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대표 어휘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Words Representing Human Visual Sensibili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주거환경이 시각적 감성어휘)

  • 윤정선;신미경;이강의;구아현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3 no.2
    • /
    • pp.67-74
    • /
    • 2000
  • 본 연구는 주거환경에 대한 시각 감성을 대표하는 어휘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어휘수집의 첫 단계에서는 주거환경 중 시각 환경에 대한 감성을 표현하는 어휘 235개를 수집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수집된 어휘를 다른 피험자들에게 제시하여 주거 환경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어휘 로서 적절함의 정도를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여 매우 적절하다고 판단된 24개의 어휘를 선발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들 어휘를 무선 적으로 두 개씩 짝을 지어 두 단어가 유사한 정도를 7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 설문으로부터 나온 데이터에 대해 요인분석, 군집분석, 다차원분석을 실시하여 시각적 주거환경에 대한 9개의 감성어휘를 추출하였다. 이와 함께 최종 단계에서 연구자들이 400여장의 실물 사진 열람을 통해 추출된 9개의 감성 어휘가 실제 시각적 주거환경을 나타내는 데에 적함한지를 다시 한번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10개의 어휘를 선발하였다. ‘안락한’, ‘개방적인’, ‘세련된’, ‘경쾌한’, ‘개성적인’, ‘단순한’, ‘화려한’, ‘중후한’, ‘고풍스로운’, ‘전원적인’.

  • PDF

Research on Words Representing Human Visual Sensibility for Residential Environment (주거환경의 시각 감성어휘 선발)

  • 윤정선;이강희;신미경;구아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34-138
    • /
    • 1999
  • 본 연구는 주거환경에 대한 시각 감성을 대표하는 형용사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거환경에 대한 감성을 대표하는 형용사를 선발하는 것은 감성의 잣대를 만드는 일이기 때문에 감성어휘를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어휘수집의 첫 단계에서는 주거환경 중 시각 환경에 대한 감성을 표현하는 어휘 235개를 수집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수집된 어휘를 다른 피험자들에게 제시하여 주거 환경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어휘로서 적절함의 정도를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여 24개의 어휘를 골라내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들 어휘를 무선적으로 두 개씩 짝을 지어 두 단어가 유사한 정도를 7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고 이에 대해 요인분석, 군집분석, 다차원분석(MDS)을 실시하여 주거환경에 대한 10개의 감성 어휘를 추출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연구자들이 400여장의 실물 사진 열람을 통해 추출된 감성 어휘를 검증하여 수정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ultiple Pronunciation Dictionary for Spontaneous Speech Recognition (대화체 연속음성인식을 위한 확장 다중발음 사전에 관한 연구)

  • Kang ByungOk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2003.10a
    • /
    • pp.65-6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대화체 연속음성인식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중발음사전의 개념을 확장하여 대화체 발화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불규칙한 발음변이 현상을 포용하도록 한 확장된 발음사전의 방법을 적용하여 대화체 연속음성인식에서 인식성능의 향상을 가져오게 됨을 실험을 통해 보여준다. 대화체 음성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음운축약 및 음운탈락, 전형적인 오발화, 양성음의 음성음화 등의 발음변이는 언어모델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어휘 수를 증가시켜 음성인식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또한 음성인식 결과로 나타나는 출력형태가 정형화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이러한 발음변이들을 발음사전에 수용할 때 각각의 대표어휘에 대한 변이발음으로 처리하고, 언어모델과 어휘사전은 대표어휘만을 이용해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음성인식기의 탐색부에서는 각각의 변이발음의 발음열도 탐색하되 대표어휘로 언어모델을 참조하도록 하고, 인식결과를 출력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인식성능을 향상시키고, 정형화된 출력패턴을 얻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어절단위 뿐 아니라 의사형태소[2] 단위의 발음사전에도 발음변이를 포용하도록 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을 통해 어절단위의 다중발음사전 구성을 통해 ERR 10.9%, 의사형태소 단위의 다중발음 사전의 구성을 통해 ERR 4.3%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PDF

A study of the free drawing GUI of the touch phone by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approach (감성 공학적 접근에 의한 터치폰의 자유 드로잉 GUI에 대한 연구)

  • Kim, Ji-Hye;Hwang, Min-Cheol;Kim, Jong-Hwa;U, Jin-Cheol;Kim, Chi-Jung;Kim, Yong-U;Jo, B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5-178
    • /
    • 2009
  • 본 연구는 감성공학적 접근법으로 터치 모바일 폰의 자유 드로잉 GUI 요소를 디자인 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터치폰에서 자유드로잉하는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남 녀 대학생 57 명을 대상으로 터치폰 일기를 쓰게 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관찰 대상자가 선호하는 패션, 좋아하는 이미지를 수집하여, IRI 표준 이미지 스케일 맵에 매핑하여 감성 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감성 요소는 Norman(2002)에 의거한 감각적(Visceral), 행태적(Behavioral), 심볼적(Reflective) 감성 어휘로 도출하고, 요인 분석을 통해 대표 감성 어휘를 도출하였다. 셋째, 자유 드로잉을 위한 터치 모바일폰 GUI 요소를 도출한 후 대표 감성 어휘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관계성이 높은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대표 디자인 요소와 대표 감성 어휘는 다차원척도(Multidimensional scaling : MDS) 분석을 실시하여 2 차원 축에 모델링하고, 정량적으로 디자인에 반영될 주요 감성을 도출해본 결과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통해 도출된 GUI 와 유사성이 높은 감성 어휘는 감성적 디자인을 할 때 주 요소로 적용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Sensibility Vocabulary for 3D Stereoscopic Image Ride Film (3D입체영상 라이드 필름의 감성어휘)

  • Song, Seung-Keun;Chae, Eel-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1
    • /
    • pp.120-129
    • /
    • 2011
  •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ve affective words and the structure among them to scrutinize user's affect revealed in the ride film based on three dimension stereoscopic imag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affect were reviewed and the affect words well-suited for three dimension stereoscopic image were collected. Suitability test for two hundred six basic affect words gathered as the result was done from sixty two typical users and four experts. Seventy seven candidate affect words have been selected and by the exclusion of similarity among them, finally twenty six 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reduction process. Consequently fifteen representative words and the structure as the network between each word were revealed by using free association test based on twenty six affect words. We propose the affect research including sensors, emotions, and affects related to moving image rather than still mage during doing research affects i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The future work includes the affect space and the affect effect for ride film based on three dimension stereoscopic image. This study can be adopted practically in the production of ride films and provided with a basic design guideline.

Extraction of Representative Emotions to Measure Emotions Expressed by Traditional Korean Clothes (Hanbok) (한복에서 표출되는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대표감성 추출)

  • Park, Eunjung;Seo, Jonghwan;Jeong, Sangho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1 no.2
    • /
    • pp.61-72
    • /
    • 2018
  • Different types of traditional Korean clothes (Hanbok) are appearing in the market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of culture consumers. In order to turn traditional Korean clothes into everyday clothes that adequately reflect various demands of culture consumers, it is important to satisfy both functional and emotional aspects of clothing. However, there is lack of existing studies on emotions of culture consumers while wearing traditional Korean clothes. In this study, 28 emotional words regarding traditional Korean clothes were extracted by applying the Delphi method and conformity rating survey to 182 emotional words reported in existing studies and references from areas such as psychology, linguistics, and sensibility engineering. The 28 selected emotional words can be used to express emotions felt by culture consumers about traditional Korean clothes. Also, words were grouped based on the correlation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Based on common characteristics, the emotional words wer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 of 'pleasure,' 'aesthetic sense,' 'harmony,' 'novelty,' 'likability,' and 'stability.' These 6 emotional categories were concluded to represent emotions of consumers about traditional Korean clothes. The 28 emotional words and 6 representative emotions no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measuring emotions of culture consumers of traditional Korean clothes. A future study task is to design a detailed assessment scale to measure emotions of culture consumers about traditional Korean clothes using representative emotions.

Extraction of Representative Emotions for Evaluations of Tactile Impressions in a Car Interior (자동차 인테리어의 촉감 평가를 위한 대표감성 추출)

  • Park, Nam-Choon;Jeong, Seong-W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2
    • /
    • pp.157-166
    • /
    • 2013
  • There are few that evaluate tactile emotion as it pertains to car interior parts, while studies on visual evaluations of car interiors as well as usability tests in a visual sense are numer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ypical in-vehicle tactile emotions so that they can be used to evaluate tactile impressions of car interior parts. 52 words related to tactile impressions of car interiors were gathered from a survey in conjunction with an in-vehicle test, interviews with the car salespersons, and an analysis of car reviews. After a factor analysis with 52 words, 10 categories of major tactile emotions were clustered. These were roughness, toughness, friction, comfortability, stiffness, softness, temperature, sleekness, familiarity, and flexibility. These representative tactile emotions regarding a car interior can be used to evaluate tactile impressions of surfaces such as leather, plastic, metal and wood when used as parts in car interiors.

  • PDF

A Study on Facial Visualization System based on one's Personality applied with the Oriental Physiognomy (동양 관상학을 적용한 성격별 얼굴 설계 시스템에 관한 연구)

  • Kang, Seon-Hee;Kim, Hyo-D.;Lee, Kyung-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346-357
    • /
    • 2008
  • 관상학(Physiognomy)이란 사람의 얼굴을 보고 그의 운명, 성격, 수명 따위를 판단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한다. 이 논문에서 언급하는 관상학은 동양에서 말하는 관상학, 특히 얼굴의 부분적 특성이나 전체적인 조화를 통해 성격과 운영을 예측하는 학문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동양 관상학을 적용한 성격별 얼굴 설계 시스템 구축에 관한 것으로, 첫째, 보편적인 성격 분류를 위해 MBTI에서 다루는 성격 어휘 161개를 군집분석을 통해 39개의 대표 어휘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대표 성격 어휘의 의미상 거리를 나타내기 위하여 서베이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다차원 척도법을 통해 2차원 공간상에 성격 어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얼굴 시각화를 위해 먼저 얼굴의 형태적 특성을 결정짓는 요소를 크게 얼굴형, 눈, 코, 입, 이마, 눈썹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6가지 얼굴 형태의 29가지 하위요소 별 성격을 한국인의 얼굴 특성을 기준으로 관상학적 정리 및 숫자형식 코드화를 하였다. 추출된 대표 성격 어휘별 얼굴 요소의 형태를 앞서 정리된 코드에 따라 하나의 얼굴 형태로 조합하여 39가지 얼굴을 시각화 하여 마지막으로, 성격별 얼굴 설계 시스템 'FACE'를 제작하였다. 이 연구는 사람의 성격 특성에 따라 그에 맞는 얼굴 형태를 구현하는 시스템을 제작하여 일반 사용자 뿐 아니라 애니메이션 캐릭터 개발자에게 객관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예로부터 내려오는 관상학의 적용 범위를 넓힐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 PDF

A lexical structure of adjectives for the sensibility of visual design elements in Textile (직물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 어휘 모형)

  • 박수진;조경자;장준익;김길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63-68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직물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 모형을 제안하고, 아울러 감성 모형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ㅅ는 대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문 조사와 관련 잡지, 신문, 사전 등을 통한 광범위한 어휘 수집이 이뤄졌으며 수집된 어휘는 1,000여 개였다. 수집된 어휘에 대해 이해도 및 적절성 평가를 실시하여 직물 제품과 관련된 감성을 표현하기에 부적절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어휘들을 제거하여 360개의 감성 어휘로 정리하였다.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 108개를 이용하여 자유 연상과제를 실시하였으며 그결과 어휘들 간 관계에 대한 연결망을 그려낼 수 있었다. 어휘망에서 중심적인 대표어 역할을 하는 18개 어휘를 추출하여 1차로 유사성평정을 실시하였으며 다차원 척도법으로 분석한 결과 어휘들 간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차원은 네 개였다. 1차로 구성된 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로 각각 20개씩의 어휘를 새로이 추출하여 2회에 걸쳐 유사성 평정을 실시한 결과, 직물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을 모형화하기 위해서는 세 개차원이면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 PDF

Tagging Error Correction Using Lexical Morpheme Context (형태소 어휘 문맥에 기반한 태깅 오류 정정)

  • Kim, Young-Kil;Yang, Sung-Il;Hong, Mun-Pyo;Park, Sang-Kyu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63-6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형태소 분석 대상 어절의 좌우 어절내의 대표 형태소 어휘 문맥 정보에 기반한 형태소 오류 정정 방안을 제안한다. 현재까지 주변의 품사열 문맥 정보에만 의존하는 기존의 품사 태깅 모델과 달리 주변 어휘를 반영할 수 있는 좌우 어절 문맥을 이용해 형태소 태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어절 문맥에 의한 지속적인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대량의 품사 태킹 문맥 정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자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분석 대상 어절 좌우의 어절 단위의 어휘 문맥 정보가 아닌 좌우 어절내의 대표 형태소 단위의 형태소 어휘 문맥을 이용한 품사 태깅 오류 정정 방안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형태소 어휘 단위의 문맥 정보의 적용성(Coverage)의 높고 기존의 품사 문맥 정보 기반의 형태소 분석기의 태깅 오류를 정정하여 그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 PDF