가지는 화재 감지기 및 수신반과 연동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모든 유도등의 방향을 제어하여 안전한 비상출입구로 사람들을 유도시키고 화염 및 연기의 방향과 속도를 계산하여 초기진압 및 최적 대피로로 방향을 표시하는 인공지능형 방향성 유도등 개발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주거 지역을 고려한 홍수피해 예상인구 추정

  • Kim, Yong-Jeon;Kim, Ji-Sung;Shin, Hyoung-Sub;Kim, Won;Park, Yong-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16-816
    • /
    • 2012
  •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와 이상기후 현상 등의 영향으로 홍수에 대한 위험이 커지고 있다. 홍수에 의해 발생하는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및 비구조적 대책 등을 통한 치수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대표적인 비구조적 대책으로는 홍수위험지도(flood hazard map) 제작 등이 있다. 홍수위험지도는 홍수시 침수범위, 침수심 등의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있으므로 홍수피해가 발생가능한 공간적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홍수위험지도는 침수정보 뿐만 아니라 대피로, 대피처 등 홍수시 피난정보도 함께 나타낼 수 있으므로 홍수발생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홍수피해 예상범위를 미리 추정할 수 있으므로 피해가능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조적 치수계획 수립의 적절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즉, 침수 가능지구 내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중요도를 평가함으로써 지역 특성을 고려한 선택적 홍수방어에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요도 중 홍수피해 예상인구에 대한 현실적인 계산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홍수가 발생하여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에서 사람이 실제 거주하는 면적을 고려하는 방법은 토지등기부의 지목을 활용하는 것이다. 토지지목은 토지의 종류를 사용목적에 따라 구분한 명칭이며,"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제67조에서 전 답 과수원 목장용지 임야 광천지 염전 대(垈) 공장용지 학교용지 주차장 주유소용지 창고용지 도로 철도용지 제방(堤防) 하천 구거(溝渠) 유지(溜池) 양어장 수도용지 공원 체육용지 유원지 종교용지 사적지 묘지 잡종지 등 28가지 항목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대(垈) 지목은 영구적 건축물 중 주거 사무실 등의 부지를 의미하므로 상주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으로 가정할 수 있다.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에서 대(垈) 지목의 면적을 고려하여 계산된 인구수와 단순 면적비로 계산된 인구수를 비교한 결과, 도시화의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단순 면적비에 비해 인구수가 높게 계산되었고, 농경지 및 산지가 발달된 지역일수록 단순 면적비에 비해 인구수가 낮게 계산되었다. 따라서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의 인구수를 예측할 경우 토지지목 중 대(垈) 지목의 면적을 고려하여 계산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홍수피해 예상인구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

Betweenness Centrality-based Evacuation Vulnerability Analysis for Subway Stations: Case Study on Gwanggyo Central Station (매개 중심성 기반 지하철 역사 재난 대피 취약성 분석: 광교중앙역 사례연구)

  • Jeong, Ji Won;Ahn, Seungjun;Yoo, Min-Tae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4 no.3
    • /
    • pp.407-416
    • /
    • 2024
  • Over the past 20 years,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and size of subway stations and underground structures worldwide, and the importance of safety for subway users has also continuously grown. Subway stations, due to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have limited visibility and escape routes in disaster situations, posing a high risk of human casualties and economic losses. Therefore, an analysis of disaster vulnerabilities is essential not only for existing subway systems but also for deep underground facilities like GTX.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applying a betweenness centrality-based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framework to the case of Gwanggyo Central Station. The analysis of Gwanggyo Central Station's base model and various disaster scenarios revealed that the betweenness centrality distribution is symmetrical, following the symmetrical spatial structure of the station, with high centrality concentrated in the central areas of basement levels one and two. These areas exhibited values more than 220% above the average, indicating a high likelihood of bottleneck phenomena during evacuation in disaster situations. To mitigate this vulnerability, scenarios were proposed to distribute evacuation flows concentrated in the central areas, enhancing the usability of peripheral areas as evacuation routes by connecting staircases continuously. This modification, when considered, showed a decrease in centrality concentration, confirming that the proposed addition of evacuation paths could effectively contribute to dispersing the flow of evacuation in Gwanggyo Central Station. This case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framework for assessing evacuation vulnerability in enhancing subway station user safety and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disaster response and management plans for major underground facilities.

A Study on casualty Evacuation characteristics of Primary School with single unit fireproof shutter (일체형방화셔터가 설치된 초등학교 재실자의 피난특성에 관한 연구)

  • Lee, Seung-Chul;Kim, So-Young;Hong, Yi-Pyo;Park, Young-Rok;Kim, Ya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389-39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일체형방화셔터가 설치된 초등학교 재실자의 피난특성에 관한 연구를 위해 먼저 일체형방화셔터를 포함한 방화셔터 전반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 검토하였으며, 초등학교에 설치된 일체형방화셔터 작동 유무에 따른 재실자 피난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화재 모의실험 결과, 일체형방화셔터 미작동시 최종 대피완료 시간은 130초이며,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시 에는 190초가 소요되었다. 또한 일체형방화셔터 작동시 피난대피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이 셔터내의 출입문을 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 한다면 일체형방화셔터 작동시 최종피난완료시간은 상당히 지연되었을 것이며 대다수의 대피자들이 화재위험에 노출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일체형방화셔터 출입문 개폐력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smoke control mode in train platform through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정량적 위험도 평가를 통한 열차 승강장 화재시 최적 제연모드 선정에 관한 연구)

  • Lee, Bo-Hoon;Hong, Seo-Hee;Baek, Doo-San;Lee, Ho-Hyu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4 no.6
    • /
    • pp.539-552
    • /
    • 2022
  • In the case of train stations, due to the specificity of underground spaces with limited smoke emissions, if appropriate removal equipment is not equipped, the damage caused by fire smoke may increase in the event of a fire. As a result, the need for measures to ensure the safety of evacuation of underground stations has been highlighted, and research for safe evacuation of platform users in case of fire is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However, although the smoke removal area is currently divided by smoke boundary walls and platform screen doors (PSD) and installed in the train platform, standards for smoke removal methods (air supply or exhaust) for each fire removal area, that is, smoke removal mode, are not presented. In this study, fire analysis and evacu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number of deaths and to derive F/N guidance 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fire risk according to the fire station fire, and the total risk was the lowest in the case of fire area exhaust and supply to adjacent areas.

A Study on Youths'Awareness of Earthquake Prevention -Focusing on High School Students- (청소년의 지진방재 의식조사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 Koo, Won-Hoi;Shin, Ho-Joon;Baek, Min-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2
    • /
    • pp.214-219
    • /
    • 2013
  • This research was analyz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mages and school facility's damages caused by earthquakes. Also, the awareness of earthquake prevention was investigated and basic results for preparing earthquake prevention measures were suggested fo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chool facilities at length.

A Study on Evacuees Risk Assesment for Application of Spatial Risk Information (공간위험정보를 적용한 대피자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 Hong, Seungbum;Jang, Jae-Soon;Park, Hyun-A;Rie, Dong-H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9 no.2
    • /
    • pp.8-12
    • /
    • 2015
  • Performance Based Design is evaluating after each calculatiuon ASET and RSET. Risk informaion values such as heat, smoke, toxic gas etc are extracted by FDS in this study. These Risk informaion values by FDS apply Artisoc (evacuation simulator). Building structure made $60m{\times}65m$, exit number is made 2 positions and people in this building are 50 ramdonly. 20 times (case1~case 20) simulated and analysis evacuees risk by evacuated route positions.

Construction of Hazard Risk Assessment Systems for Urban Flooding (도시 침수피해 위험도 평가체계 구축)

  • Kim Weon-Seok;Kim Dong-Kyoo;Kim Eui-Myoung;Yoo Hw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49-54
    • /
    • 2006
  •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전 세계적으로 예측하기 힘든 규모의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고, 향후에도 증가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또한 인구의 집중화와 도시화로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엄청난 인명과 재산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그 지역에 대한 지형, 하수관건, 기후 등의 공간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자연재해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침수재해에 초점을 두고 도시의 강우 유출모형인 SWMM을 이용하여 우수관거 해석 및 월류량을 산정하고 해수위 상승에 따른 저지대 우수관망 월류량을 계산하여 침수구역 예상 및 침수심 산정을 하고 침수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해안 저지대 도시지역에서 빈도별 침수량을 예상하여 피해지역의 침수구역에 대한 홍수에 의한 위험도를 평가할 뿐 아니라 단계적 대피 계획, 주요시설 보호 및 이동, 위험지구에 대한 사전 개선대책 수립 등 홍수피해 경감계획 수립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study on how to generate notification messages using live and forecast information (실황 및 예측정보를 활용한 알림 메시지 생성방안 연구)

  • Lee, Jae-Young;Shin, Jiyoung;Park, Gi-Yeon;Kim, J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58-160
    • /
    • 2022
  • 최근의 자연 재난의 발생 빈도의 증가는 재난에 대한 정보전달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전달 방법의 중요도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2020년의 코로나19(COVID-19)로 인하여 자연 재난에 더해 사회재난에 관한 관심도 증대하고 있으나, 재난정보의 빈도가 매우 높아져, 2000년대 통틀어서 제공된 재난 정보량보다 20년, 21년의 재난 정보량이 더 많아 보인다. 이러한 재난정보의 홍수는 반대급부로 정보의 피로도를 증가시켜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 무시 경향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난 위험지역을 기반으로 Segment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Segment 단위로 재난 위험 메시지를 제공하는 Segment기반 긴급메시지전송 시스템을 연구한다. 목표시스템에서는 재난정보를 실황 정보와 1시간 예측정보를 비교, 위험지역 회피시나리오를 지능화 개선하여 모바일앱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대피 이동관리와 행동 유도를 이끌어 이용자의 인명피해 저감과 재산손실 감소의 효과를 얻고자 개발하였다.

  • PDF

Survey for Awareness for Disaster Safety in South Korean (한국의 재난안전인식에 대한 조사 및 분석)

  • Lee, Min Ji;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1-191
    • /
    • 2020
  • 현재 전 세계적으로 태풍, 지진, 홍수 등의 재해 피해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고, 4차 산업의 발달로 인한 AI기술을 활용하여 자연재해 전반을 예측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될 정도로 과학적으로 발전 되어진 반면에, 재난으로 인한 인명 피해 수를 저감 시키는 방향을 도모 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고, 국민들의 재난피해의식도 심각 하지 않은 추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국민 남녀 489명을 대상으로 재난위험인식에 대한 설문을 작성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들의 재난 안전의 위험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영향 요인을 탐색 하는 데에 있고, 조사결과 안전취약계층은 스스로 대피 하는 데에 있어 큰 어려움이 있으며, 이중 여성은 남성에 비해 안전교육과 훈련의 접근성이 적음에 따라 위험도가 더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재난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재난 안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구축되는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되어지고, 미래에 자연재해 발생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명피해 감소가 될 전망으로 기대가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