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표 어휘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entiment Classification System Using Feature Extraction from Seed Words and Support Vector Machine (종자 어휘를 이용한 자질 추출과 지지 벡터 기계(SVM)을 이용한 문서 감정 분류 시스템의 개발)

  • Hwang, Jae-Won;Jeon, Tae-Gyun;Ko, Young-Jo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938-942
    • /
    • 2007
  • 신문 기사 및 상품 평은 특정 주제나 상품을 대상으로 하여 글쓴이의 감정과 의견이 잘 나타나 있는 대표적인 문서이다. 최근 여론 조사 및 상품 의견 조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대용량의 문서의 의미적 분류 및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에 나타난 내용을 기준으로 문서가 나타내고 있는 감정을 긍정과 부정의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문서 분류의 시작은 감정을 지닌 대표적인 종자 어휘(seed word)로부터 시작하며, 자질의 선정은 한국어 특징상 감정 및 감각을 표현하는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를 대상으로 한다. 가중치 부여 방법은 한글 유의어 사전을 통해 종자 어휘의 의미를 확장하여 각각의 가중치를 책정한다. 단어 벡터로 표현된 입력 문서를 이진 분류기인 지지벡터 기계를 이용하여 문서에 나타난 감정을 판단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 PDF

Abductive Rules for Text Cohesion (글의 응집성을 포착하기 위한 개연규칙)

  • Kim Gon;Yang Jae-Gun;Kim Min-Chan;Bae Jae-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517-52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글의 응집성을 포착하기 위하여 개연규칙을 활용한다. 개연규칙은 문장 구성성분들의 문장간 개연적 연결상황을 나타내고, 글의 인과 성향이나 담화작용을 반영한다. 글을 이해하기 위한 대표적인 속성에는 글에 긴밀성을 부여하는 응집성이 있다. 글의 응집성을 파악하기 위한 대표적인 언어학적 도구나 지식으로는 어휘사슬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예문의 어휘사슬을 개연규칙으로 찾아낸 개연사슬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중요도가 높은 어휘사슬과 대응하는 개연사슬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개연사슬은 종래의 어휘사슬의 기능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줄거리 단위, 단서구 용법, 문장사이의 개연성 등을 감지하여 문장간의 의미적 연관성을 포착할 수 있다. 이는 개연규칙을 활용하여 글의 화제문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Extraction of user's representative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a product (제품 사용 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대표감성 추출에 관한 연구)

  • Jeong, Sang-Hoon;Lee, Kun-Pyo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1 s.59
    • /
    • pp.69-80
    • /
    • 2005
  • So far, there have been mary studies on human emotions and the emotional side of products in the field of emotional engineering. Contemporary emotion-related researches have focused mai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esthetics and the emotional responses elicited by the products, but little is known about emotions elicited from using the products. In this study we have extracted some emotional words that can come up during user interaction with a product and reveal emotional changes. Firstly, we assembled a set of emotional words that were sufficient to represent a general overview of Korean emotions, collected from various literature studies in the field of psychology, linguistics, emotional engineering. Secondly, we found emotional words from collecting user opinion on the website. In this study, we used heavy traffic websites such as shopping mall and mania sites. Finally the emotional words were collected from verbal protocols by using Think Aloud technique. The collected words were integrated according to standards and they were applied on evaluation survey twice for evaluating their appropriateness.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 identification of emotional expressions while using a product. Finally, we extracted 88 emotional words for measuring user's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products. And we categorized the 88 words to form 6 groups by using factor analysis. The 6 categories that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such as aesthetics, satisfaction in usability, novelty, uncomfortable- ness, pleasure and excellence were found to be user's representative emotions expressed while using products. It is expected that emotional words and user's representative emotions extract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as subjective evaluation data that is required to measure user's emotional changes while using a product.

  • PDF

Classification of Representative Emotions to Measure Emotions Expressed by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한국 전통가옥에서 느껴지는 감성 측정을 위한 대표 감성 분류)

  • Park, Eun Jung;Seo, Jong Hwan;Jeong, Sang Hoon
    • Smart Media Journal
    • /
    • v.7 no.3
    • /
    • pp.43-50
    • /
    • 2018
  • Hanok (a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has recently become a popular attraction for tourists all over the world. Jeonju Hanok Village, for example, attracted about 10 million visitors for 2 consecutive years. Observing Hanok's popularity, many local governments drew up plans to improve tourism dynamics by strengthening the advantages of Hanok. Emotionally rich experience is required to offer a greater satisfying experience that meets the demands of tourists. However, very few studies yet have addressed how to measure those emotions felt by users while experiencing Hanok. As an attempt to improve this situation, 182 emotional words were collected from earlier studies and classified into 33 groups with the Delphi method. Among the emotional words in each of the 33 groups, those of overlapping concepts on the characteristics of Hanok were re-grouped, and extracted the most appropriate 68 words.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25 people who had experienced Hanok to gather 30-most representative emotions for measuring emotions felt from Hanok. The factor analysis of the 30 representative emotions resulted in classified 6 factors based on common features of emotional words: senses of aesthetics, happiness, novelty, ownership, balance and relaxation. The 30 representative emotions and six emotion categories found out by this study can help measure how much people feel certain emotions while experiencing hanoks. Further study will explore the degree of emotions hanok users feel about objects of hanok, such as roof materials and shapes, and body shapes.

Representative Emotions Felt Regarding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한국 전통의 도자 식기에서 느껴지는 대표 감성)

  • Park, Eun Jung
    • Smart Media Journal
    • /
    • v.11 no.8
    • /
    • pp.47-54
    • /
    • 2022
  • It is necessary to discover Korea's diverse traditional culture and publicize it to the world to continue the Korean Wave and develop it in a more positive direction. The present study proposes methods for publicizing little-known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by focusing on Hansik,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in the British Oxford Dictionary among Korean traditional cultures and can best represent Korean food.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measured cultural recipients' emotions regarding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to derive the 'representative emotions felt regarding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as a method to reflect it in the design. First, the Delphi Technique was carried out based on 182 emotional vocabulary items collected from existing studies to create 33 groups of emotional vocabularies with similar concepts. In addition, among the emotional vocabularies included in each of the 33 groups, those of overlapping concepts were regrou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and the most appropriate emotional vocabularies were extracted and reduced to 75.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35 cultural recipients experienced with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to derive 32 representative emotions felt regarding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Finally, from the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of 32 representative emotions, this study classified vocabulary into six emotion categories including 'aesthetic, pleasure, freshness, ownership, satisfaction, and comfort'. The six emotion categories and 32 representative emotions derived from this study's results can be utilized to measure emotional levels felt by cultural recipients while using traditional Korean ceramic tableware.

An Analysis of Emotion and Sensibility according to the Color-combinations applied to Living room (거실공간의 배색기법에 따른 감성효과 분석)

  • 강선아;조현승;이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64-6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1) 인테리어에 대한 감성어휘모형을 도출하고, (2) 거실 인테리어의 주요 배색을 추출한 후, (3) 거실 공간의 배색 감성모형을 개발하였으며, (4) 연구결과를 토대로 거실 인테리어 디자인을 위한 배색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테리어를 기술하는 감성어휘를 수집하고 이들로부터 대표적 감성어휘를 추출, 감성어휘척도를 구성하였다. 감성조사분석을 통해 '따뜻하다-차갑다'(제 1차원), '고급스럽다-소박하다(제 2차원)', '현대적이다-고전적이다'(제3차원)의 세 차원축이 도출되었고, 이렇게 도출된 감성공간 상에 감성어휘들을 대응시키고, 9개의 감성 범주로 구분함으로써 감성어휘모형을 개발하였다. 한편, 거실 인테리어의 주요 배색을 추출하여 배색자극물을 개발하고, 감성어휘모형과의 관계분석을 통해 거실 공간의 배색 감성모형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배색 감성모형에서 도출된 9개의 감성범주와 그에 대응하는 배색을 기반으로 하여 거실용 인테리어 디자인의 핵심이미지에 따른 배색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정서관련 어휘 분석을 통한 내적 상태의 차원 연구

  • 김영아;김진관;박수경;오경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209-21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정서관련 어휘분석을 통하여 내적체계의 차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1에서는 내적경험을표현하는 데 자주 쓰이는 어휘들을 자유연상을 통해 100개를 선정하고 유사성과 빈도평가작업을 통해 대표성을 갖는다고 판단되는 어휘22개를 선정하였다. 22개의 쌍별유사성을 7점척도로 평정한 자료를 다차원분석한 결과, 1차원(63%)은 쾌/불쾌, 2차원(25%)은 각성수준으로 해석될 수 있었고, 이는 기존의 차원모형의 주장과 거의 유사한 결과였다. 다른 어휘목록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연구 2에서는 표정을 보고 정서를 추론하는 실험을 통해 자주 언급된 단어를 빈도순으로 22개 선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다차원분석한 결과 연구 3에서는 연구 1,2의 어휘목록이 전체 내적체계의 차원 공간에서 차지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비교하기 위해, 두 어휘목록을 포함한 83개 내적체계의 단어를 차원평정시켜 분석하였고, 연구결과가 차원모형에서 갖는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 PDF

Representative Labels Selection Technique for Document Cluster using WordNet (문서 클러스터를 위한 워드넷기반의 대표 레이블 선정 방법)

  • Kim, Tae-Hoon;Sohn, Mye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8 no.2
    • /
    • pp.61-73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ocuments Cluster Labeling method using information content of words in clusters to understand what the clusters imply. To do so, we calculate the weight and frequency of the words. These two measures are used to determine the weight among the words in the cluster. As a nest step, we identify the candidate labels using the WordNet. At this time, the candidate labels are matched to least common hypernym of the words in the cluster. Finally, the representative labels are determined with respect to information content of the words and the weight of the words. To prove the superiority of our method, we perform the heuristic experiment using two kinds of measures, named the suitability of the candidate label ($Suitability_{cl}$) and the appropriacy of representative label ($Appropriacy_{rl}$). In applying the method proposed in this research, in case of suitability of the candidate label, it decreases slightly compared with existing methods, but the computational cost is about 20% of the conventional methods. And we confirmed that appropriacy of the representative label is better results than the existing methods.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help data analysts to interpret the document cluster easier.

Classification of KANSEI Vocabulary according to Visual Shape Information (시각적 형태 정보에 관한 감성어휘 분류)

  • Baek Sunk-Young;Hwang Kwang-Su;Kim Pa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76-78
    • /
    • 2006
  • 인간의 주관적이고 애매한 감성은 차세대 컴퓨팅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인간의 감성을 이해하고 감성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사용자 중심의 정보 처리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감성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해 저차원 시각정보에 대한 강성처리를 연구하고 있다. 기존의 저차원 시각정보 특징을 고려한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방법은 사용자의 취향이나 감성 요구에 적합한 결과를 검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감성을 이해, 검색, 인식하기 위한 시각정보와 감성간의 관계 연구 중 우리의 기존 연구인 시각적 형태 정보의 감성어휘 공간에서 형태와 어휘간의 감성거리를 이용한 분류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분류된 각 영역에서의 대표 어휘를 추출하여 시각적 형태에 따른 감성어휘간의 구체적 계층 관계를 정의한다. 이는 감성기반 이미지 검색 분야에 활용 가능한 연구이며,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에 내재된 감성정보를 해석하고 그 어휘들의 체계적인 시각적 감성관계를 정의하는 의의를 갖는다.

  • PDF

Development of Evaluatin Techniques of Personal Image and its Application (대인(Personal) 감성 이미지 평가 기법의 개발과 적용)

  • 황상민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105-113
    • /
    • 1999
  • 특정 사람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 또는 특정 사람이 가지는 이미지를 어떻게 평가하고 나타낼 수 있을까\ulcorner 본 연구에서는 사람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를 표준적인 감성 어휘 척도를 활용하여 모델이 가지는 감성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비교평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 화장품 회사의 모델을 활용하였다. 4명의 모델을 전체와 부분 모습의 두 가지 형태로 제시하면서 각 인물이 가진 이미지를 평가하게 하였다. Personal 감성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묘사하는 형용사 쌍 103개를 이용하였다. 모델 이미지에 대한 평가 반응은 요인분석을 통해 7개의 감성어휘 요인으로 나타났다. 우아한-천박한, 신선감-답답함, 편안함-불편함, 순수함-가식적인, 세련미-촌스러운, 진취성-보수성, 여성성-남성성, 4명의 모델들은 이 7가지 감성 이미지 요인에 따라 상호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인물 감성이미지는 감성적 어휘로 표현됨과 동시에 각 인물이 가진 고유하고 대표적인 personal image로 나타낼 수 있는가를 보여줄 수 있엇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감성이미지척도는 사람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감성척도로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제품을 나타내는 모델이 일반인들에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는지 그리고 모델의 이미지와 제품이 지향하는 이미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